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쌀의 油脂成分이 酸化過程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Oxidative Changes in the Rice Lipids Fra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55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Hexane과 ethanol을 利用하여 米粒에서 油出한 쌀 油脂를 Folch's method에 依해 精製하고, 이들을 紫外線 照射 또는 40˚C 暗祈에 저장하여 쌀 抽脂의 酸化樣相을 살펴 본바,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

      Hexane과 ethanol을 利用하여 米粒에서 油出한 쌀 油脂를 Folch's method에 依해 精製하고, 이들을 紫外線 照射 또는 40˚C 暗祈에 저장하여 쌀 抽脂의 酸化樣相을 살펴 본바,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을 수 있었다.
      1. 酸素吸收에 依한 重量增加現象은 紫外線 照射에 의하여 3日以內에 뚜렷한 重量增加 (0.6-0.8 以上)을 보였으나, 40˚C 暗所에서는 45日 以後에 비로서 현저한 重量增加의 商을 볼 수 있었다. 各處理別 誘導期間은 hexane 抽出油脂가 紫外線照射에서는 1日, 40 辯所에서는 30脚이있고, ethanol摘出油指는 紫外練照財예서는 25, 40˚C 暗所에서는 40日 이었으며, hexane抽出油脂가 ethanol抽出油脂보다 그 安定性이 多少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各處理別 變敗臭는 誘導期間보다 약간늦게 볼 수 있었다.
      2. 各處理別로 總 Carbonyl 化合物 및 malonaldehycle(M. A)의 변화를 살펴 본 바, 紫外線 照射지역에서는 Carbonyl價가 2-4 日째 M.A.는 7日頃에 그 生成量이 各各 頂點을 형성하다가 천천히 減少되었고, 40˚C 暗所에서는 Carbonyl價 및 M.A. 生成量 共히 55日까지 徐徐히 增加하였다.
      3. 全般的으로 hexane抽出油脂가 ethanol抽出油脂보다 酸化反應이 더 빨랐으며 이는 脂肪酸組成 및 未確認된 抗酸化物質의 存在에 依한 可能性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紫外線 照射는 기지의 油脂의 酸化를 급격히 促進시킨다.
      4. Hexane에 依해 抽出된 쌀油脂를 油出直後와 40˚C 55日間 저장처리한 후의 脂肪酸組成을 살펴 본 바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뚜렷이 감소함을 볼 수 있고, 相對的으로 Oleic, Stearic, Palmitic acid 等이 증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xidative changes in the rice lipids under accelerated condition were studied by measurine the changes in weight gain, total carbonyl compound, malonaldehyde, and fatty acid composition. Rice lipids were prepared by extraction with either n-hexane or...

      Oxidative changes in the rice lipids under accelerated condition were studied by measurine the changes in weight gain, total carbonyl compound, malonaldehyde, and fatty acid composition. Rice lipids were prepared by extraction with either n-hexane or ethanol from polished rice grain and purified by Folch's method. The lipid preparations were either incubated in dark at 40˚C or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for a period of 60 days.
      Weight gain by oxygen absorbed sharply increased within 3 days in the rice lipids under UV light irradiation. However, with the rice lipids at 40˚C incubation a moderate incrcase in weight was observed only after 45 days storage. Their induction periods were one day(hexane extracted, under UV light), 2 days(ethanol extracted, under UV light), 30days (hexane extracted, at 40˚C), and 40 days (ethanol extracted, at 40˚C) respectively. Oxidative rancid odor appeared at the end of the induction period. Total carbonyl compound and malonaldehyde markedly increased within 7 days, and decreased in the rice lipids under ultra violet light irradiation, while at 40˚C incubation they were continued to increase slowly throughout the storage. The hexane extracted lpid were less stable than ethanol extracted lipid on the basis of oxygen absorption, malonaldehyde and other carbonyl compound for-mation.
      With the hexane extracted lipid during 55days incubation at 40˚C, the contents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decreased, while the oleic, Palmitic and stearic acids increa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실험방법
      • 1. 실험재료
      • 2. 실험방법
      • III. 결과 및 고찰
      • I. 서론
      • II. 실험방법
      • 1. 실험재료
      • 2. 실험방법
      • III. 결과 및 고찰
      • 1. 吸收된 酸素에 依한 油脂試料의 重量增加
      • 2. 總 Carbonyl 化合物 및 Malonaldehyde(M.A.)의 변화
      • 3. 脂訪酸組成의 變化
      • IV. 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