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질 간의 관계: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또래관계의 질, 정서표현 양가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표현 양가성은 부모-자녀 간의사소통, 또래관계의 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를 유의하게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은 부-자녀 간 의사소통 및 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를 유의하게 부분매개하였다. 그리고 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질에 관한 연구모형의 총효과가 부-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질에 관한 모형의 총효과보다 다소 높았다. 본 연구는 아동의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개입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한다. 부모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으로 인해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은 아동에게 유발된 정서를 정확히 인식하고 적절히 표현하도록 돕는 개입을 제공하여 정서표현 양가성을 낮춘다면 또래관계의 질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such a relationship. Using data collected from 301 elementary school stu...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such a relationship. Using data collected from 3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 conducted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es for each scal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ir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communicatio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when explored by separat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into father-child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Moreover, the research model had a more significant overall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a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have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Providing interventions to assist children who are highly ambivalent about emotional expression due to dysfunctional parent-child communication can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relationships with peers by reducing their ambival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