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후변화시대의 탄소배출저감을 위한 보행친화적 가로공간구조 연구 - 보행유발요인으로서 가로 구조적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9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 1차년도 연구내용 1) 기초 자료수집 - Smart Green Urbanism, 보행친화가로, 보행자 심리 기반 관련하여 기존에 수행된 연구의 경향을 종합정리함 2) 분석 방법론 조사 - 보행자 심리 기반 국내·...

      ● 1차년도 연구내용

      1) 기초 자료수집
      - Smart Green Urbanism, 보행친화가로, 보행자 심리 기반 관련하여 기존에 수행된 연구의 경향을 종합정리함

      2) 분석 방법론 조사
      - 보행자 심리 기반 국내·외 관련 문헌조사를 통해 길 선택 보행 심리관점의 연구방법론과 대상지를 분류하여 가로 선택심리를 연구함
      - 공간 가시성 분석기법 중 하나인 Isovist에 대한 국내 연구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가로 가독성을 조사·연구함

      3) 본 연구에서의 보행활성화 판단기준요소 도출 및 연구 시나리오 설정
      - 기존 연구 종합을 통하여 길 선택과 보행활성화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구 필요성을 도출함
      - 교차로 초입부의 환경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에 따른 보행자 길 선택의 영향관점에서의 분석의 틀을 설정함
      - 본 연구에서 분석의 틀로서 활용하게 될 보행활성화 판단기준요소를 도출함 - 교차로 가로의 접근성연결성, 가로 구조적 특성, 가로의 물리적 환경, 시각적 요소, 밀도, 실험자 특성

      4) 길 선택의 가로 구조적 영향고찰 – 실험
      - 가로의 구조적 환경에 대한 선호도 조사와 길 선택 요소 및 중요도 분석을 위해 빔 프로젝트를 이용해 1차 실험을 함
      - 가로 구조적 환경의 선호도에 따른 길 선택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페이퍼실험을 수행함
      - 앞선 실험을 바탕으로 가시성과 가로 구조적 환경의 선호도 및 길 선택 시점을 알아보기 위한 3D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함

      5) 길 선택의 가로 구조적·환경적 영향 고찰 – 대상지
      - 길 선택의 가로 구조적·환경적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서울시 도심과 주거지 중심지역으로 유형으로 나누고, 일차적으로 도심지역 대상지를 선정함
      - 지하철역 중심으로 500m 반경 이내 대각선 포함 교차로 중에서 간선, 보조간선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또는 블록 내부를 관통하는 집산성격의 대각선 도로를 기준으로 선정함

      6) 서울시 도심을 대상으로 1차 대상지 선정
      - 대상지 후보리스트 작성 후 대상지 유형항목 설정 및 특성을 분석함(가로 각도, H/D, 예각필지활용도 및 형태, 저층부 용도)
      - 서울시 도시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보행량 조사를 통해 최종 대상 가로를 선정함

      ● 2차년도 연구내용

      1) 길선택의 가로구조적 영향분석
      - 현장조사 : 서울시 도심(종로구, 중구) 가로구성요소의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분류 (9가지)
      - 3D 가상현실실험 길선택 분석(실제 대상지의 구조적 특성 반영) :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 9가지 유형을 가상현실로 조성하여 길선택 및 길선택 시 고려한 가로구조요소의 중요도 실험실시
      - 1차 실제 가로에서의 길선택 실험 : 3D 가상현실실험에서 대각선길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First-year contents of our research 1) Collecting research materials - examine the tendency of studies related to smart Green Urbanism, walking-friendly streets and pedestrian psychology 2) Analysis methodology study - examine the methodology of...

      ● First-year contents of our research

      1) Collecting research materials
      - examine the tendency of studies related to smart Green Urbanism, walking-friendly streets and pedestrian psychology

      2) Analysis methodology study
      - examine the methodology of pedestrian path-choice experiments by reviewing the existing literatures based on pedestrian psychology
      - examine the tendency of studies based on ISOVIST which is one of the space visibility analysis method

      3) Drawing the criteria of improving-walking and Set up the process of study
      - draw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study about path-choice and improving-walking by the literature review
      - set an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the effect of the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at the entrance of a crossroads in path-choice
      - draw a criteria of improving-walking for the analytical framework: an accessibility and connection to the crossroad, the physical environment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reets, some visual elements, a density and the individual peculiarities

      4) Experiment – a research of the effect of street structure on path-choice
      - conduct a primary experiment using a beam projector for the preference survey of street structure and the analysis of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path-choice
      - conduct a sec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