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남 연안해역의 수산자원 및 어항 관리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73996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수산과학과 , 2013. 8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59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Marine Resources and Fishing Ports in Jeollanam-do Coastal Waters

      • 형태사항

        x, 140 p.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상덕
        참고문헌: p. 128-13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도서관(여수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llanam-do (hereinafter, Jeonnam) Province, as the country's de
      facto first province leading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is equipped
      with optimized location, humane and natural environments for fisheries.
      However, it is increasingly faced with difficult situations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fisheries are getting aggravated,
      and thus the policy measures for securing the survival and sustainability
      of fisheries are urgent.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marine fisheries in Jeonnam Province and, based on
      this analysis, to select the priority area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uture growth of the marine fisheries in
      Jeonnam Province.
      Until now, the development strategies relating to marine fisheries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is with focusing on some competitive varieties
      and items, based on the data on overall Korean fisheries. In addition, data
      or informations relating to marine fisheries issued by local research
      institutions are out of date and thus not adequate to utilize. In case of
      researches on Jeonnam marine fisheries, the focus was on the specific
      sectors of the fisheries, therefore, the policy data for establishing the
      overall development indicator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utilizing the
      most recent data and information available, purports to analyze the statu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to select the policy measures,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that should be urgently carried out reflecting
      the realitie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For the effective conduct of the research and the timely policy
      recommend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position of marine
      fisheries sector by conducting the SWOT analysis for each sector of the
      marine fisheries of Jeonnam Province. The SWOT analysis shows that
      Jeonnam marine fisheries have more advantages than other local marine
      fisheries and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than the others, if it
      overcomes the weakness and threats and utilizes the strength and
      opportunities. Thus, the Jeonnam Province can help to strengthen the
      food security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f it develops the marine
      fisheries as a new engine for the development.
      Beside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ies and provides the found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ies by examining comprehensively the value of fishing
      port that is considered as the sources of local fisheries development and
      the creation of value added.
      Based on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with proposing some core projects for the preparation of
      policies required to develop the marine fisheries in order to revive the
      Jeonnam Province as the country's de facto first province leading the
      development of marine fisheries in the future.
      The major policy recommendations deriv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eonnam Province should secure and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marine fisheries resources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of marine fisheries. It should maintain the stable amount of
      fisheries resources by setting an adequate closed season and operating
      area, and expanding sea ranch and sea forests. In addition, it should
      prevent the over-fishing and devastation of fishing ground resulting from
      over -fishing by the continued implementation of the restructuring of the
      offshore fishing vessels and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order.
      Second, small-scale fisheries and their structure need to be scaled
      and commercialized to raise the fisheries that can produce high value
      added. The income of fishermen and the benefits of consumers need to
      be maximized by the improvements of underdeveloped marine fisheries
      distribution structure. In addition, Jeonnam Province should raise
      aquaculture industry as a strategic industry yielding high value added in
      the future. To fulfil this purpose, the restructuring of fisheries should be
      enforced and future strategic breeds should be raised intensively.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quality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safety barriers of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food
      hygiene and safety requirements and to ensure export competitiveness of
      local fisheries products.
      Third, multi-functional complex fishing ports that meet local condition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of fishing
      ports in order to secur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fishing villages, the
      conditions of stable production, other income of fishermen and residents
      of fishing villages, and their creation of value added.
      Fourth, policy support to fishing villages such as the support to
      returnee fishermen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enliven the fishery
      economy that is suffering from the gradual loss of competitiveness due to
      the aging and population decrease in the residents. More efforts should
      be devoted to secure the professional fisheries experts such a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raise the promising
      human resources that will react flexibly to the value and the potential of
      the marine fisheries resources and lead the new era of local fisheri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ly suggests timely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scrutinized examination of conditions and
      realitie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Besides, this study covers statistical
      indicators and suggests policy project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reparations of policy measures that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Jeonnam marine fisher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by the policy makers of the local marine
      fisheries and regional fishery managers.
      번역하기

      Jeollanam-do (hereinafter, Jeonnam) Province, as the country's de facto first province leading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is equipped with optimized location, humane and natural environments for fisheries. However, it is increasingly faced with dif...

      Jeollanam-do (hereinafter, Jeonnam) Province, as the country's de
      facto first province leading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is equipped
      with optimized location, humane and natural environments for fisheries.
      However, it is increasingly faced with difficult situations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fisheries are getting aggravated,
      and thus the policy measures for securing the survival and sustainability
      of fisheries are urgent.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marine fisheries in Jeonnam Province and, based on
      this analysis, to select the priority area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uture growth of the marine fisheries in
      Jeonnam Province.
      Until now, the development strategies relating to marine fisheries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is with focusing on some competitive varieties
      and items, based on the data on overall Korean fisheries. In addition, data
      or informations relating to marine fisheries issued by local research
      institutions are out of date and thus not adequate to utilize. In case of
      researches on Jeonnam marine fisheries, the focus was on the specific
      sectors of the fisheries, therefore, the policy data for establishing the
      overall development indicator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utilizing the
      most recent data and information available, purports to analyze the statu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to select the policy measures,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that should be urgently carried out reflecting
      the realitie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For the effective conduct of the research and the timely policy
      recommend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position of marine
      fisheries sector by conducting the SWOT analysis for each sector of the
      marine fisheries of Jeonnam Province. The SWOT analysis shows that
      Jeonnam marine fisheries have more advantages than other local marine
      fisheries and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than the others, if it
      overcomes the weakness and threats and utilizes the strength and
      opportunities. Thus, the Jeonnam Province can help to strengthen the
      food security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f it develops the marine
      fisheries as a new engine for the development.
      Beside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ies and provides the found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ies by examining comprehensively the value of fishing
      port that is considered as the sources of local fisheries development and
      the creation of value added.
      Based on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with proposing some core projects for the preparation of
      policies required to develop the marine fisheries in order to revive the
      Jeonnam Province as the country's de facto first province leading the
      development of marine fisheries in the future.
      The major policy recommendations deriv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eonnam Province should secure and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marine fisheries resources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of marine fisheries. It should maintain the stable amount of
      fisheries resources by setting an adequate closed season and operating
      area, and expanding sea ranch and sea forests. In addition, it should
      prevent the over-fishing and devastation of fishing ground resulting from
      over -fishing by the continued implementation of the restructuring of the
      offshore fishing vessels and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order.
      Second, small-scale fisheries and their structure need to be scaled
      and commercialized to raise the fisheries that can produce high value
      added. The income of fishermen and the benefits of consumers need to
      be maximized by the improvements of underdeveloped marine fisheries
      distribution structure. In addition, Jeonnam Province should raise
      aquaculture industry as a strategic industry yielding high value added in
      the future. To fulfil this purpose, the restructuring of fisheries should be
      enforced and future strategic breeds should be raised intensively.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quality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safety barriers of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food
      hygiene and safety requirements and to ensure export competitiveness of
      local fisheries products.
      Third, multi-functional complex fishing ports that meet local condition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of fishing
      ports in order to secur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fishing villages, the
      conditions of stable production, other income of fishermen and residents
      of fishing villages, and their creation of value added.
      Fourth, policy support to fishing villages such as the support to
      returnee fishermen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enliven the fishery
      economy that is suffering from the gradual loss of competitiveness due to
      the aging and population decrease in the residents. More efforts should
      be devoted to secure the professional fisheries experts such a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raise the promising
      human resources that will react flexibly to the value and the potential of
      the marine fisheries resources and lead the new era of local fisheri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ly suggests timely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scrutinized examination of conditions and
      realitie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Besides, this study covers statistical
      indicators and suggests policy project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reparations of policy measures that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Jeonnam marine fisher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by the policy makers of the local marine
      fisheries and regional fishery manag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라남도(이하 전남)는 명실상부 우리나라의 수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제1의 해양수산도로서 수산업에 최적화된 입지조건과 인문·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수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갈수록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어, 수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남 해양수산의 현황과 대내·외적 여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남 해양수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 성장동력화’를 위한 우선과제 선정 및 제언마련에 목적을 두어 연구를 추진하였다.
      지금까지 해양수산 관련 발전전략 개발은 주로 우리나라 수산업 전반에 대한 분석자료를 토대로 일부 경쟁력을 갖춘 품종 및 품목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아울러 지역의 연구기관에서 발행하는 해양수산 관련 연구자료들은 이미 시일이 많이 경과되어 적시성이 떨어진다. 또 전남에 관한 연구의 경우에도 지역의 특화된 일부 수산업 부문에 대한 연구 성과가 주를 이루고 있어, 수산부문 전반을 아우른 발전지표 설정을 위한 정책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자료 및 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의 수산업 여건을 분석하고 수산업계의 현실을 최대한 반영, 시급히 추진해야할 정책과제 선정 및 제언에 본질적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효율적인 수행과 적시성을 갖춘 정책제언을 위해 전남의 각 수산부문에 대한 SWOT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 해양수산부문의 현 위치를 파악해 보았다. 전남의 연근해어선어업, 양식어업, 유통·가공업의 약점과 위협요소를 제거하고 강점과 기회요인을 지혜롭게 활용한다면 수산자원의 특성이 타 지역에 비하여 매우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전남발전의 우선순위로 수산업을 선정하고, 신성장동력화 한다면 향후 식량안보의 극복은 물론,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수산업 발전과 부가가치 창출의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어항의 가치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어항 개발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발전전략 마련을 위한 토대를 쌓고자 하였다. 끝으로 이와 같은 연구수행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전남이 경쟁력을 갖춘 해양수산도로 거듭나기 위한 수산업 육성방안 마련에 대해 몇 가지 핵심과제를 들어 정책제언을 해 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정책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 수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채산성 유지를 위해 해양수산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현실에 적합한 금어기, 조업구역 등의 설정과 함께 바다목장·바다 숲 조성을 확대하여 수산자원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연근해어선어업에 대한 구조조정의 지속적 시행과 어업질서 확립을 통해 수산자원의 남획 및 이로 인한 어장 황폐화를 방지해야만 한다.
      둘째,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수산업 육성을 위해 영세한 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는 수산업 구조를 규모화·기업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낙후된 수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어업인들의 소득창출과 함께 수요자들의 편익을 극대화 해야만 한다. 아울러 양식어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한편, 미래 양식 전략품종에 대한 집중 육성을 통해, 양식산업을 향후 지역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여 고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식품위생·안전장벽을 극복하고 지역 수산물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수산물의 안전 및 품질관리를 강화해야만 할 것이다.
      셋째 어항에 대한 기반시설 확충을 통해 어촌의 정주여건과 어민들의 안정적인 생산 환경을 보장하고, 어업인·어촌주민의 어업 외 소득 확보와 부가가치 창출 차원에서 지역의 수산여건에 적합한 복합적 다기능 어항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점차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어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귀어가 지원방안마련 등 정책적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수산해양자원의 가치와 발전가능성에 유연하게 반응하고, 지역의 신 해양시대를 선도할 유망인재 육성 차원에서 인재양성기관 설립 등 수산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전남 해양수산의 여건과 현실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고, 시의성을 확보한 정책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전남 해양수산업의 발전 및 선진화를 위한 방안 마련 시 필히 고려해야 할 통계지표와 정책적 수행과제를 다루고 있다. 지역의 해양 및 수산관련 정책 입안자들과 수산경영인들에게 본 연구의 의의가 폭 넓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전라남도(이하 전남)는 명실상부 우리나라의 수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제1의 해양수산도로서 수산업에 최적화된 입지조건과 인문·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수산업을 둘러싼 대내·�...

      전라남도(이하 전남)는 명실상부 우리나라의 수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제1의 해양수산도로서 수산업에 최적화된 입지조건과 인문·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수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갈수록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어, 수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남 해양수산의 현황과 대내·외적 여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남 해양수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 성장동력화’를 위한 우선과제 선정 및 제언마련에 목적을 두어 연구를 추진하였다.
      지금까지 해양수산 관련 발전전략 개발은 주로 우리나라 수산업 전반에 대한 분석자료를 토대로 일부 경쟁력을 갖춘 품종 및 품목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아울러 지역의 연구기관에서 발행하는 해양수산 관련 연구자료들은 이미 시일이 많이 경과되어 적시성이 떨어진다. 또 전남에 관한 연구의 경우에도 지역의 특화된 일부 수산업 부문에 대한 연구 성과가 주를 이루고 있어, 수산부문 전반을 아우른 발전지표 설정을 위한 정책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자료 및 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의 수산업 여건을 분석하고 수산업계의 현실을 최대한 반영, 시급히 추진해야할 정책과제 선정 및 제언에 본질적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효율적인 수행과 적시성을 갖춘 정책제언을 위해 전남의 각 수산부문에 대한 SWOT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 해양수산부문의 현 위치를 파악해 보았다. 전남의 연근해어선어업, 양식어업, 유통·가공업의 약점과 위협요소를 제거하고 강점과 기회요인을 지혜롭게 활용한다면 수산자원의 특성이 타 지역에 비하여 매우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전남발전의 우선순위로 수산업을 선정하고, 신성장동력화 한다면 향후 식량안보의 극복은 물론,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수산업 발전과 부가가치 창출의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어항의 가치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어항 개발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발전전략 마련을 위한 토대를 쌓고자 하였다. 끝으로 이와 같은 연구수행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전남이 경쟁력을 갖춘 해양수산도로 거듭나기 위한 수산업 육성방안 마련에 대해 몇 가지 핵심과제를 들어 정책제언을 해 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정책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 수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채산성 유지를 위해 해양수산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현실에 적합한 금어기, 조업구역 등의 설정과 함께 바다목장·바다 숲 조성을 확대하여 수산자원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연근해어선어업에 대한 구조조정의 지속적 시행과 어업질서 확립을 통해 수산자원의 남획 및 이로 인한 어장 황폐화를 방지해야만 한다.
      둘째,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수산업 육성을 위해 영세한 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는 수산업 구조를 규모화·기업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낙후된 수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어업인들의 소득창출과 함께 수요자들의 편익을 극대화 해야만 한다. 아울러 양식어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한편, 미래 양식 전략품종에 대한 집중 육성을 통해, 양식산업을 향후 지역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여 고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식품위생·안전장벽을 극복하고 지역 수산물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수산물의 안전 및 품질관리를 강화해야만 할 것이다.
      셋째 어항에 대한 기반시설 확충을 통해 어촌의 정주여건과 어민들의 안정적인 생산 환경을 보장하고, 어업인·어촌주민의 어업 외 소득 확보와 부가가치 창출 차원에서 지역의 수산여건에 적합한 복합적 다기능 어항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점차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어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귀어가 지원방안마련 등 정책적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수산해양자원의 가치와 발전가능성에 유연하게 반응하고, 지역의 신 해양시대를 선도할 유망인재 육성 차원에서 인재양성기관 설립 등 수산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전남 해양수산의 여건과 현실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고, 시의성을 확보한 정책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전남 해양수산업의 발전 및 선진화를 위한 방안 마련 시 필히 고려해야 할 통계지표와 정책적 수행과제를 다루고 있다. 지역의 해양 및 수산관련 정책 입안자들과 수산경영인들에게 본 연구의 의의가 폭 넓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범위 및 추진체계 3
      • 4. 연구방법 5
      • 제 1 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범위 및 추진체계 3
      • 4. 연구방법 5
      • 가. 문헌조사 5
      • 나. 통계분석 5
      • 다. 자료요구 6
      • 라. 설문조사 6
      • 마. 현장방문 및 세미나 참석 7
      • 제 2 장 전남 해양수산 현황분석 8
      • 1. 서론 8
      • 2. 전남 해양수산의 현황 8
      • 가. 전남 해양수산의 여건과 현황 분석 8
      • 나. 전남 해양수산을 둘러싼 대내·외적 여건 분석 17
      • 3. 고찰 26
      • 제 3 장 수산자원관리 현황과 특성 27
      • 1. 서론 27
      • 2. 수산 부문별 SWOT분석 27
      • 가. 연근해 어선어업의 특성 27
      • 나. 양식어업의 특성 39
      • 다. 유통·가공업의 특성 49
      • 3. 고찰 59
      • 제 4 장 전남 어항 관리 현황과 특성 60
      • 1. 서론 60
      • 2. 어항 개발을 통한 전남 수산업의 부가가치 창출 61
      • 가. 어항 현황 및 개요 61
      • 나. 전남 어항개발을 통한 어촌 정주여건 조성 66
      • 3. 고찰 84
      • 제 5 장 전남 해양수산업의 성장동력화를 위한 제언 86
      • 1. 서론 86
      • 2. 해양수산업을 통한 풍요로운 미래 실현 87
      • 가. 전남 연안해역의 수산자원 관리 87
      • 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수산업 육성 100
      • 다.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어항 관리 112
      • 라. 지속가능한 수산업 발전을 위한 수산 전문인력 양성 122
      • 3. 고찰 126
      • 참고문헌 128
      • 영문초록 135
      • 감사의 글 1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