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국의 문화예술기관 82개를 대상으로 운영주체, 지배구조, 관리체계상의 특성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운영주체는 정부직영(광역), 정부직영(기초), 공기업위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86177
2015
Korean
학술저널
222-251(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국의 문화예술기관 82개를 대상으로 운영주체, 지배구조, 관리체계상의 특성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운영주체는 정부직영(광역), 정부직영(기초), 공기업위탁, ...
본 연구는 전국의 문화예술기관 82개를 대상으로 운영주체, 지배구조, 관리체계상의 특성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운영주체는 정부직영(광역), 정부직영(기초), 공기업위탁, 법인위탁으로 구분하였으며, 기관 운영의 효율성은 공연장 가동률, 공연장 수익률을 통해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미션과 비전이 공연장 가동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둘째, 운영주체(광역)일 때보다 운영주체(기초)인 경우 공연장 가동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셋째, 기관의 시설수와 직원의 수가 공연장 가동률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운영주체(민간위탁)인 경우 공연장 수익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다섯째, 운영주체(공기업)인 경우 공연장 수익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여섯째, 기관의 시설수가 공연장 수익률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정부 3.0 성공가능성에 대한 정책과정과 e_거버넌스의 영향력 차이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