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해방이후 조봉암의 정치활동에 대한 비판적 연구 = Critical study on political activities of Cho Bong-Am from the liberation(194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32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 Bong-Am is referred to as a tragic figure in the modern political history of Korea, which is based on his personal political events, including the conversion from communism, the disbandment of a progressive party, the judicial murder committed by ...

      Cho Bong-Am is referred to as a tragic figure in the modern political history of Korea, which is based on his personal political events, including the conversion from communism, the disbandment of a progressive party, the judicial murder committed by the Rhee Syng-man government on July 31, 1959. A brief look at his political life reveals that he participated in the Communist activities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for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and for the national liberation on the Communist l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urn from the popular political activities and communism in the area of Incheon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he tried to practice his social democratic principles through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and to make an independent nation state, holding fast to the neutral line, which was neither for the United States nor for the Soviet Union and against the capitalism system and the communism, in the midst of the cold war system of the aggravated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participating in the independent election and the independent government of South Korea. He was appointed as the first minister of agriculture and forestry by Rhee Syng-man to make every effort to improve the life of farmers, drafting the land reform plans.
      And, he created the progressive party to make effort to realize his own political philosophy. In particular, he reinforced his image as a practical political leader, forming the labor union for the workers and developing the peaceful unification theory in order to overcome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ng point of the liberal politicians and the progressive parties in order to develop the innovative politics of Korea in the present and future by analyzing the achievements, the activities, and the growth environment of Cho Bong-Am who was activ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and the first republic period.
      Cho Bong-Am was born as the 4th son of a poor farmer in ChangRyung Jo's family on Ganghwa Island on September 25, 1899, helping out his family with a job in the county office after graduating from the primary school and the agricultural supplementary school.
      As a child, he began to recognize dimly the issues of the country and acquire the Christian ideology while attending Jamdu church. Since then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he decided to devote himself to his people and country, leaving Ganghwa island for Seoul. After studying at YMCA in Seoul, he went abroad to study in Japan.
      While studying in Japan, he studied and was engaged in the activities with a great interest in the socialist thought. Since then he was engaged in many activities, including the creation of Communist Party of Chosun as a member of the Communist Party for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In Shanghai, he was arrested for the Communist activities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through the Communist Party of Chosun foreign(abroad) departments and Comintern by the French police and handed over to the the Japanese police and then he served a seven-year sentence in the prison in Shinuiju. After liberation, he stayed in Incheon engaging in the mass movements and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for establishing the unified nation in addition to the conversion from the Communist Party and the activities at Geonjun, the Preparation committee for the Chosun establishment and Minjeon, Democracy and Nationalism.
      Then, he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t election of South Korea, being elected as a Constituent assembly legislator followed by a member of Constitutional drafting committee and took office as a minister after he was offered the first minister of agriculture and forestry by President Rhee Syng-man, making a lot of effort to draft the land reform plans for the farmers. After that, he was elected as a member of the second national assembly and he experienced the Korean war while serving as the vice-chairperson of national assembly and tried to realize the parliamentary democracy. During the Korean War, he maintain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President Rhee Syng-man for political stability.
      Some politicians doubted him and found the length of his foot due to his past record on Communist Party when he was young as a politician in the real life.
      As he ran for the 2nd presidential election, he emerged as a political opponent to Rhee Syng-man government and was politically suppressed at the 3rd election of members for the National Assembly only to fail to file for the member for the National Assembly.
      Since then, he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c unity movement and ran for the 3rd presidential election with the election pledge of the establishment of economic system with exploitation and with Peaceful unification theory, which gave him the widespread support from people. Although he lost the 3rd presidential election to Rhee Syng-man, he was encouraged many votes for him and the progressive party which he redoubled his effort to found celebrated its founding on November 10, 1956.
      Rhee Syng-man at that time started to suppress him as the biggest political opponent at the 4th presidential election, unregistering his progressive party on February 25, 1958 and then he was put to death in violation of National Security Law and Espionage on July 31, 1959.
      This paper was to conduct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n Cho Bong-Am's political activities and line and to classify Cho Bong-Am into Cho Bong-Am in the social democracy and nationalism and Cho Bong-Am as the politician in the real world.
      A close look at the history of political parties and history of Korean politics casts doubt whether the innovative (progressive) parties have had the capability of getting the regime. The powerful innovative parties and the politicians who would sacrifice themselves like Cho Bong-Am for people are required to answer that question and to answer the desires of people.
      Recently, the requirements among people in the midst of welfare populism are more diversified and increased in their number. And the changeover to the welfare state based on the social democracy as in Northern Europe is considered as a way to solve a variety of present issues of our society and to relieve the political unrest caused by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by some people in our society.
      It is expected that to shed a new light on Cho Bong-Am claiming to support the social democracy will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the contemporary problems in our society and to the understanding and review on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the party of the social democracy ideology in our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봉암(曺奉岩)은 한국 현대정치사에서 비극적인 인물로 평가되는데 그것은 공산주의에서 전향, 진보당 해산, 1959년 7월 31일 이승만정권에 의한 사법(司法) 살인(殺人) 등 그의 개인적인 정...

      조봉암(曺奉岩)은 한국 현대정치사에서 비극적인 인물로 평가되는데 그것은 공산주의에서 전향, 진보당 해산, 1959년 7월 31일 이승만정권에 의한 사법(司法) 살인(殺人) 등 그의 개인적인 정치적 삶에서 연유하고 있다. 그의 정치적 삶을 간략히 살펴보면, 일제 식민지 기간에는 조국의 독립과 민족해방을 위해 공산주의 노선에서 공산당 활동과 민족해방운동을 실시하였고, 미군정기에는 인천지역에서 대중정치 활동과 공산주의로부터 전향하였다.
      해방직후 남한 단독 선거 및 단독정부에 참여하여 미.소(美.蘇)의 대립이 격화된 냉전체제 속에서 ‘非美非蘇, 反資本專制 反共産’의 중간파 노선을 견지하면서 의회정치를 통해 그의 사회민주주의 이념을 실천하고, 자주적인 민족국가를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이승만으로부터 초대 농림부장관으로 임명되어 토지개혁 안을 입안하는 등 농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리고 진보당을 창당하여 자신의 정치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특히 남북분단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평화통일론과 노동자들을 위한 노동조합 결성 등은 실천적 정치지도자로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조봉암의 성장 환경, 일제시대와 미군정기 그리고 제1공화국시절에 활동한 조봉암의 업적, 활동 등을 분석하여 현재와 미래의 한국 혁신정치계의 발전을 위해 진보정치인과 진보 정당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봉암은 1899년 9월 25일 강화도에서 빈농인 창녕 조(曺)씨 집안 넷째 아들로 태어나 어려운 가정환경으로 소학교와 농업보습학교를 졸업하고 군청에 고원으로 채용되어 집안을 도왔다. 어린 시절 잠두교회를 다니면서 어렴풋하게나마 나라문제에 대한 인식을 하기 시작하면서 기독교 사상을 체득하게 된다. 이후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면서 민족과 국가를 위해 일할 것을 결심하고 강화도를 떠나 서울 YMCA에서 공부를 하다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일본 유학간 사회주의 사상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공부와 활동을 하였고, 이후 귀국하여 민족해방을 위해 공산당원으로 조선공산당 창당 등 많은 활동을 하였다. 국외인 상해에서는 조선공산당 해외부와 코민테른을 통해 공산당 활동과 민족해방운동을 하다 프랑스 경찰에 체포되어 일본 경찰에 넘겨져 신의주형무소에서 7년간 복역하였다. 해방이후 인천에서 머물며 대중운동을 전개하면서 공산당으로부터 전향, 건준과 민전에서 활동 등 통일국가 수립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남한 단독선거에 참여하여 제헌의원 당선되어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으로서 활동하며, 이승만대통령으로부터 초대 농림부장관직을 제의받아 장관으로 임무를 수행하면서 토지개혁을 위한 개혁안을 마련하는 등 농민들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이후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국회부의장으로 활동을 하면서 한국전쟁을 겪었고, 의회민주주의를 구현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한국전쟁 시기에는 정치적 안정을 위해 이승만대통령과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현실정치인으로 활동시 젊은 시절 공산당에서 활동했던 전력(前歷) 때문에 일부 정치인들이 의심하고 발목을 잡았다.
      제2대통령선거에 입후보하면서 이승만정권으로부터 정적으로 부각되어 정치적 탄압을 받기 시작하여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입후보 등록 방해로 입후보 조차하지 못했다. 이후 민주대동운동에 참여와 1956년 제3대 대통령선거에 입후보하여 선거공약으로 수탈 없는 경제체제 확립과 평화통일론을 주장하여 많은 인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비록 제3대 대통령선거에서 이승만에게 패배는 하였지만 많은 득표에 조봉암은 고무되어 진보당 창당 작업에 박차를 가해 1956년 11월 10일 진보당 창당식을 가졌다.
      당시 이승만은 제4대 대통령선거에서 가장 큰 정적으로 조봉암으로 판단하고 탄압을 가하기 시작하여, 1958년 2월 25일 진보당을 등록 취소하고 이어 1959년 7월 31일 조봉암을 국가보안법 및 간첩죄로 몰아 사형에 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조봉암의 정치 활동과 노선 등을 종합 평가하면서 사회민주주의, 민족주의 측면에서의 조봉암과 현실 정치인으로서의 조봉암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한국의 정당 및 정치사를 살펴보면 혁신(진보) 정당들이 과연 정권을 수권(受權)할 능력을 가졌는지 의구심이 든다. 이런 의구심을 해소하고 인민들의 욕구를 해소해 주기 위한 강력한 혁신 정당과 조봉암과 같이 인민들을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정치인이 요구 된다.
      최근 국민들 사이에는 복지포퓰리즘에 의한 인민들의 요구사항도 날로 다양해지고 많아졌다. 그리고 사회 일각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가 처한 각종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들의 남북 분단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북유럽처럼 사회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한 복지국가로 전환도 한 방법으로 검토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차원에서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한 조봉암을 다시 조명해보는 것은 현재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고민과 문제들을 해결하고, 현재처럼 남북으로 분단된 한국 사회에서 사회민주주의 이념을 가진 정당이 과연 발전 가능성이 있을 것인가에 대한 검토와 이해를 돕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 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6
      • 제3절 연구 방법 및 범위 = 9
      • 국문요약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 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6
      • 제3절 연구 방법 및 범위 = 9
      • 제2장 식민지시대 조봉암의 성장과정과 정치활동 = 11
      • 제1절 3.1운동을 통한 민족의식 함양 및 사회주의 사상 수용 = 11
      • 1. 기독교와 사회의식 고취 = 11
      • 2. 3.1운동 참여와 민족주의 의식 함양 = 13
      • 3. 일본 유학과 사회주의 사상 수용 = 15
      • 제2절 국내공산주의 활동을 통한 민족해방운동 = 19
      • 1. 위공산당사건과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 = 19
      • 2. 베르흐네우딘스크(Verkhneudinsk)대회 참석 = 20
      • 3. 사회주의 청년운동과 대중활동 = 23
      • 4. 조선공산당 창당 및 민족해방운동 = 30
      • 제3절 국제공산주의 운동과 연계한 민족해방운동 = 37
      • 1. 조선공산당 해외부와 코민테른 활동 = 37
      • 2. 상해에서 민족해방운동 전개와 조선공산당과의 관계 소원(疏遠) = 40
      • 제4절 투옥과 전향 의혹, 민족해방운동의 휴지기 = 46
      • 제3장 해방이후 조봉암의 정치활동 = 49
      • 제1절 통일국가 수립 운동 및 단독정부 참여 = 49
      • 1. 통일국가 수립 운동 = 49
      • 2. 단독정부 참여 및 제헌의원 활동 = 61
      • 제2절 농림부장관 입각과 토지개혁 = 65
      • 1. 초대 농림부장관으로 입각 = 65
      • 2. 소작제도 철폐 및 자작농 육성을 위한 토지개혁 = 68
      • 제3절 한국전쟁과 제2대 대통령 선거 출마 = 76
      • 1. 호헌투쟁과 제2대 국회의원 당선 = 76
      • 2. 한국전쟁과 발췌개헌안 지지 = 79
      • 3. 제2대 대통령선거 출마 = 84
      • 4. 한국전쟁 휴전과 이승만의 정치적 탄압 = 89
      • 제4절 진보당 결성과 제3대 대통령 선거 출마 = 91
      • 1. 사사오입 개헌과 신당 참여 좌절 = 91
      • 2. 광릉회합과 진보당 결성 = 94
      • 3. 제3대 대통령 선거 출마 = 98
      • 4. 진보당 창당 = 105
      • 제5절 이승만의 정치적 탄압 = 112
      • 1. 조봉암과 진보당에 대한 정치적 탄압과 해산 = 112
      • 2. 이승만 독재 정권에 의한 처형 115
      • 제4장 조봉암의 정치활동과 노선에 대한 평가 = 118
      • 제1절 사회민주주의자로서 조봉암 = 118
      • 1. 사회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한 정치활동 = 118
      • 2. 국가주도 계획 경제론 = 123
      • 제2절 민족주의자로서 조봉암 = 129
      • 1. 민족해방운동과 자주국가 수립 활동 = 129
      • 2. 평화통일론 = 133
      • 제3절 현실 정치인으로서 조봉암 = 140
      • 1. 의회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한 정치활동 = 141
      • 2. 현실 정치가로서 조봉암 = 146
      • 제4절 소결론 = 150
      • 제5장 결 론 153
      • 제1절 조봉암이 한국 진보정치 발달에 미친 영향 = 153
      • 제2절 향후 연구 및 발전과제 = 155
      • 참고문헌 = 157
      • ABSTRACT = 16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안재성, "『박헌영 평전』", 서울: (주)실천문학, 2015

      2 박태균, "『신동아 1월호』", 대담, ‘강원용목사의 체험 한국현대사②’, 2014

      3 심지연, "『한국정당정치사』", 서울 : 백산서당, 2013

      4 이경식, "“이승만과 조봉암.”", 『한국논단 년 8월호』, 2011, 2011

      5 김학준, "『두산 이동하 평전』", 용인: 단국대학교출판부, 2013

      6 김삼웅, "『죽산 조봉암 평전』", 시대의창, 서울: 시대의 창, 2010

      7 문한동, "“조봉암의 정치이념.”", 부산정치학회, 『부산정치학회보』, 제4호, p 111-127, 1994

      8 서중석, "『이승만과 제1공화국』", 고양: 역사비평사, 2015

      9 차상철, "『이승만과 하지 장군』", 백년동안, 파주: 백년동안, 2015

      10 남시욱, "『한국 진보세력 연구』", 청미디어, 서울: 청미디어, 2009

      1 안재성, "『박헌영 평전』", 서울: (주)실천문학, 2015

      2 박태균, "『신동아 1월호』", 대담, ‘강원용목사의 체험 한국현대사②’, 2014

      3 심지연, "『한국정당정치사』", 서울 : 백산서당, 2013

      4 이경식, "“이승만과 조봉암.”", 『한국논단 년 8월호』, 2011, 2011

      5 김학준, "『두산 이동하 평전』", 용인: 단국대학교출판부, 2013

      6 김삼웅, "『죽산 조봉암 평전』", 시대의창, 서울: 시대의 창, 2010

      7 문한동, "“조봉암의 정치이념.”", 부산정치학회, 『부산정치학회보』, 제4호, p 111-127, 1994

      8 서중석, "『이승만과 제1공화국』", 고양: 역사비평사, 2015

      9 차상철, "『이승만과 하지 장군』", 백년동안, 파주: 백년동안, 2015

      10 남시욱, "『한국 진보세력 연구』", 청미디어, 서울: 청미디어, 2009

      11 김삼웅, "『‘독부’이승만평전』", 서울: (주) 책으로 보는 세상, 2012

      12 김명섭, 이완범, 신형기, 박명림, "『해방전후사의 인식 6』", 서울: 한길사, 1989

      13 주봉호, "조봉암과 진보당-제3의 길",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10월), 501-509, 2009

      14 박세길, "『다시쓰는 한국현대사 2』", 서울: 돌베개, 1989

      15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서울 : 역사비평사, 1998

      16 권대복, 정태영, 오유석, "『죽산 조봉암 전집 1 ~ 6』", 서울: 世明書館, 1999

      17 김기승, "한국근현대 사회사상사 연구", 신서원,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 1994

      18 임지봉, "“죽산 조봉암의 헌법사상.”",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세계헌법연구』 제17권 3호, 2011

      19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상, 하)』", 서울: 역사비평사, 2000

      20 김일영, 이영훈, 박지향, 김철,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1, 2』", 서울: 책세상, 2006

      21 서중석, 한홍구, 정태헌, 정영철, 이만열,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묻다』", 서울:철수와 영희, 2010

      22 서대숙,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연구』", 화다, 대구: 화다신서, 1985

      23 천관우, "『자료로 본 대한민국 건국사』", 지식산업사, 서울: (주) 지식산업사, 2007

      24 홍기표, "『한국 사회와 좌파의 재정립』", 웅진씽크빅, 서울: 웅진씽크빅, 2008

      25 이원규, "“죽산 조봉암을 다시 말한다.”", 『한국일보』3월 2일-5월 11일, 2012

      26 김덕련, 서중석,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 1, 2』", 파주: 도서출판 오월의 봄, 2015

      27 양동안, 조민, 정영훈, 전재호, 이종훈, 오문환, "『근현대 한국정치사상사 연구』", 서울: 논형, 2011

      28 이영석, "『조봉암, 누가 그를 죽였는가?』", 세상의 창, 서울: 세상의 창, 2000

      29 노경채, "“조봉암 진보당 사회민주주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한국민족운동사연구』64호, 441-465, 2010

      30 오유석, "“조봉암-참여속의 개혁주의자.”", 『내일을 여는 역사 제5호』, 2001

      31 정진아,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재검토.”",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일인문학논총』 제48집, 63-86, 2009

      32 한승주, "『제2공화국과 한국의 민주주의』", 종로서적, 서울: 종로서적, 1983

      33 성대경, "엮음. 『한국현대사와 사회주의』", 서울 : 역사비평사, 2004

      34 임홍빈, "“죽산 조봉암은 애 죽어야 했나.”", 『신동아 3월호』, 1983

      35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Ⅰ, Ⅱ』", 파주: (주)나남, 2013

      36 이원규, "『조봉암평전-잃어버린 진보의 꿈』", 한길사, 파주: 한길사, 2013

      37 심지연, "“해방의 의미와 해방전국의 전개,”", 『한국과 국제정치』, 제11권 1호, 1-32, 1995

      38 성병욱, "“1950년대 진보당의 제약요인 연구.”", 대한정치학회, 『대한정치학회보』 14집, 41-73, 2006

      39 정태헌, "『문답으로 읽는 20세기 한국경제사』", 서울: (주)역사비평사, 2013

      40 徐仲錫(Joong-Seok Seo), "“냉전체제와 한국 민족주의의 위상,”",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한국독립운동』 15호, 97-131, 2000

      41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40년대편 1, 2권』", 서울: 인물과 사상사, 2014

      42 안소영, "“해방후 좌익진영의 전향과 그 논리.”", 『역사비평 계간』24호, 288-303, 1994

      43 임경석,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 역사비평사, 서울 : (주) 역사비평사, 2008

      44 서중석, "“민주노동당은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68호, 20-40, 2004

      45 권대복, "『진보당: 당의 활동과 사건관계자료집』", 지양사, 서울: 지양사, 1985

      46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50년대편 1, 2, 3권』", 서울: 인물과 사상사, 2014

      47 김삼웅, "『한 권으로 보는 해방후 정치사 100장면』", 서울: 가람기획, 1994

      48 김지형, "“1956년 대선과 민주당-진보당 야당연합.”",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 98호, 88-120, 2012

      49 조용중, "“정치적 도전의 종말 조봉암 복권 신청.”", 『월간조선 2월호』, 1985

      50 홍석률, "『통일문제와 정치‧사회적 갈등: 1953~1961』",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51 정태영, "『한국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역사적 기원』", 후마니타스, 서울: 후마니타스, 2007

      52 이윤희, "“미군정기 인천에서의 좌.우투쟁의 전개.”", 『역사비평』4호, 195-218, 1989

      53 서중석, "“조봉암 진보당의 진보성과 정치적 기반.”", 『역사비평』 18호, 16-32, 1992

      54 손호철, "『현대 한국정치: 이론, 역사, 현실, 1945~2011』", 이매진, 서울: 이매진, 2011

      55 정진아, "“제1공화국 초기(1948∼1950)의 경제정책 연구,”",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제106호, 234-235, 1999

      56 문한동, "“조봉암 연구 : 정치활동과 노선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경남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92

      57 주대환, "『진보정당은 비판적 지지를 넘어설 수 있는가』", 이후, 서울: 도서출판 이후, 2002

      58 오연호, "“미8군 사령관의 반이승만 쿠데타 작전계획서.”", 『월간 말 6월호』, 1993

      59 이영석, "『(죽산)조봉암 : 그의 슬픈 삶과 죽음의 이야기』", 서울: 원음출판사, 1983

      60 이현주, "“曺奉岩의 평화통일노선에 대한 검토(1946~1958).”", 『한국 근대사 연구』18호, 195-223, 2001

      61 조현연, "“죽산 조봉암, 진보당과 21세기 한국의 진보정치.”",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동북아연구』18호, 183-220, 2010

      62 윤상현, "“조봉암(1899~1959)의 정치활동과 사회민주주의사상.”", 『한국사론』52호, 129-183, 2006

      63 정태영, "『조봉암과 진보당 : 한 민주사회주의자의 삶과 투쟁』", 후마니타스, 서울:후마니타스, 2006

      64 김성보, "“법살 50주기에 돌아보는 진보당과 조봉암의 역사의식.”",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88호, 200-214, 2009

      65 이기봉, "“뒤집히는 大韓民國史 - 조봉암은 간첩이 아닌 애국자다?”", 『한국논단년 9월호』, 1999, 1999

      66 정승현, "“조봉암ㆍ진보당과 한국 현대 진보이념 : 그 기원과 전개.”",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현대정치연구』 (봄), 115-143, 2013

      67 오유석, "“역대 대통령선거에서 맞선 라이벌 : 이승만대조봉암ㆍ신익희.”", 『역사비평 계간 17호』, 1992

      68 정태영, "“일제하 민족해방투쟁과 조봉암의 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991

      69 오유석, "“진실화해위, 진보당 조봉암 사건 진실규명 결정의 의의와 한계.”", 새얼문화재단, 『황해 문화 12월호』, 2007

      70 김영근, "“한국 이념정당에 관한 연구 : 사회민주주의 제 정당분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경기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0

      71 오유석, "“한국 사회균열과 정치사회구조형성 연구 : 제1공화국 총선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72 이현주, "『해방전후 통일운동의 전개와 시련 : 민족통일전선론에서 평화통일론까지』", 지식산업사, 서울: 지식산업사, 2008

      73 이영민, "“역사왜곡하는 과거사위, 조봉암사건에 대한 과거사위의 결정을 규탄한다.”", 한국논단, 『한국논단 년 11월호』, 2007, 2007

      74 박태균, "“조봉암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 - 3대 대선 관련보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황해문화』3월호, 새얼문화재단, 2001

      75 김태우, "“남북한의 통일정책 전개과정 연구, 1954~61년 : 무력통일론에서 평화통일론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1

      76 정태영, "“한국의 사회민주주의 정당 연구, 1945~1961 : 이념적 정향과 정치행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국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95

      77 도널드, "스턴 맥도널드 지음. 한국역사연구회 년대반 옮김. 『한미관계20년사(1945~1965년) 해방에서 자립까지』", 서울: 한울, 2001, 19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