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 A survey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0962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6.02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i, 94 p. : 삽화, 표 ; 26cm

      • 일반주기명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경화
        참고문헌: p. 81-86

      • UCI식별코드

        I804:11044-000002221087

      • 소장기관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programs. First, we examined the variables related to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 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programs. First, we examined the variables related to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 addition, we assessed the current statu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actually provided in the education field.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direct the future development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a basis for effective practice of the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questions;
      Question 1: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including age, careers, academic achievement, licenses and certificates, type of education institutions, and age of the preschoolers influence their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formation, understanding, perception level, knowledge)?
      Question 2: How widely ar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preschools?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of a total of 180 kindergarten teachers who teach preschoolers aged between 3 to 5 years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and Chungbuk Province. We used a modified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Status of the Related Programs' based on related literatures Moon Yong-Rin, Choi In-Soo(2010),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i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Choi Il-Seon, Kim Jeong-Sin(2014), and 'Development and Effect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each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Pak Soon-Jeon(2013).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the Scheffé post-hoc analysis was carried out in cas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ch the background 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i.e., age, careers, academic achievement, licenses and certificates, type of education institutions, and age of the preschool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However, despit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he mode of education was a challenge to teachers in the field. Therefore,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various teaching and education materials are need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Second, older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cluding concept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methods as well as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the above difference,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it might be necessary to divide teachers into career and entry teacher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hird, for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general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s compared to childcare center teachers.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laced a greate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kindergartens have mor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future,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offered to childcare center teachers to improve their general understanding of various aspects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Fourth,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in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were surprisingly few. Increased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including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Collectively, our results indicated that despit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the effective mode of teaching students through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was a challenge to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raining and education support for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among teachers and develop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인식을 알아보고 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창의․인성 교육...

      본 연구에서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인식을 알아보고 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창의․인성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면서 앞으로 창의․인성 교육의 방향제시와 실천의 위한 기초적인 자료가 되길 바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교사들의 배경변인(연령, 경력, 학력, 소지 자격증, 교육기관, 담당 유아연령)에 따라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정보, 이해, 인식 정도, 지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창의·인성 교육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경기도,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현재 만3, 4, 5세를 맡고 있는 유아반 교사 18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설문지로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관련문헌 문용린, 최인수 (2010)와 선행연구인 최일선, 김정신(2014)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 과 박순정(2013)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경우에는 사후검정 Scheffé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배경변인(연령, 경력, 최종학력, 소지 자격증,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교사들이 창의·인성 교육에 대해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어떻게 유아들을 지도해야하는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현장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재교구와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해야한다.
      둘째, 창의·인성 교육의 이해 정도(개념, 내용, 추구하는 특성, 교육방법)와 창의성요소와 인성요소의 내용이해 정도에서 교사의 변인 중 연령과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이해도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를 할 경우에는 경력교사와 신입교사를 구분하여 수준별로 연수내용을 다르게 하는 것도 고려해봐야 한다.
      셋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인식의 차이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어린이집 교사들보다 인식 수준이 더 높았다. 이는 교육부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됨에 따라 유치원에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앞으로 어린이집 교사들에게도 다양한 방면으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창의·인성 교육의 전반적인 이해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연수기회가 너무 적었다. 교사들에게 창의·인성 교육에 대해 연수 기회를 많이 늘리고 연수를 통해 현장에서 교육을 하는 교사들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과 프로그램을 지도해야한다.
      결국 창의·인성 교육에 대해 교사들이 중요성을 인식은 하고는 있지만 어떻게 지도해야할지 모르는 어려움이 있기에 창의·인성 교육의 연수나 교육지원을 늘리고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학습방법 대한 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ⅵ
      • ABSTRACT ⅸ
      • 목 차
      • 국문초록 ⅵ
      • ABSTRACT ⅸ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5
      • 1)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 5
      • 2)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 6
      • 2. 유아기 창의·인성의 발달과 지도 10
      • 1) 유아 창의·인성 발달 10
      • 2) 누리과정에서의 창의·인성 관련요소 18
      • 3) 창의·인성 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22
      • Ⅲ. 연구방법 25
      • 1. 연구대상 25
      • 2. 설문지 26
      • 3. 연구절차 27
      • 4. 자료 처리 28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9
      • 1.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29
      • 2. 창의·인성 교육의 운영 실태 69
      • Ⅴ. 논의 및 결론 75
      • 1. 논의 75
      • 2. 결론 및 제언 78
      • 참고문헌 81
      • 부록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