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종의 상담기법으로 연구, 활용되어 온 명상의 내적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을 질적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통찰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427124
서울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상담심리학 전공 , 2001. 2
2001
한국어
186.3 판사항(4)
서울
62p. ; 26cm .
참고문헌: p. 51-5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종의 상담기법으로 연구, 활용되어 온 명상의 내적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을 질적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통찰명...
본 연구는 일종의 상담기법으로 연구, 활용되어 온 명상의 내적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을 질적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통찰명상 수행자를 대상으로 최근 3개월간의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3명의 평정자들과 함께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질적분석방법은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의 과정과 방법을 참고하였다. 먼저 각 사례의 명상 경험내용을 주요영역에 할당하고, 각 주요영역의 중심생각을 요약한 후, 전체 사례에서 공통적인 중심생각을 묶어 범주화하였다. 각 범주들을 일반적, 전형적, 변동적의 세 가지 빈도에 따라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은 통찰명상의 주요특징인 '알아차림'의 속성 및 대상관련 경험내용,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난 생활영역과 이를 초래한 경험내용 등 총 네 개의 주요영역으로 크게 구분되었다. 네 개의 주요영역에 걸쳐 총 45개의 상, 하위 범주가 구성되었다. 이들 범주에는 알아차림의 명확성, 신체감각의 민감화, 잠재된 정서의 의식화, 몸과 마음의 연결성에 대한 이해 및 통찰, 안정감·평온감, 자기 상태와 변화에 대한 이해 등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통찰명상 수행자들과의 실제 인터뷰 내용을 발췌하여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에서 각 주요영역과 범주들간의 관련성 및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통찰명상이 경험내용상 폭넓은 다양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명상의 이러한 경험내용들을 상담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과 비교함으로써 명상을 상담에 체계적으로 적용, 통합해나가는 데 명상 자체의 내적과정 및 경험내용에 대한 이해가 의미있을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experience in meditation which has been studied as a sort of counseling technique and applied to counseling. A qualitative methodology was adopted to analyze the experiences in insight meditation. For the...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experience in meditation which has been studied as a sort of counseling technique and applied to counseling. A qualitative methodology was adopted to analyze the experiences in insight meditation. For the data collection, eight insight meditators were interviewed about the experiences in insight meditation for the latest three months. In terms of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the discussion and consensual process among judges. First, each block of data from each case was assigned into domains. Data in domains were abstracted into core idea and similar core ideas within domains across all cases were categorized. Each category was labeled as general, typical, variant frequency.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ences in insight meditation divided into four domains, that is, the experienc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object of awareness, the life areas positively influenced by meditation and the experiences causing them. Forty five categories were constructed across four domains. These categories were the clearness of awareness, the sensitivity about bodily sensations, the consciousness of latent emotion, the insight of connection between body and mind, the sense of stability and calmness and the understanding of self-state and change etc. Finally, narrative accounts of cases were selected to look into the relations and changing processes among each domain and category in the respective cases. The internal experiences in meditation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xperiences in counseling proces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