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위 아동학대특례법의 법적 쟁점 및 실효성 검토 = Legal Issues and Effectiveness of So-Called Special Act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Crimes of Child Ab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2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tragedies, including one that happened in Ulju, Ulsan in South Korea in which a stepmother abused and murdered here stepdaughter, have shocked the general public. As a response, Korean citizens have taken a heightened interest in the government's response to such child abuse cases, and the passage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Act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Crimes of Child Abuse (hereinafter Child Abuse Act) is to be welcomed with both arms open. As it is a response to the beforementioned tragedy, the Child Abuse Act takes on a child welfare perspective, focusing on the return of the family as it was before abuse. In addition, the act is valuable because it seeks to establish a system to coordinate the protection of the abused child and the punitive measure against the assailant, and because it strengthened the punishment against the assailant and enhanced protection for the abused child by revising criminal case procedures for such cases.
      However, this law suffers from issues that may raise a multitude of legal problems, including some regarding the criminal law itself(the definition of child abuse crime and what constitutes the criminal act), as well as criminal procedures (actions taken by the court, prosecutor's conditional suspension of indictment), and correctional issues (problems in the laws regarding phychiatric care for the assailant). A law that has been created will work when the effective protective measures take place, which is not the cas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law. It is referring to, of course, the lack of infrastructure, low rates of reports on child abuse, grandiose alternatives, problems with treatment procedures, and the lack of public awareness on the issues. Improvements on these may be made by setting up the infrastructure, expanding surveillance of child abuse, forcing government to show resolve for enforcing the law, raising public awareness, and creating effective policies.
      This dissertation reviewed this law that seems to have been created hastily without much research; on its implementation, this study delves into the major points and the problems the law bears, as well as case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and legislative points to consider in the future. This research reviews the major conflicts in the Child Abuse Act, and by reviewing its effectiveness, attempts to provide additional legislative issues to consider, as well as plans for improving response systems of investigative agencies and the courts. To achieve these goals, this paper is organized into: I. Introduction, II. Comparative Review III. Overview of the Act, IV. Legal Issues Regarding the Act, V. Revie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ct, and VI. Conclusion.
      In the end, the conclusion of this dissertation is that Child Abuse act suffers from several problems despite is important nature in the punishment and treatment of child abusers, and that such issues should be addressed.
      번역하기

      Recent tragedies, including one that happened in Ulju, Ulsan in South Korea in which a stepmother abused and murdered here stepdaughter, have shocked the general public. As a response, Korean citizens have taken a heightened interest in the government...

      Recent tragedies, including one that happened in Ulju, Ulsan in South Korea in which a stepmother abused and murdered here stepdaughter, have shocked the general public. As a response, Korean citizens have taken a heightened interest in the government's response to such child abuse cases, and the passage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Act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Crimes of Child Abuse (hereinafter Child Abuse Act) is to be welcomed with both arms open. As it is a response to the beforementioned tragedy, the Child Abuse Act takes on a child welfare perspective, focusing on the return of the family as it was before abuse. In addition, the act is valuable because it seeks to establish a system to coordinate the protection of the abused child and the punitive measure against the assailant, and because it strengthened the punishment against the assailant and enhanced protection for the abused child by revising criminal case procedures for such cases.
      However, this law suffers from issues that may raise a multitude of legal problems, including some regarding the criminal law itself(the definition of child abuse crime and what constitutes the criminal act), as well as criminal procedures (actions taken by the court, prosecutor's conditional suspension of indictment), and correctional issues (problems in the laws regarding phychiatric care for the assailant). A law that has been created will work when the effective protective measures take place, which is not the cas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law. It is referring to, of course, the lack of infrastructure, low rates of reports on child abuse, grandiose alternatives, problems with treatment procedures, and the lack of public awareness on the issues. Improvements on these may be made by setting up the infrastructure, expanding surveillance of child abuse, forcing government to show resolve for enforcing the law, raising public awareness, and creating effective policies.
      This dissertation reviewed this law that seems to have been created hastily without much research; on its implementation, this study delves into the major points and the problems the law bears, as well as case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and legislative points to consider in the future. This research reviews the major conflicts in the Child Abuse Act, and by reviewing its effectiveness, attempts to provide additional legislative issues to consider, as well as plans for improving response systems of investigative agencies and the courts. To achieve these goals, this paper is organized into: I. Introduction, II. Comparative Review III. Overview of the Act, IV. Legal Issues Regarding the Act, V. Revie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ct, and VI. Conclusion.
      In the end, the conclusion of this dissertation is that Child Abuse act suffers from several problems despite is important nature in the punishment and treatment of child abusers, and that such issues should be addre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울산 울주에서 일어난 계모의 의붓딸 학대사망사건 등 끔찍한 사건이 일어나 우리 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이에 아동학대 대응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소위 아동학대특례법이 제정되어 지금 현재 시행중인 것은 아주 반길만하다. 따라서 동 특례법은 아동복지적 관점에서 원래 상태의 가정으로의 회복을 최우선에 두고 처리하였으며 피해아 동의 보호와 가해자 조치를 동시에 진행ㆍ연계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아동학대 피해자 보호를 위한 형사절차특례 및 보호절차규정과 가해행위자에 대한 보호처분을 강화한 점에서 특례법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특례법은 형법적 문제(아동학대범죄의 개념, 구성요건상 문제), 형사절차의 문제(법원의 조치, 검사의 조건부 기소유예 문제), 교정상 문제(치료사법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법률적 쟁점이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이왕에 만든 법이라면 실효성 있는 보호장치가 제대로 작용되어야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는데, 법의 시행상 몇가지 문제가 있다.
      인프라부족, 신고의무자의 신고율 저조 문제, 거창안 대안, 처리절차의 문제, 국민의 인식부족 등이 그것이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인프라 구축, 아동보호를 위한 사회적 감시망 확충, 정부의 실천의지, 국민의 사회적인식의 대전환, 효과성 있는 정책수립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충분한 검토 없이 졸속으로 만들어진 느낌마저 주는 위 특례법의 시행에 즈음하여 위 특례법의 주요 내용 및 문제점, 외국의 입법례, 향후 입법론적 추가사항 등을 검토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로 아동학대특례법의 쟁점을 검토하고, 실효성을 검토함 으로써 향후 입법론에 추가사항과 수사기관, 법원의 대응체제개선방안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Ⅰ. 들어가는 글, Ⅱ. 비교법적검토, Ⅲ. 특례법 개관, Ⅳ. 특례법과 관련된 법률적 쟁점, Ⅴ. 특례법의 실효성 검토, Ⅵ. 나오는 글의 순으로 검토하였다.
      결국 아동학대 특례법은 아동학대범죄의 처벌과 처리에 관한 중요한 법이지만 몇가지 문제점이 있어 이를 극복한다면 좋겠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번역하기

      최근 울산 울주에서 일어난 계모의 의붓딸 학대사망사건 등 끔찍한 사건이 일어나 우리 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이에 아동학대 대응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소위 아동학대특례...

      최근 울산 울주에서 일어난 계모의 의붓딸 학대사망사건 등 끔찍한 사건이 일어나 우리 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이에 아동학대 대응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소위 아동학대특례법이 제정되어 지금 현재 시행중인 것은 아주 반길만하다. 따라서 동 특례법은 아동복지적 관점에서 원래 상태의 가정으로의 회복을 최우선에 두고 처리하였으며 피해아 동의 보호와 가해자 조치를 동시에 진행ㆍ연계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아동학대 피해자 보호를 위한 형사절차특례 및 보호절차규정과 가해행위자에 대한 보호처분을 강화한 점에서 특례법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특례법은 형법적 문제(아동학대범죄의 개념, 구성요건상 문제), 형사절차의 문제(법원의 조치, 검사의 조건부 기소유예 문제), 교정상 문제(치료사법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법률적 쟁점이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이왕에 만든 법이라면 실효성 있는 보호장치가 제대로 작용되어야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는데, 법의 시행상 몇가지 문제가 있다.
      인프라부족, 신고의무자의 신고율 저조 문제, 거창안 대안, 처리절차의 문제, 국민의 인식부족 등이 그것이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인프라 구축, 아동보호를 위한 사회적 감시망 확충, 정부의 실천의지, 국민의 사회적인식의 대전환, 효과성 있는 정책수립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충분한 검토 없이 졸속으로 만들어진 느낌마저 주는 위 특례법의 시행에 즈음하여 위 특례법의 주요 내용 및 문제점, 외국의 입법례, 향후 입법론적 추가사항 등을 검토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로 아동학대특례법의 쟁점을 검토하고, 실효성을 검토함 으로써 향후 입법론에 추가사항과 수사기관, 법원의 대응체제개선방안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Ⅰ. 들어가는 글, Ⅱ. 비교법적검토, Ⅲ. 특례법 개관, Ⅳ. 특례법과 관련된 법률적 쟁점, Ⅴ. 특례법의 실효성 검토, Ⅵ. 나오는 글의 순으로 검토하였다.
      결국 아동학대 특례법은 아동학대범죄의 처벌과 처리에 관한 중요한 법이지만 몇가지 문제점이 있어 이를 극복한다면 좋겠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환, "형사정책(하인쯔 찌프 저)" 한국 형사정책 연구원 1993

      2 배종대, "형사정책" 홍문사 2013

      3 서보학, "형사절차상 성범죄 피해아동보호방안" 7 (7): 1996

      4 배종대, "형법개정의 기본방향" (겨울) : 2004

      5 박상기, "형법각론(제8판)" 박영사 2011

      6 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13

      7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12

      8 이형국, "형법각론" 법문사 2007

      9 김일수, "형법각론" 박영사 2007

      10 임웅, "형법각론" 법문사 2013

      1 김영환, "형사정책(하인쯔 찌프 저)" 한국 형사정책 연구원 1993

      2 배종대, "형사정책" 홍문사 2013

      3 서보학, "형사절차상 성범죄 피해아동보호방안" 7 (7): 1996

      4 배종대, "형법개정의 기본방향" (겨울) : 2004

      5 박상기, "형법각론(제8판)" 박영사 2011

      6 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13

      7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12

      8 이형국, "형법각론" 법문사 2007

      9 김일수, "형법각론" 박영사 2007

      10 임웅, "형법각론" 법문사 2013

      11 이상희, "한·일 아동학대 관련 법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225-248, 2008

      12 이호중, "학대피해아동의 보호를 위한 법체계의 개선방향" 2013

      13 문영희, "학대피해아동의 보호를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아동인권의 관점에서-" 법학연구소 38 (38): 155-182, 2014

      14 박종배, "학대피해아동보호 및 치료를 위한 법체계의 방향, 아동학대 현황으로 살펴보는 대한민국 아동의 오늘과 내일" 2012

      15 김상용, "학대아동 보호를 위한 사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12

      16 이승호, "하계연합학술회의한국형사법학회자료집" 2012

      17 이배근, "피학대 아동을 위한 그룹홈 활성화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4

      18 장화정, "특례법 및 개정아동복지법시행을 앞둔 준비사항과 개선점" 2014

      19 정익종, "진상조사위원회제도 개선안과 그에 근거한 정부종합대책평가" 2014

      20 김슬기, "제정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검토" 법학연구원 24 (24): 201-229, 2014

      21 윤영철,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의 계몽주의적 성과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48 (48): 257-287, 2013

      22 강동욱, "일본에서의 아동학대에 대한 대응체제와 법제도" 한국법정책학회 10 (10): 911-928, 2010

      23 이무선, "양형에 있어서 피해자의 고려와 「피해자 공동책임론」 수용가능성" 법학연구소 47 (47): 623-648, 2012

      24 곽병선, "아동학대의 형사정책적 대응" 한국법학회 (31) : 427-453, 2008

      25 문영희, "아동학대의 의의와 실태 및 대처방안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회 (27) : 529-549, 2009

      26 한상균, "아동학대예방사업해외연수보고서(2004 귀국보고서)" 보건복지부 2004

      27 이찬엽, "아동학대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법학연구소 (20) : 343-374, 2011

      28 이규호, "아동학대범죄처벌특례법에 관한 소고"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5 (5): 2014

      29 강동욱, "아동학대범죄의 처벌에 관한 비판적 검토-「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8 (38): 159-190, 2014

      30 강동욱, "아동학대-법과제도" 청목출판사 2011

      31 윤정숙, "아동학대 행위자 치료프로그램개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32 정웅석, "아동학대 사건의 처리방향 및 특례법 제정의 필요성" 국회보건복지위원회 2013

      33 김상용,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새로운 입법 방향" 국회보건복지위원회 2013

      34 최영진, "아동복지법상 아동학대에 관한 법적과제" 법학연구소 24 (24): 305-332, 2008

      35 성희자, "아동복지법상 아동학대 처벌규정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93-112, 2013

      36 김혜경, "아동복지법상 금지규정의 형사법적 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33-63, 2010

      37 박상열, "성범죄자의 처우의 새로운 동향과 그 과제" 대검찰청 (24) : 356-381, 2010

      38 박주영, "법원의 개입을 통한 강제적 친자분리제도에 관한 고찰 ―일본과 영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2 (22): 167-204, 2008

      39 배종대, "韓國 刑事制裁의 主要 爭點" 한국비교형사법학회 6 (6): 1-18, 2004

      40 김운곤, "家庭暴力犯罪의 處理節次에 관한 問題點과 改善方案" 한국법학회 (40) : 199-217, 2010

      41 정웅석,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의의 및 향후과제" 한국피해자학회 22 (22): 189-214, 2014

      42 김성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아동학대범죄의 정의(定義) 및 재범방지에 관한 규정과 관련해서 -" 법학연구소 31 (31): 21-38, 2014

      43 Garland, "The Culture of Control" 2001

      44 JenKins, "Moral Panic, the child Molester"

      45 보건복지부, "2012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4 1.23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