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탐색 = Exploring Changes in Career Maturity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7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고등학교 패널(HS&B) 총2,05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졸업 후 1년 차까지 총 4개 시점에걸친 진로성숙도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선형, 이차함수,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내용적, 통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고등학교 졸업 시기를 분할점으로 하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모형 적합도와 해석 용이성에 있어 가장 적합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재학 중에는 진로성숙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졸업 후에는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개인요인 및 가정요인 중에서는 성별, 부학력, 부모와의 관계, 독서량, 성장신념이 진로성숙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학교요인에서는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진로교육 전반에 대한 학생의 우호적인 평가, 정규 교육과정 외 진학진로활동 프로그램 활동 참여가 진로성숙도와 정적 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계고 학생은 일반계고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낮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진로성숙도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질적 수준이 높은 진로교육과졸업 이후 연속적인 진로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고등학교 패널(HS&B) 총2,059명...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고등학교 패널(HS&B) 총2,05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졸업 후 1년 차까지 총 4개 시점에걸친 진로성숙도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선형, 이차함수,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내용적, 통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고등학교 졸업 시기를 분할점으로 하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모형 적합도와 해석 용이성에 있어 가장 적합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재학 중에는 진로성숙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졸업 후에는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개인요인 및 가정요인 중에서는 성별, 부학력, 부모와의 관계, 독서량, 성장신념이 진로성숙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학교요인에서는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진로교육 전반에 대한 학생의 우호적인 평가, 정규 교육과정 외 진학진로활동 프로그램 활동 참여가 진로성숙도와 정적 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계고 학생은 일반계고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낮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진로성숙도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질적 수준이 높은 진로교육과졸업 이후 연속적인 진로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Using the Seoul Student Longitudinal Study 2020 panel data, we applied a piecewise growth model to analyze changes across four time points, divided at high school gradu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maturity gradually increased during high school but slightly declined after graduation. Gender, parental education level, parent–child relationship, reading frequency, and growth mindset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career maturity. Positive perceptions of school career education, favorable evaluations of overall caree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career-related program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Furthermore,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exhibited lower levels of career maturity compared to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high-quality career education and continuous career support after gradu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Using the Seoul Student Longitudinal Study 2020 panel data, we applied a piecewise growth model to analyze cha...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Using the Seoul Student Longitudinal Study 2020 panel data, we applied a piecewise growth model to analyze changes across four time points, divided at high school gradu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maturity gradually increased during high school but slightly declined after graduation. Gender, parental education level, parent–child relationship, reading frequency, and growth mindset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career maturity. Positive perceptions of school career education, favorable evaluations of overall caree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career-related program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Furthermore,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exhibited lower levels of career maturity compared to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high-quality career education and continuous career support after gradu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