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고등학교 패널(HS&B) 총2,059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7972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48(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고등학교 패널(HS&B) 총2,059명...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고등학교 패널(HS&B) 총2,05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졸업 후 1년 차까지 총 4개 시점에걸친 진로성숙도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선형, 이차함수,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내용적, 통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고등학교 졸업 시기를 분할점으로 하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모형 적합도와 해석 용이성에 있어 가장 적합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재학 중에는 진로성숙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졸업 후에는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개인요인 및 가정요인 중에서는 성별, 부학력, 부모와의 관계, 독서량, 성장신념이 진로성숙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학교요인에서는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진로교육 전반에 대한 학생의 우호적인 평가, 정규 교육과정 외 진학진로활동 프로그램 활동 참여가 진로성숙도와 정적 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계고 학생은 일반계고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낮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진로성숙도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질적 수준이 높은 진로교육과졸업 이후 연속적인 진로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Using the Seoul Student Longitudinal Study 2020 panel data, we applied a piecewise growth model to analyze cha...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Using the Seoul Student Longitudinal Study 2020 panel data, we applied a piecewise growth model to analyze changes across four time points, divided at high school gradu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maturity gradually increased during high school but slightly declined after graduation. Gender, parental education level, parent–child relationship, reading frequency, and growth mindset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career maturity. Positive perceptions of school career education, favorable evaluations of overall caree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career-related program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Furthermore,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exhibited lower levels of career maturity compared to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high-quality career education and continuous career support after graduation.
신중년 근로자의 괜찮은 일 경험과 심리적 욕구 충족 간 관계에서 직장 내 존엄 경험의 매개 효과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한 특성화고 학생 진로성숙도 유형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
전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수업참여와 유용가치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