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e-Book 콘텐츠 활성화 연구 = A Research on the Invigoration of e-Book Contents in Mobile Platform Circumst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36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출시는 기존의 정체되어있던 전자책 시정에 새로운 활로를 열었다. 새로운 디지털 단말기의 대량 출시와 함께 e-Book콘텐츠의 수요도 늘어났으며, 동시에 각기 다른 단말기가 제시하는 형식에 맞추어 e-Book 콘텐츠를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생겼다. 이를 해결하고자 표준화 문제가 대두 되었으며 아직까지 명확한 표준화 지침이 세워지지 않은 상황이다
      국내 e-Book 산업은 모바일로 대표되는 뉴미디어기기와 결합하여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있다. e-Book콘텐츠의 시작점이자 주요 생산처인 국내 출판계는 종이책 산업의 비즈니스를 주로하고 e-Book 비즈니스를 등한시 하였다. 그러나 e-Book 시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고 시장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출판계는 e-Book을 새로운 사업 모델로 인정하고 출판계 고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찾아야만 한다. 변화하는 시장을 선도하기 위하여 기존의 출판 기획 및 자료들의 관리 체계를 디지털화 및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저작권의 계약부터 e-Book의 출간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종이책의 느낌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식이 첨단화 되어가고 있으며 LCD디스플레이와 e-Ink디스플레이의 장점을 융합한 단말기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MP3플레이어 시장의 선례에서 보듯이 결국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단말기의 성능은 평준화 되어갈 것이고 해당산업의 주최는 단말기의 성능이 아닌 양질의 콘텐츠생산자가 주도할 것이다.
      번역하기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출시는 기존의 정체되어있던 전자책 시정에 새로운 활로를 열었다. 새로운 디지털 단말기의 대량 출시와 함께 e-Book콘텐츠의 수요도 늘어났으며, 동시에 각기 다른 ...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출시는 기존의 정체되어있던 전자책 시정에 새로운 활로를 열었다. 새로운 디지털 단말기의 대량 출시와 함께 e-Book콘텐츠의 수요도 늘어났으며, 동시에 각기 다른 단말기가 제시하는 형식에 맞추어 e-Book 콘텐츠를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생겼다. 이를 해결하고자 표준화 문제가 대두 되었으며 아직까지 명확한 표준화 지침이 세워지지 않은 상황이다
      국내 e-Book 산업은 모바일로 대표되는 뉴미디어기기와 결합하여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있다. e-Book콘텐츠의 시작점이자 주요 생산처인 국내 출판계는 종이책 산업의 비즈니스를 주로하고 e-Book 비즈니스를 등한시 하였다. 그러나 e-Book 시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고 시장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출판계는 e-Book을 새로운 사업 모델로 인정하고 출판계 고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찾아야만 한다. 변화하는 시장을 선도하기 위하여 기존의 출판 기획 및 자료들의 관리 체계를 디지털화 및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저작권의 계약부터 e-Book의 출간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종이책의 느낌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식이 첨단화 되어가고 있으며 LCD디스플레이와 e-Ink디스플레이의 장점을 융합한 단말기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MP3플레이어 시장의 선례에서 보듯이 결국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단말기의 성능은 평준화 되어갈 것이고 해당산업의 주최는 단말기의 성능이 아닌 양질의 콘텐츠생산자가 주도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release of smartphone and tablet pc has consistently pioneered new routes in the stagnant e-Book industry. As it has been situationally predicted, demands for contents based on e-Book are remarkably increasing related to the mass production of anew digital devices. However, inconveniences have come to the fore when publishing those e-Book contents as a result of ununited standards from the various kinds of devices. The solution of the problem has continuously been up to the surface, but there is still no definite guidelines for standardization.
      The collaboration between domestic e-Book industry and new-media devices are creating new phase of market field. The internal publishing trade, the original source of e-Book contents, has mainly been concentrating on the existing paper-based book business. Therefore, from now on, the publishing businesses should acknowledge e-Book as a new profitable model and actively discover a method for conducting the original business. In order to lead unpredictable market in the near future, the management of previous planning and data are actually to be digitalized with the form of database, and are required to publish e-Book contents version in the moment of copyright contract.
      As time goes by, the display technology which have capacity of provide actual touch of paper-based books is on the way of high cutting-edge, the devices that acquire advantages from both LCD and e-ink display have been appearing in the market. As seen before in the MP3 player cases, technological quality of various digital devices are on the way of convergence into the similar level, and the quality-guaranteed contents provider will take a lead in the future market.
      번역하기

      A release of smartphone and tablet pc has consistently pioneered new routes in the stagnant e-Book industry. As it has been situationally predicted, demands for contents based on e-Book are remarkably increasing related to the mass production of anew ...

      A release of smartphone and tablet pc has consistently pioneered new routes in the stagnant e-Book industry. As it has been situationally predicted, demands for contents based on e-Book are remarkably increasing related to the mass production of anew digital devices. However, inconveniences have come to the fore when publishing those e-Book contents as a result of ununited standards from the various kinds of devices. The solution of the problem has continuously been up to the surface, but there is still no definite guidelines for standardization.
      The collaboration between domestic e-Book industry and new-media devices are creating new phase of market field. The internal publishing trade, the original source of e-Book contents, has mainly been concentrating on the existing paper-based book business. Therefore, from now on, the publishing businesses should acknowledge e-Book as a new profitable model and actively discover a method for conducting the original business. In order to lead unpredictable market in the near future, the management of previous planning and data are actually to be digitalized with the form of database, and are required to publish e-Book contents version in the moment of copyright contract.
      As time goes by, the display technology which have capacity of provide actual touch of paper-based books is on the way of high cutting-edge, the devices that acquire advantages from both LCD and e-ink display have been appearing in the market. As seen before in the MP3 player cases, technological quality of various digital devices are on the way of convergence into the similar level, and the quality-guaranteed contents provider will take a lead in the future marke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모바일 e-Book 기술과 성장요인
      • Ⅲ. 모바일 e-Book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방향
      • Ⅲ. 결론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모바일 e-Book 기술과 성장요인
      • Ⅲ. 모바일 e-Book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방향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이퍼브"

      2 한국콘텐츠진흥원, "전자출판산업, 현황과 전망" KOCC FOCUS 2010

      3 이용욱, "전자 종이와 유망 기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8

      4 "오라일리"

      5 "애플"

      6 김위근, "신문,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사활을 걸다" KT경제경영연구소 2010

      7 "블로터닷넷"

      8 성대훈, "부활하는 이머징 마켓 전자책(eBook)사업" 경제경영연구소 2010

      9 한국콘텐츠진흥원, "e-북단말 / 콘텐츠 개발동향" (6) : 2011

      10 "Study on the MPEG-21 PDTR"

      1 "한국이퍼브"

      2 한국콘텐츠진흥원, "전자출판산업, 현황과 전망" KOCC FOCUS 2010

      3 이용욱, "전자 종이와 유망 기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8

      4 "오라일리"

      5 "애플"

      6 김위근, "신문,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사활을 걸다" KT경제경영연구소 2010

      7 "블로터닷넷"

      8 성대훈, "부활하는 이머징 마켓 전자책(eBook)사업" 경제경영연구소 2010

      9 한국콘텐츠진흥원, "e-북단말 / 콘텐츠 개발동향" (6) : 2011

      10 "Study on the MPEG-21 PDTR"

      11 안하영, "E-Book Outlook" 한화증권 2010

      12 오영근, "DRM 표준화 및 평가 기술" ETRI 2005

      13 "(주)마크애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7 2.03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