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백이 비평 담론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 1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상기 연구는 15세기 중반부터 19세기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확인되는 백이 비평 담론 자료들을 활용하여 백이 비평 담론이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고 발전했...

      2. 1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상기 연구는 15세기 중반부터 19세기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확인되는 백이 비평 담론 자료들을 활용하여 백이 비평 담론이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고 발전했는지, 그 양상과 유형을 정리하는 데 1차년도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조선시대 백이 비평 담론의 양상”이란 테마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연구 결과를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조선시대 백이 담론의 사적 흐름과 제 양상」,『고전문학과 교육』26,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년 8월 31일.)에 게재하였다.

      ▶ 조선시대 백이 담론의 사적 흐름과 제 양상

      상기 논문은 조선시대 백이 담론의 제 양상과 사적 흐름을 구축하고, 백이 담론의 발생 맥락을 살피기 위한 목적 하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백이 담론의 장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의「백이숙제찬(伯夷叔齊贊)」과 김창흡(金昌翕, 1653~1722)의「일록(日錄)」소재 백이론(伯夷論), 오재순(吳載純, 1727~1792)의「백이론(伯夷論)」과 박제가(朴齊家, 1750~1805)의「백이태공불상패론(伯夷太公不相悖論)」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김시습 이후 공고하게 구축된 백이 신화가 김창흡에 이르러 허물어지고, 다시 송문흠과 오재순 등 노론 낙론계 지식인들에 의해 재구축되어 확산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하여 박지원과 박제가 등이 보여준 백이 의리의 상대화는 김창흡 논의의 새로운 변용으로 18세기 이후 다각화, 예각화 되는 백이 담론 사적 흐름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절의(節義)와 일민(逸民)의 표상인 백이는 군신간의 의리가 위기에 처했을 때 끊임없이 소환되었고, 당대의 정치․사회적 맥락뿐 아니라 논자의 정치관, 학문관, 출처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발전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마천의「백이전」에 대한 이해가 치밀해질수록 백이 담론 또한 분화되고 예각화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공맹의 평가가 백이 담론 분화의 바로미터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이상의 과정을 통해 노신(魯迅, 1881~1936)처럼 백이 신화를 근본에서부터 허물어 근대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는 등 급진적 변화를 이끌어낸 작가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백이 담론이 조선조 내내 절의(節義)와 일민(逸民)뿐 아니라 그것과 연계된 정치적 사건 및 사회적 현상에 대한 사대부들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대응 양식 중 하나였음은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2. 2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상기 연구의 2차년도 연구수행 목적은 백이 비평 담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The Historical Flow and Its type of Poyi Theo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is paper aimed at constructing historical flow and its type of Poyi theo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searching origin context of Poyi theory. To achieve these, ...

      ▶ The Historical Flow and Its type of Poyi Theo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is paper aimed at constructing historical flow and its type of Poyi theo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searching origin context of Poyi theory. To achieve these, I analysed Kim Siseup(金時習, 1435~1493)’s Bakyisukjechan, Kim Changheup(金昌翕, 1653~1722)’s Ilrok in Poyi theory, Oh Jaesun(吳載純, 1727~1792)’s Bakyiron and Park Jega(朴齊家, 1750~1805)’s Bakyitaegongbulsangpaeron which were occupied major position in Poyi theory.
      As a result, I assured that Poyi myth concretely formed since the period of Kim Siseup declined in the period of Kim Changheup, then it was reconstructed by Song Munheum, Oh Jaesun and others of intellectuals of Noron Nakron and was spreaded. In addition to these, relativity of Poyi loyalty showed by Park Jiwon and Park Jega was a transformation of Kim Changheup’s debate. It clearly showed historical flow of Poyi theory had became diversity and sharpening since 18C.
      Moreover Poyi an icon of integrity and scholars constantly was recalled when the loyalty between a king and vassals was in danger. It developed closely related to context of not only politics and social but also debaters’ view of politics, study, and origin. Especially, as understanding of Sima Qian’s Poyi theory becam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