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eumsusan belong to Woraksan Nation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5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금수산 일대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 보전과 관리의 기초자료제공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6년 6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식물사회학적으로 식생조사를 하였으며, 41개소의 방...

      본 연구는 금수산 일대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 보전과 관리의 기초자료제공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6년 6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식물사회학적으로 식생조사를 하였으며, 41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식생유형분류, 중요치, 일치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산림식생 분석결과, 신갈나무군락군에서 군락단위로 층층나무군락, 밤나무군락(식생단위 3), 굴참나무군락(식생단위 4), 신갈나무전형군락(식생단위 5)으로 분류되었으며, 층층나무군락은 느릅나무군(식생단위 1)과 담쟁이덩굴군(식생단위 2)으로 세분되었다. 평균상대중요치는 식생단위 1에서 물푸레나무 14.9%, 산뽕나무 8.7%, 고로쇠나무 8.3% 순으로 나타났고, 식생단위 2는 일본잎갈나무 23.2%, 층층나무 20.1%, 담쟁이덩굴 6.5%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단위 3은 신갈나무 15.8%, 밤나무 13.4%, 물푸레나무 9.8% 순으로 나타났고, 식생단위 4는 신갈나무 26.6%, 굴참나무 20.8%, 소나무 16.6% 순으로 나타났으며, 식생단위 5는 신갈나무 48.3%, 쪽동백나무 7.5%, 물푸레나무 5.3% 순으로 나타났다. 일치법 분석의 결과로서 식생단위는 해발 700m, 경사 20°, 지형은 사면중, 암석노출도 20%, 출현종수 30종, 교목층 식피율 80%, 교목층 수고 20m를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금수산 일대의 생태학적이고 지속가능한 산림식생관리를 위해서는 분류되어진 식생단위에 따라 차별화된 관리방법의 도출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eumsusan belong to Woraksan National Park for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f ecological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by 41 plots from June to November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eumsusan belong to Woraksan National Park for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f ecological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by 41 plots from June to November in 2016 using Z-M phytosociology method, which was analyzed with vegetation types, mean importance value and coincidence method. As the result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including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Castanea crenata community(Vegetation unit 3), Quercus variabilis community(Vegetation unit 4) and Q. mongolica community(Vegetation unit 5). C. controversa communit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group(Vegetation unit 1)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group(Vegetation unit 2). Mean importance percentage of vegetation unit 1 was showing Fraxinus rhynchophylla 14.9%, Morus bombycis 8.7% and Acer pictum subsp. mono 8.3%, that of unit 2 was Larix kaempferi 23.2%, C. controversa 20.1% and P. tricuspidata 6.5%, that of unit 3 was Q. mongolica 15.8%, C. crenata 13.4% and F. rhynchophylla 9.8%, that of unit 4 was Q. mongolica 26.6%, Q. variabilis 20.8% and Pinus densiflora 16.7%, that of unit 5 was Q. mongolica 48.3%, Styrax obassia 7.5%, F. rhynchophylla 5.3% in the order, respectively. Each vegetation unit was classified with dependance on environmental factors as 700m of altitude, 20° of slope degree, middle slope of topography, 20% of bare rock, 30 taxa of present species, 80% of tree layer coverage rate and 20m of tree layer height. In conclusion, it was preferentially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peculiar and specific management methods with vegetation unit classified above should be needed for ecological and sustainable forest vegetation manag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학섭, "해남군 두륜산의 현존식생과 식물사회학적 식생 유형"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0 (50): 55-67, 2016

      2 신학섭, "충남 오서산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35-51, 2014

      3 이하영,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791-802, 2015

      4 오구균, "월악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관리"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119-129, 2005

      5 이정윤, "월악산국립공원 황장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8 (48): 203-211, 2015

      6 최송현, "월악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주연부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106-111, 2005

      7 백승준,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구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487-497, 2013

      8 신경현, "월악산국립공원 영봉지역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43-55, 2011

      9 이정윤,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8 (48): 51-60, 2015

      10 박인협, "월악산국립공원 만수골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99-105, 2005

      1 신학섭, "해남군 두륜산의 현존식생과 식물사회학적 식생 유형"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0 (50): 55-67, 2016

      2 신학섭, "충남 오서산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35-51, 2014

      3 이하영,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791-802, 2015

      4 오구균, "월악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관리"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119-129, 2005

      5 이정윤, "월악산국립공원 황장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8 (48): 203-211, 2015

      6 최송현, "월악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주연부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106-111, 2005

      7 백승준,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구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487-497, 2013

      8 신경현, "월악산국립공원 영봉지역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4 (14): 43-55, 2011

      9 이정윤,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8 (48): 51-60, 2015

      10 박인협, "월악산국립공원 만수골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99-105, 2005

      11 김갑태, "월악산국립공원 덕주사-동창교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9 (19): 75-82, 2005

      12 이정윤,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및 도락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8 (48): 129-138, 2015

      13 장창석, "월악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8 (28): 35-63, 2015

      14 이중표,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생태학회 29 (29): 521-529, 2006

      15 윤충원, "우리나라의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형 분류" 한국산림과학회 100 (100): 504-521, 2011

      16 변성엽, "봉화군 장군봉 일대 천연림과 인공조림지내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30 (30): 1032-1046, 2016

      17 윤주완, "백두대간 소백산국립공원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630-637, 2010

      18 김혜진, "문수산․옥석산 일대의 산림식생유형 분류와 종간연관 분석" 한국산림과학회 98 (98): 379-391, 2009

      19 한상학, "덕유산 향적봉 및 중봉 아고산대의 산림식생유형분류와 임분 특성" 한국산림과학회 105 (105): 48-62, 2016

      20 황광모, "덕유산 일대 천연림의 산림형 분류와 천이경향" 한국산림과학회 105 (105): 157-166, 2016

      21 김현숙, "남해군 금산 식생 구조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30 (30): 214-227, 2016

      22 이서희, "구룡산의 산림군집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한국산림과학회 101 (101): 526-537, 2012

      23 신학섭, "강화도 마니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 16 (16): 11-21, 2014

      24 Walter, H., "Vegetation of the Earth and Ecological Systems of the Geo-biosphere" Springer-verlag 274-, 1979

      25 Braun-Blanquet, J.,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McGraw-Hill book company 492-, 1932

      26 Kim, J. W., "The Forest Vegetation" World Science 308-, 2004

      27 Hill, M. O.,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ean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ersity Press 50-, 1979

      28 Lee, W.C.,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8 : 1-32, 1978

      29 Yim, K.B., "Principle of Forestry" Hyangmunsa 347-, 2005

      30 Cho, H.S.,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Haneoryoung∼Daetjae ridge, the Backdudaegan mountains" 27 (27): 733-744, 2013

      31 Yun, C.W.,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35-, 2011

      32 Braun-Blanquet, J., "Pflanwensoziologie Grü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865-, 1964

      33 Park, S. T., "New Sangyeongpyo"

      34 Korea Forest Service,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35 "Korea National Park"

      3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37 Korea Forest Service,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38 Son, Y.H., "Forest Ecology" Hyangmunsa 346-, 2016

      39 Lee, K. J., "Forest Ecology" Hyangmunsa 395-, 1996

      40 Kim, J. W., "Floristic characterization of the temperate oak forest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high-rank taxa" 39 (39): 149-153, 1996

      41 Brower, J.E.,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288-, 1977

      42 Yun, C.W., "Field Guide to Trees and Shrubs" Geobook 703-, 2016

      43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44 Dierssen, K., "Einfü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mie Verlag 241-, 1990

      45 Shin, J.H., "Ecosystem classification in Korea (Ⅰ)" 54 : 188-199, 1996

      46 Whittaker, R.H.,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147 : 250-260, 1965

      47 Lee, C. B.,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999-, 2003

      48 Hong, S. C.,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 and Shrub in korea" Gyemyengsa 310-, 1987

      49 Kim, J.W.,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240-, 2006

      50 Kim, C.H.,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Togyu National Park, Korea" 20 (20): 125-132, 1997

      51 Ellenberg, H., "Aufgaben a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Ulmer 136-, 1956

      52 Oh, K. K.,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Yeongbong and Doraksan region-" 19 (19): 90-98, 2005

      53 Curtis, J.T.,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32 (32): 476-496, 1951

      54 Song, H.K., "An analysis of vegetation 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by TWINSPAN and DCCA" 84 (84): 299-305, 1995

      55 Müller-Dombois, D., "Aims and Method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Sons 547-, 1974

      56 Lee, B.C.,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25 (25): 153-161,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