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범죄 두려움의 예측 요인을 독립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예측 요인에서의 성차를 검증하였다. 분석은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전국범죄피해조사를 기초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928270
김지훈(Kim, Ji Hoon) ; 이명우(Lee, Myung Woo) ; Thorvald Dahle (미네소타 주립대학교) ; 박한호(Park, Han Ho)
2016
-
360
KCI등재
학술저널
93-11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범죄 두려움의 예측 요인을 독립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예측 요인에서의 성차를 검증하였다. 분석은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전국범죄피해조사를 기초로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범죄 두려움의 예측 요인을 독립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예측 요인에서의 성차를 검증하였다. 분석은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전국범죄피해조사를 기초로 하여 일련의 다층모형분석을 시행하였다. 일차적으로 성별은 범죄 두려움을 예측하는데 유의미한 변수로 판별되었으며, 이 과정은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성별에 따른 다양한 예측 변수의 차이의 탐구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분석 결과 구조적인 변수에 있어서는 성별에 대한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개인적인 특성에 해당하는 변수들에서 유의미한 성차를 발견할수 있었다. 남성의 범죄 두려움을 설명하는 변수는 소득과 범죄 피해 경험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여성의 범죄 두려움은 나이와 학력 수준에 의해 더욱 강하게 설명되는 경향을 보여주 었다. 그러한 예측 변수의 차이뿐만 아니라, 설명력의 차이에 있어서도 나이와 소득에서 강한 성차를 발견할 수 있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factors related to gender on the fear of crime among South Koreans. Using a dataset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KIC),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Initially, gender was found to be the reliable predi...
This study examined factors related to gender on the fear of crime among South Koreans.
Using a dataset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KIC), a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Initially, gender was found to be the reliable predictor for the fear of crime.
This step examined how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racteristics existing between genders might be an explanatory factor influencing the fear of crime. Although a general similarity among men and women was found for the effect of structural factors, individual level factors were found to differ between men and women. For each model, age and edu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women, while for men income and vulnerability were significan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were also found relating to age and incom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경찰활동과 범죄인식이 4대 사회악 체감안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