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대함의 전조 vs. 깊은 권태 : 벤야민과 하이데거의 권태 개념 비교 연구 = Harbinger of Great Deeds vs. Profound Boredom: Comparative Research into the Concept of Boredom between Walter Benjamin and Martin Heidegg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1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권태의 정서에 관한 현대의 논의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독일의 철학자 발터 벤야민과 마르틴 하이데거의 권태개념을 비교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벤야민의 경우에는 그의 미완의 대작 『아케이드 프로젝트』 원고 중 권태와 관련이 있는 것들을, 하이데거의 경우에는 그가 집중적으로 권태의 정서를 고찰하고 있는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벤야민과 하이데거 모두 권태를 일종의 변증법적 긴장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벤야민은 근대 사회의 부정적 측면의 특징으로서의 권태에 대해 말하면서도 그와는 다른, 위대한 행위의 전조가 되는 또 다른 권태의 특징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하이데거는 얕은 권태로부터 깊은 권태로 나아가는 고찰의 과정을 통해 권태가 피해야 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깨우고 그리로 나아가는 용기가 필요한 것임을 밝혀내었다. 이들에 의해 긍정적으로 파악된 권태는 긍정심리학을 비롯한 현대의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추구되는 시간 몰아내기, 시간 죽이기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그 안에 침잠하여야 하는 무엇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두 사람의 입장은 지배적인 학문 경향을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감정 철학의 이론적 토대로 기능할 수있다.
      하이데거는 존재론적, 현상학적 입장에서 권태의 정서에 접근하고 벤야민은 사회철학적, 문화철학적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렇듯 대부분 권태 몰아내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등의 연구 경향에 맞서 권태의 긍정적, 심지어는 혁명적 의미를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두 사람의 권태 개념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 시의성을 잃지 않고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권태의 정서에 관한 현대의 논의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독일의 철학자 발터 벤야민과 마르틴 하이데거의 권태개념을 비교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벤야민...

      이 논문의 목적은 권태의 정서에 관한 현대의 논의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독일의 철학자 발터 벤야민과 마르틴 하이데거의 권태개념을 비교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벤야민의 경우에는 그의 미완의 대작 『아케이드 프로젝트』 원고 중 권태와 관련이 있는 것들을, 하이데거의 경우에는 그가 집중적으로 권태의 정서를 고찰하고 있는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벤야민과 하이데거 모두 권태를 일종의 변증법적 긴장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벤야민은 근대 사회의 부정적 측면의 특징으로서의 권태에 대해 말하면서도 그와는 다른, 위대한 행위의 전조가 되는 또 다른 권태의 특징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하이데거는 얕은 권태로부터 깊은 권태로 나아가는 고찰의 과정을 통해 권태가 피해야 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깨우고 그리로 나아가는 용기가 필요한 것임을 밝혀내었다. 이들에 의해 긍정적으로 파악된 권태는 긍정심리학을 비롯한 현대의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추구되는 시간 몰아내기, 시간 죽이기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그 안에 침잠하여야 하는 무엇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두 사람의 입장은 지배적인 학문 경향을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감정 철학의 이론적 토대로 기능할 수있다.
      하이데거는 존재론적, 현상학적 입장에서 권태의 정서에 접근하고 벤야민은 사회철학적, 문화철학적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렇듯 대부분 권태 몰아내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등의 연구 경향에 맞서 권태의 긍정적, 심지어는 혁명적 의미를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두 사람의 권태 개념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 시의성을 잃지 않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concepts of boredom in the philosophical theories of Walter Benjamin and Martin Heidegger, which exert the greatest influence on contemporary discussions about this feeling. To this end, we intensively analyzed the contents of Benjamin's unfinished masterpiece Arcade Project, which is related to boredom, and Heidegger's Fundamental Concepts of Metaphysics, in which he focused on considering the sentiment of boredom. As a result, we find that both Benjamin and Heidegger consider boredom as that which has a kind of dialectical tension between its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Benjamin talks about boredom as a characteristic of the negative aspects of modern society but also considers it a harbinger of great deeds.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of moving from shallow to profound boredom, Heidegger reveals that boredom is not something to avoid, but rather something to have the courage to awaken and move toward. Boredom, interpreted positively by them, is not the object of time dispelling or time killing, but rather something that man should deeply withdraw himself into. On the other hand, the theoretical approaches of the two show the following difference. Heidegger approaches the concept of boredom from ont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whereas Benjamin does it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and cultural philosophy. However, their concepts of boredom are still applicable to many problems of the present time in that they emphasize the positive, even revolutionary, implications of boredom in response to the research trends of soc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which are mostly focused on dispelling boredo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concepts of boredom in the philosophical theories of Walter Benjamin and Martin Heidegger, which exert the greatest influence on contemporary discussions about this feeling. To this end, we inte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concepts of boredom in the philosophical theories of Walter Benjamin and Martin Heidegger, which exert the greatest influence on contemporary discussions about this feeling. To this end, we intensively analyzed the contents of Benjamin's unfinished masterpiece Arcade Project, which is related to boredom, and Heidegger's Fundamental Concepts of Metaphysics, in which he focused on considering the sentiment of boredom. As a result, we find that both Benjamin and Heidegger consider boredom as that which has a kind of dialectical tension between its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Benjamin talks about boredom as a characteristic of the negative aspects of modern society but also considers it a harbinger of great deeds.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of moving from shallow to profound boredom, Heidegger reveals that boredom is not something to avoid, but rather something to have the courage to awaken and move toward. Boredom, interpreted positively by them, is not the object of time dispelling or time killing, but rather something that man should deeply withdraw himself into. On the other hand, the theoretical approaches of the two show the following difference. Heidegger approaches the concept of boredom from ont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whereas Benjamin does it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and cultural philosophy. However, their concepts of boredom are still applicable to many problems of the present time in that they emphasize the positive, even revolutionary, implications of boredom in response to the research trends of soc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which are mostly focused on dispelling boredo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르틴 하이데거,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 세계 ― 유한성 ― 고독" 까치 2003

      2 김진희,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적 근본기분에 관한 연구 : 고독으로서의 권태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형찬, "하이데거의 근본기분에 대한 고찰- 불안과 권태 개념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81 (81): 69-88, 2015

      4 배상식, "하이데거의 권태 개념" 대구교육대학교 33 (33): 2017

      5 구연상, "하이데거의 권태" 한국동서철학회 (45) : 247-268, 2007

      6 김진희, "하이데거와 철학함의 기분 : ‘아무튼 그냥 지루해'" 25 (25): 2009

      7 박유정, "하이데거에 있어 현존재의 기분에 관한 연구" 한국하이데거학회 (12) : 57-80, 2005

      8 박유정, "칸트의 존경심과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기분" 철학연구소 33 : 147-173, 2013

      9 구연상, "이상(李箱)의 권태" 한국하이데거학회 (16) : 99-126, 2007

      10 김동훈, "불안과 권태, 그리고 숭고: 하이데거 사유의 내밀한 빈터에서" 한국미학회 (55) : 39-79, 2008

      1 마르틴 하이데거,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 세계 ― 유한성 ― 고독" 까치 2003

      2 김진희,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적 근본기분에 관한 연구 : 고독으로서의 권태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형찬, "하이데거의 근본기분에 대한 고찰- 불안과 권태 개념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81 (81): 69-88, 2015

      4 배상식, "하이데거의 권태 개념" 대구교육대학교 33 (33): 2017

      5 구연상, "하이데거의 권태" 한국동서철학회 (45) : 247-268, 2007

      6 김진희, "하이데거와 철학함의 기분 : ‘아무튼 그냥 지루해'" 25 (25): 2009

      7 박유정, "하이데거에 있어 현존재의 기분에 관한 연구" 한국하이데거학회 (12) : 57-80, 2005

      8 박유정, "칸트의 존경심과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기분" 철학연구소 33 : 147-173, 2013

      9 구연상, "이상(李箱)의 권태" 한국하이데거학회 (16) : 99-126, 2007

      10 김동훈, "불안과 권태, 그리고 숭고: 하이데거 사유의 내밀한 빈터에서" 한국미학회 (55) : 39-79, 2008

      11 김길웅, "근대와 권태(1): 독일 근대 문학 분석을 위한 시론"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2) : 181-205, 2018

      12 구연상, "권태의 현상학" 한국현상학회 (20) : 9-220, 2003

      13 De Beistegui, M., "‘Boredom : Between Existence and History’ : On Heidegger's Pivotal The Fundamental Concepts of Metaphysics" 31 (31): 2000

      14 Tardieu, É., "étude psychologique" Librairie F. Alcan 1913

      15 Heidegger, M., "Was ist Metaphysik?" Vittorio Klostermann 1975

      16 Fromm, E., "The Anatomy of Human Destructiveness" Open Road Media(Kindle Edition) 2013

      17 Heidegger, M., "Sein und Zeit" Max Niemeyer 1972

      18 Große, J., "Philosophie der Langeweile" J. B. Metzler 2008

      19 Lamarche, S. P., "Ontology of Boredom" UMI 2000

      20 Lepenies, W, "Mit einer neuen Einleitung: Das Ende der Utopie und die Wiederkehr der Melancholie" Suhrkamp Verlag 1998

      21 Pascal, B., "Les Pensées tome 1" Alphonse Lemerre 1877

      22 Baudelaire, C., "Les Fleurs du Mal" Librairie des Bibliophiles Parisiens 1917

      23 Marion, J. -L., "L'Angoisse et L'Ennui : Pour interpréter ‘Was ist Metaphysik?’" 43 (43): 1980

      24 Nietzsche, F, "Kritsche Studienausgabe Band 2" De Gruyter 1999

      25 Ciocan, C., "Heidegger and the Problem of Boredom" 41 (41): 2010

      26 V. Goethe, J. W., "Goethes Sämtliche Werke vol. 1" J. G. Cotta 1902

      27 Benjamin, W., "Gesammelte Schriften (이하 GS) vols. I - VII" Suhrkamp 1991-, 1974

      28 Salzani, C, "Essays on Boredom and Modernity" Rodopi 2009

      29 Kierkegaard, S., "Enten―Eller" C. A. Reitzel 1843

      30 Paumen, J., "Ennui et Nostalgie chez Heidegger" 43 : 1989

      31 Schopenhauer, A.,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Band 1" Georg Müller 1912

      32 Heidegger, M., "Die Grundbegriffe der Metaphysik: Welt–Endlichkeit– Einsamkeit, GA 29/30" Vittorio Klostermann 1983

      33 Simmel, G., "Die Grossstadt. Vorträge und Aufsätze zur Städteausstellung in: Jahrbuch der Gehe-Stiftung Dresden Band 9" 1903

      34 Benjamin, W., "Das Passagen-Werk, GS Band V–1" Suhrkamp 1991

      35 Kracauer, S., "Das Ornament der Masse" Suhrkamp 1977

      36 Benjamin, W., "Charles Baudelaire - Ein Lyriker im Zeitalter des Hochkapitalismus"

      37 Heidegger, M., "Bände 1–102" Vittorio Klostermann 1976

      38 Toohey, P., "Boredom. A Lively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11

      39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 Experiencing Flow in Work and Play" Jossey-Bass 1975

      40 Moran, J., "Benjamin and Boredom" 45 : 2003

      41 Freeman, L., "Affectivity in Heidegger II : Temporality, Boredom, and Beyond" 10 (10): 2015

      42 Svendsen, L., "A Philosophy of Boredom" Reaktion Books 2005

      43 구연상, "20세기 초 동서양의 근본기분으로서의 권태 -하이데거와 이상을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 (24) : 313-359,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9-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존재론 연구 -> 현대유럽철학연구
      외국어명 : Heidegger Studien ->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KCI등재
      2015-06-15 통합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하이데거 연구 -> 존재론 연구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하이데거 연구
      외국어명 : Heidegger Studie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1.10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