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a College English Conversation Class : 영어 회화수업 내의 효과적인 그룹활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54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대학의 회화수업에서 외국어로서 영어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소그룹 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신상자료를 작성한다; 2) 수업에 제공되는 강의실을 설명한다; 3) 영어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식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영어를 배우는데 동기를 부여해줄 수 있도록 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소그룹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4) 소그룹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강의실에 대한 권장을 정형화한다.
      이 연구는 전남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하는데, 이것은 이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자신들의 지식과 능력을 향상시키고 영어를 배우는 그들의 동기를 극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소그룹활동의 효과를 평가하도록 고안된 질문지에 응답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것은 또한 학생들의 특징과 수업에 이용되는 강의실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관찰은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며, 학생들과의 비공식적인 면담은 조사의 결과에 따라 기록된다.
      전체 31개의 질문지는 한국의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전남대학교에서 중급 영어 회화 1을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적용된다. 조사의 결과는 학생들의 특성, 수업에서 학생들의 참여에 대한 자신들의 평가, 이 과정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로 세분된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인 측면과 양적인 측면으로 나뉜다. 이것은 빈도를 표시하고, 특별한 항목의 빈도의 수 혹은 선택된 답변, 비율을 나타내는 도표에 기초한다. 빈도가 표시된 결과물은 분석되고, 도출된 응답이 가리키는 경향에 따라 분류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소그룹활동이 학생들의 언어발달과 동기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집에서와 같은 소그룹 활동과 숙련된 그룹의 토론, 수업에서의 토론과 같은 활동들, 개별적인 발표, 전자 우편 쓰기, 보고서 등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영어를 사용할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학생들은 교사의 모범적인 수업관리를 통해서 자신감과 자기 신뢰를 발전시킨다. 이 수업은 학생들의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네 영역을 발전시킬 뿐 아니라, 영어로 창의적인 사고를 하게 하는 능력을 계발시키고, 다른 사람들에게 주의를 기울이며, 적절한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하는 기술과 전략을 배우게 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풍요롭게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학생들의 실행과 동기에 대한 소그룹 활동의 긍정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 포함된 일부 학생들은 지루함과 흥미의 부족을 나타냈고, 수업에서 선정된 화제가 어렵거나 긴 경우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킨셀러스 (Kinsellas)의 비판과 학습구조의 상관 유형에 귀착시킬 수 있다.
      본고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영어능력에서 자신감이 결핍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급우들과 교사에게 영어를 말하는 것을 꺼려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정규 수업이나 활동을 하는 상황 밖에서는 외국인들과의 회화를 편하게 느낀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부족은 한국의 교육체계에서는 유교 교육의 가치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에서 기인한다. 한국의 교육체계는 분석적, 비판적, 창조적인 사고에 주의를 덜 기울인 기계적인 암기에 초점을 맞추어진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권고하고 싶은 것은 콘텍스트 연구뿐만 아니라 이 연구에 관계되는 문헌들을 참고로 학급 관찰, 비공식적인 인터뷰 ,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본 고는 소그룹 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하고 , 다른 소그룹활동으로 발전시키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대학의 회화수업에서 외국어로서 영어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소그룹 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수업에 참여하는...

      본 논문은 한국대학의 회화수업에서 외국어로서 영어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소그룹 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신상자료를 작성한다; 2) 수업에 제공되는 강의실을 설명한다; 3) 영어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식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영어를 배우는데 동기를 부여해줄 수 있도록 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소그룹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4) 소그룹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강의실에 대한 권장을 정형화한다.
      이 연구는 전남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하는데, 이것은 이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자신들의 지식과 능력을 향상시키고 영어를 배우는 그들의 동기를 극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소그룹활동의 효과를 평가하도록 고안된 질문지에 응답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것은 또한 학생들의 특징과 수업에 이용되는 강의실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관찰은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며, 학생들과의 비공식적인 면담은 조사의 결과에 따라 기록된다.
      전체 31개의 질문지는 한국의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전남대학교에서 중급 영어 회화 1을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적용된다. 조사의 결과는 학생들의 특성, 수업에서 학생들의 참여에 대한 자신들의 평가, 이 과정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로 세분된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인 측면과 양적인 측면으로 나뉜다. 이것은 빈도를 표시하고, 특별한 항목의 빈도의 수 혹은 선택된 답변, 비율을 나타내는 도표에 기초한다. 빈도가 표시된 결과물은 분석되고, 도출된 응답이 가리키는 경향에 따라 분류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소그룹활동이 학생들의 언어발달과 동기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집에서와 같은 소그룹 활동과 숙련된 그룹의 토론, 수업에서의 토론과 같은 활동들, 개별적인 발표, 전자 우편 쓰기, 보고서 등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영어를 사용할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학생들은 교사의 모범적인 수업관리를 통해서 자신감과 자기 신뢰를 발전시킨다. 이 수업은 학생들의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네 영역을 발전시킬 뿐 아니라, 영어로 창의적인 사고를 하게 하는 능력을 계발시키고, 다른 사람들에게 주의를 기울이며, 적절한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하는 기술과 전략을 배우게 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풍요롭게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학생들의 실행과 동기에 대한 소그룹 활동의 긍정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 포함된 일부 학생들은 지루함과 흥미의 부족을 나타냈고, 수업에서 선정된 화제가 어렵거나 긴 경우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킨셀러스 (Kinsellas)의 비판과 학습구조의 상관 유형에 귀착시킬 수 있다.
      본고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영어능력에서 자신감이 결핍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급우들과 교사에게 영어를 말하는 것을 꺼려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정규 수업이나 활동을 하는 상황 밖에서는 외국인들과의 회화를 편하게 느낀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부족은 한국의 교육체계에서는 유교 교육의 가치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에서 기인한다. 한국의 교육체계는 분석적, 비판적, 창조적인 사고에 주의를 덜 기울인 기계적인 암기에 초점을 맞추어진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권고하고 싶은 것은 콘텍스트 연구뿐만 아니라 이 연구에 관계되는 문헌들을 참고로 학급 관찰, 비공식적인 인터뷰 ,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본 고는 소그룹 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하고 , 다른 소그룹활동으로 발전시키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Korean college students in a conversation class.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make a profile of the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lass; 2) to describe the classroom management employed in the class; 3) to assess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helping the learners increase their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as well as improve their knowledge and competence in English; and 4) to formulate recommendations for an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using small group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and described the responses of students enrolled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o answered survey questionnaire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helping them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learn English and improve their knowledge and competence in English. It also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the classroom management techniques used in the class. Observations made in the classroom,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students were recorded to support the results of the survey.
      A total of 31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Korean students attending Intermediate English Conversation Class 1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City, Ko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subdivided into Students’ Characteristics, Student’s Assessment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Class and Student’ Assessment of the Effect of the Course. The analysis of data wa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t was based on the tabulation of frequency counts, or the number of times a specific item or answer was chosen, and percentages.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counts were analyzed and ranked accordingly in order to establish a trend in the respondents’ answ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mall group activities show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language development and motivation. Small group activities like home and expert group discussions and other activities in the class such as whole class discussions, individual presentations, writing e-mail and reports gave the students opportunities to use the English language as a mode of communication. The students developed self-confidence and trust through the teacher’s exemplary classroom managem ent. The course helped the students to progress in the areas of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s well as developing the abilities to think creatively in English, pay attention to others, learn appropriate language learning skills and strategies, and work productively with others.
      Despite the positive outcome of small group activities on students’ performance and motivation, some of the students included in this study also showed boredom and lack of interest, and displayed less interactivity when the topics chosen for the class were difficult and lengthy. These findings can be attributed to Kinsellas’(1991) critical and relational type of learning constructs.
      This study also shows that majority of the students lack self-confidence in English language competence and felt awkward to speak English to their classmates and teacher, but felt comfortable to speak to foreigners outside of formal class or activity situations. The students’ lack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s due to the negative effects of Confucian educational values on Korean education system which has been characterized as focusing on rote learning with little attention paid to analytical, critical or creative thinking(Lee, 2003).
      Recommendations were formul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lassroom observation, informal interview, and survey, as well as the research context and the related literature accum ulated in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were divided into planning small group activities, implementing small group activities, and after small group activiti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attempt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Korean college students in a conversation class.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make a profile of ...

      This research attempt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Korean college students in a conversation class.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make a profile of the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lass; 2) to describe the classroom management employed in the class; 3) to assess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helping the learners increase their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as well as improve their knowledge and competence in English; and 4) to formulate recommendations for an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using small group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and described the responses of students enrolled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o answered survey questionnaire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in helping them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learn English and improve their knowledge and competence in English. It also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the classroom management techniques used in the class. Observations made in the classroom,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students were recorded to support the results of the survey.
      A total of 31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Korean students attending Intermediate English Conversation Class 1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City, Ko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subdivided into Students’ Characteristics, Student’s Assessment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Class and Student’ Assessment of the Effect of the Course. The analysis of data wa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t was based on the tabulation of frequency counts, or the number of times a specific item or answer was chosen, and percentages.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counts were analyzed and ranked accordingly in order to establish a trend in the respondents’ answ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mall group activities show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language development and motivation. Small group activities like home and expert group discussions and other activities in the class such as whole class discussions, individual presentations, writing e-mail and reports gave the students opportunities to use the English language as a mode of communication. The students developed self-confidence and trust through the teacher’s exemplary classroom managem ent. The course helped the students to progress in the areas of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s well as developing the abilities to think creatively in English, pay attention to others, learn appropriate language learning skills and strategies, and work productively with others.
      Despite the positive outcome of small group activities on students’ performance and motivation, some of the students included in this study also showed boredom and lack of interest, and displayed less interactivity when the topics chosen for the class were difficult and lengthy. These findings can be attributed to Kinsellas’(1991) critical and relational type of learning constructs.
      This study also shows that majority of the students lack self-confidence in English language competence and felt awkward to speak English to their classmates and teacher, but felt comfortable to speak to foreigners outside of formal class or activity situations. The students’ lack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s due to the negative effects of Confucian educational values on Korean education system which has been characterized as focusing on rote learning with little attention paid to analytical, critical or creative thinking(Lee, 2003).
      Recommendations were formul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lassroom observation, informal interview, and survey, as well as the research context and the related literature accum ulated in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were divided into planning small group activities, implementing small group activities, and after small group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ⅲ
      • 1. INTRODUCTION = 1
      • 1.1. Research Background = 2
      • 1.1.1.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vs.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 2
      • 1.1.2. Classroom Management = 3
      • 목차 = ⅲ
      • 1. INTRODUCTION = 1
      • 1.1. Research Background = 2
      • 1.1.1.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vs.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 2
      • 1.1.2. Classroom Management = 3
      • 1.1.3. Small Group Work = 5
      • 1.2. Conceptual Framework = 5
      • 1.2.1. Communication Process = 5
      • 1.2.2. Teacher's Leadership Style = 6
      • 1.2.3. Research Instrument = 7
      • 1.3. Significance of the Study = 8
      • 1.4. Scope and Limitation of the Study = 8
      • 2.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 10
      • 3. METHODOLOGY = 13
      • 3.1. Sample and Design = 13
      • 3.2. Participants = 13
      • 3.3. Survey Instrument = 13
      • 3.4. Data Gathering and Analysis = 14
      • 3.4.1. Class Observation = 14
      • 3.4.2. Informal Interview = 19
      • 3.4.3. Survey Questionnaire = 19
      • 4. RESULTS AND DISCUSSION = 21
      • 4.1. Class Observation and Informal Interview Analysis = 21
      • 4.2. Survey Results = 24
      • 4.2.1. Students' Characteristics = 24
      • 4.2.2. Student's Assessment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Class = 28
      • 4.3. Effects of the Course = 33
      • 4.4. Recommendations = 37
      • 4.4.1. Planning Small Group Activities = 37
      • 4.4.2. Implementing Small Group Activities = 39
      • 4.4.3. After Small Group Activities = 40
      • 5. CONCLUSIONS = 41
      • REFERENCES = 43
      • (국문초록) = 1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