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Webern의 Op. 12에 나타나는 선율 구조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lody structure in a A. Webern's Op.1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2992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 , 1995. 8

      • 발행연도

        199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77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83p. : 삽도,악보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78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Anton Webern(1883∼1945)은 1883년 12월 3일 비엔나에서 광산 기술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아마츄어 피아니스트였던 그의 어머니에게서 처음으로 음악 교육을 받기 시작하였고, 그후 Edwin Komauer에게 피아노와 첼로를 배웠다. 1902년 가을 비엔나 대학에 입학하여 Adler에게 음악학을, Graedener에게 화성학을, Navratil에게 대위법을 사사받았다. 1904년 Arnold Schoenberg를 만나면서 그의 작품은 큰 전환을 맞게 되었다. Schoeberg와 그의 또 다른 제자 Alban Berg와 함께 Webern은 제2의 비인 학파를 이루었으며, 그들은 12음 음열 기법을 발전시켰다.
      Webern의 작품중 작품 번호(opus number)가 있는 작품은 모두 31개이고, 이중에서 17곡이 성악 작품이다. Webern의 성악 작품은 작품 경향에 따라 3기로 나뉜다. 제1기는 조성 작품의 시기(1908)이며, 제2기는 무조 음악의 시기(1908∼1924)이고, 제3기는 12음 음열 기법의 시기(1924∼1943)이다.
      본 논문은 Webern의 무조 음악에 나타나는 선율 구조를 연구하기 위해, 그의 무조 성악 음악 시기(1908∼1924)에 작곡된 "Vier Lieder", Op.12를 분석 하였다.
      Op.12를 분석함에 있어서 Allen Forte의 set 이론의 일부 개념을 사용하여 무조 음악에 나타난 선율 구조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Op.12의 각 악장을 성악부(gesang), 반주부(klavier)로 나누어 pitch-class set을 조사하였다. 성악부는 가사 setting을, 반주부는 음형과 동기, 수직 화음형을 기준으로 하여 그곳에 나타난 음 조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악부는 가사 setting에 따라 명확한 악구를 이루며, 네 악장 모두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반음계 선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interval class 1, 2에 의한 7, 8, 9도의 직접 또는 간접적 도약 선율, 같은 방향으론 연속적 선율 진행의 선을 특징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반주부의 pitch-class set은 dyad부터 octachord까지 다양하게 나뉘어지며, 성악부에 나타나는 선율 특징도 나타난다. 그리고 공통된 음정 구조와 음형으로 나타나는 pitch-class set도 찾아볼 수 있다.
      번역하기

      Anton Webern(1883∼1945)은 1883년 12월 3일 비엔나에서 광산 기술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아마츄어 피아니스트였던 그의 어머니에게서 처음으로 음악 교육을 받기 시작하였고, 그후 Edwin Komauer...

      Anton Webern(1883∼1945)은 1883년 12월 3일 비엔나에서 광산 기술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아마츄어 피아니스트였던 그의 어머니에게서 처음으로 음악 교육을 받기 시작하였고, 그후 Edwin Komauer에게 피아노와 첼로를 배웠다. 1902년 가을 비엔나 대학에 입학하여 Adler에게 음악학을, Graedener에게 화성학을, Navratil에게 대위법을 사사받았다. 1904년 Arnold Schoenberg를 만나면서 그의 작품은 큰 전환을 맞게 되었다. Schoeberg와 그의 또 다른 제자 Alban Berg와 함께 Webern은 제2의 비인 학파를 이루었으며, 그들은 12음 음열 기법을 발전시켰다.
      Webern의 작품중 작품 번호(opus number)가 있는 작품은 모두 31개이고, 이중에서 17곡이 성악 작품이다. Webern의 성악 작품은 작품 경향에 따라 3기로 나뉜다. 제1기는 조성 작품의 시기(1908)이며, 제2기는 무조 음악의 시기(1908∼1924)이고, 제3기는 12음 음열 기법의 시기(1924∼1943)이다.
      본 논문은 Webern의 무조 음악에 나타나는 선율 구조를 연구하기 위해, 그의 무조 성악 음악 시기(1908∼1924)에 작곡된 "Vier Lieder", Op.12를 분석 하였다.
      Op.12를 분석함에 있어서 Allen Forte의 set 이론의 일부 개념을 사용하여 무조 음악에 나타난 선율 구조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Op.12의 각 악장을 성악부(gesang), 반주부(klavier)로 나누어 pitch-class set을 조사하였다. 성악부는 가사 setting을, 반주부는 음형과 동기, 수직 화음형을 기준으로 하여 그곳에 나타난 음 조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악부는 가사 setting에 따라 명확한 악구를 이루며, 네 악장 모두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반음계 선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interval class 1, 2에 의한 7, 8, 9도의 직접 또는 간접적 도약 선율, 같은 방향으론 연속적 선율 진행의 선을 특징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반주부의 pitch-class set은 dyad부터 octachord까지 다양하게 나뉘어지며, 성악부에 나타나는 선율 특징도 나타난다. 그리고 공통된 음정 구조와 음형으로 나타나는 pitch-class set도 찾아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3rd of December in 1883 in Vienna, Anton Webern (1883∼1945) was born a son of a mine engineer. He has taken lessons from his mother having been an amateur pianist, later lessons in piano and cello from Edwin Komauer. Entered Vienna College in autumn of 1902, he studied theory of music under Adler, theory of harmony under Graedener, and counterpoint under Navratil. In 1904, the meeting with Arnold Schoenberg put a great transition in his works. Webern, Schoenberg and his another disciple Alban Berg made the 2nd Vienna school, and they developed the 12-tone technique.
      vocal music. Webern's vocal music can be classified into 3 periods to his all are vocal music. Webern's vocal music can be classified into 3 periods to his trend. The 1st period is tonality(l908), the 2nd is atonal music(1908- 19241, and the 3nd is 12-tone technique (1924∼1943).
      This study ;analyzed "'Vier Lieder" op. 12 composed in Webern's atonal music period(l908∼1924), in order to study the melody structure appeared in his atonal music.
      Some concepts of Allen Forte's pitch-class set theory helps the analysis of the melody structure. The. analysis divides each movement in op.12 into Gesang(song; chant) and Klavier (accompaniment), and examined its pitch-class sets. Tone structure was examined with the touchstones like verse settings in Gesang; figure, motif ;and vertical harmony style in Klavi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Gesang forms a clear phrase according to verse settings, and all the 4 movements demonstrate the direct/indirect chromatic melodies. Besides, the seventh, eighth, and ninth direct/indirect disjunct melodies by the interval class 1 and 2, and the consecutive melody progression appear in those movements.
      The pitch-class sets are variously divided from dyad into octachord, and the melody features are shown already in Gesang.
      Also the pitch-class sets can be found as a common interval structure and a form.
      번역하기

      On the 3rd of December in 1883 in Vienna, Anton Webern (1883∼1945) was born a son of a mine engineer. He has taken lessons from his mother having been an amateur pianist, later lessons in piano and cello from Edwin Komauer. Entered Vienna College in...

      On the 3rd of December in 1883 in Vienna, Anton Webern (1883∼1945) was born a son of a mine engineer. He has taken lessons from his mother having been an amateur pianist, later lessons in piano and cello from Edwin Komauer. Entered Vienna College in autumn of 1902, he studied theory of music under Adler, theory of harmony under Graedener, and counterpoint under Navratil. In 1904, the meeting with Arnold Schoenberg put a great transition in his works. Webern, Schoenberg and his another disciple Alban Berg made the 2nd Vienna school, and they developed the 12-tone technique.
      vocal music. Webern's vocal music can be classified into 3 periods to his all are vocal music. Webern's vocal music can be classified into 3 periods to his trend. The 1st period is tonality(l908), the 2nd is atonal music(1908- 19241, and the 3nd is 12-tone technique (1924∼1943).
      This study ;analyzed "'Vier Lieder" op. 12 composed in Webern's atonal music period(l908∼1924), in order to study the melody structure appeared in his atonal music.
      Some concepts of Allen Forte's pitch-class set theory helps the analysis of the melody structure. The. analysis divides each movement in op.12 into Gesang(song; chant) and Klavier (accompaniment), and examined its pitch-class sets. Tone structure was examined with the touchstones like verse settings in Gesang; figure, motif ;and vertical harmony style in Klavi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Gesang forms a clear phrase according to verse settings, and all the 4 movements demonstrate the direct/indirect chromatic melodies. Besides, the seventh, eighth, and ninth direct/indirect disjunct melodies by the interval class 1 and 2, and the consecutive melody progression appear in those movements.
      The pitch-class sets are variously divided from dyad into octachord, and the melody features are shown already in Gesang.
      Also the pitch-class sets can be found as a common interval structure and a for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ⅲ
      • 논문개요 = ⅴ
      • Ⅰ. 서론 = 1
      • Ⅱ. Vier Lieder, Op.12의 분석 = 3
      • A. Der Tag ist vergangen = 4
      • 목차 = ⅲ
      • 논문개요 = ⅴ
      • Ⅰ. 서론 = 1
      • Ⅱ. Vier Lieder, Op.12의 분석 = 3
      • A. Der Tag ist vergangen = 4
      • B. Die geheimnisvolle Flo¨te = 20
      • C. Schien mir's, als ich sah die Sonne = 43
      • D. Gleich und Gleich = 62
      • Ⅲ. 결론 = 76
      • 참고문헌 = 78
      • 부록 = 79
      • ABSTRACT =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