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미・일・중간 기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분석 - 2010년과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nomic Impact Effects in the Key Industries among Korea, the USA, Japan, and China - Focused on the 2010 and 2014 World Input-Output Tabl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28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conomic impact effects of the key industries among Korea, the USA, Japan, and China using the 2010 and 2014 world input-output table, respectively.
      For the averag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f the entire industries in various countries in 2010, China was highest with 2.742, followed by Japan, Korea, and the USA in order. In 2014, China was highest with 2.973, followed by Korea, Japan, and the USA in order. Most of the Chinese key industries’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were highest while those in the USA were lowest in both 2010 and 2014.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in both 2010 and 2014 were different by country, and yet,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were usually highest, followed by primary metal products, textiles, and metal processing, etc..
      When comparing both 2010 and 2014 backward linkage effects among Korea, the USA, China and Japan, the average backward linkage effects of the entire industries among the countries in 2010 were highest in China, followed by Korea, Japan, and the USA in order. For 2014, China was highest, followed by, Korea, the USA, and Japan in order.
      In case of presuming that the final demands of the key industries in various countries were increased in 2010,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n both self and other indus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untry. China was highest in all the industries, including key industries such as textiles, electronics, and machinery industries while the USA was lowest. Even for 2014, China was highest in all the key industries while the USA was lowest, showing the same result with those in 2010.
      번역하기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conomic impact effects of the key industries among Korea, the USA, Japan, and China using the 2010 and 2014 world input-output table, respectively. For the averag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f the entire indu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conomic impact effects of the key industries among Korea, the USA, Japan, and China using the 2010 and 2014 world input-output table, respectively.
      For the averag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f the entire industries in various countries in 2010, China was highest with 2.742, followed by Japan, Korea, and the USA in order. In 2014, China was highest with 2.973, followed by Korea, Japan, and the USA in order. Most of the Chinese key industries’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were highest while those in the USA were lowest in both 2010 and 2014.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in both 2010 and 2014 were different by country, and yet,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were usually highest, followed by primary metal products, textiles, and metal processing, etc..
      When comparing both 2010 and 2014 backward linkage effects among Korea, the USA, China and Japan, the average backward linkage effects of the entire industries among the countries in 2010 were highest in China, followed by Korea, Japan, and the USA in order. For 2014, China was highest, followed by, Korea, the USA, and Japan in order.
      In case of presuming that the final demands of the key industries in various countries were increased in 2010,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n both self and other indus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untry. China was highest in all the industries, including key industries such as textiles, electronics, and machinery industries while the USA was lowest. Even for 2014, China was highest in all the key industries while the USA was lowest, showing the same result with those in 2010.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0년과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중국 간 기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세계산업연관표는 전 세계 총 43개 국가, 56산업부문인 2,408× 2,408 중간거래행렬로 이루어진 산업연관표이다.
      2010년의 각국의 전체산업 평균 생산유발효과는 중국이 2.742로 가장 높고, 그 다음 일본이 2.047, 우리나라가 2.014, 미국이 1.898 순으로 나타났다. 2014년의 경우는 중국이 가장 높고, 그 다음 우리나라, 일본, 미국 순으로 나타났다. 2010년과 2014년의 생산유발효과는 국가별로 약간 차이가 났지만, 대체적으로 화학 및 화학제품이 가장 높고, 그 다음 1차 금속과 섬유제품, 금속가공 등이 높았다.
      한・미・중・일간 2010년과 2014년 후방연관효과를 비교하면, 2010년의 각국의 전체산업 평균 후방연관효과는 중국, 우리나라, 일본, 미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14년의 경우는 중국, 우리나라, 미국, 일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10년 각국 기간산업의 최종수요가 증가했다고 가정할 경우, 자기산업과 타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를 국가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중국이 기간산업인 섬유산업과 전자산업, 자동차산업, 기계장비업 등 모든 산업에서 가장 높았고, 미국이 가장 낮았다. 2014년의 경우에도 2010년과 비슷하였다. 한・일간의 관계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일본에 비해서 섬유산업과 기계장비업, 전자산업에 대해서는 더 높았으나, 일본은 우리나라에 비해서 철강산업과 자동차산업의 전체 파급효과 더 높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0년과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중국 간 기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세계산업연관표는 전 세계 총 43개 국가, 56산업부문인...

      본 연구는 2010년과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중국 간 기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세계산업연관표는 전 세계 총 43개 국가, 56산업부문인 2,408× 2,408 중간거래행렬로 이루어진 산업연관표이다.
      2010년의 각국의 전체산업 평균 생산유발효과는 중국이 2.742로 가장 높고, 그 다음 일본이 2.047, 우리나라가 2.014, 미국이 1.898 순으로 나타났다. 2014년의 경우는 중국이 가장 높고, 그 다음 우리나라, 일본, 미국 순으로 나타났다. 2010년과 2014년의 생산유발효과는 국가별로 약간 차이가 났지만, 대체적으로 화학 및 화학제품이 가장 높고, 그 다음 1차 금속과 섬유제품, 금속가공 등이 높았다.
      한・미・중・일간 2010년과 2014년 후방연관효과를 비교하면, 2010년의 각국의 전체산업 평균 후방연관효과는 중국, 우리나라, 일본, 미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14년의 경우는 중국, 우리나라, 미국, 일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10년 각국 기간산업의 최종수요가 증가했다고 가정할 경우, 자기산업과 타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를 국가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중국이 기간산업인 섬유산업과 전자산업, 자동차산업, 기계장비업 등 모든 산업에서 가장 높았고, 미국이 가장 낮았다. 2014년의 경우에도 2010년과 비슷하였다. 한・일간의 관계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일본에 비해서 섬유산업과 기계장비업, 전자산업에 대해서는 더 높았으나, 일본은 우리나라에 비해서 철강산업과 자동차산업의 전체 파급효과 더 높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원 ; 이상근, "한국, 중국, 일본의 1차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비교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23 (23): 103-118, 2018

      2 이춘근 ; 김호언, "한⋅중⋅일간 자동차산업의 승수효과 분해 비교 분석: 2010년과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39 (39): 129-153, 2021

      3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론" 학문사 2006

      4 이창수 ; 정의련 ; 정유미,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주요국가의 산업경쟁력 분석" 한국무역학회 41 (41): 97-121, 2016

      5 권태현,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국과 주요국의 부문별 산출변동 요인 분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6 한국은행, "세계산업연관표(WIOT)의 구조와 이해"

      7 김호언, "산업연관경제학" 서울기획 2005

      8 이춘근, "국제산업연관표에 의한 한·중·일 간 섬유산업의 연관구조 분석" 산업경영연구소 38 (38): 175-197, 2015

      9 김호언 ; 이춘근, "“연속적 연결” 개념을 고려한 기간산업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IO, OO, FF모형을 통한 산업연관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33 (33): 201-226, 2021

      10 이춘근, "‘Multiplier Decomposition in Major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International Input-output Table" 산업경영연구소 39 (39): 157-181, 2016

      1 임지원 ; 이상근, "한국, 중국, 일본의 1차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비교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23 (23): 103-118, 2018

      2 이춘근 ; 김호언, "한⋅중⋅일간 자동차산업의 승수효과 분해 비교 분석: 2010년과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39 (39): 129-153, 2021

      3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론" 학문사 2006

      4 이창수 ; 정의련 ; 정유미,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주요국가의 산업경쟁력 분석" 한국무역학회 41 (41): 97-121, 2016

      5 권태현,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국과 주요국의 부문별 산출변동 요인 분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6 한국은행, "세계산업연관표(WIOT)의 구조와 이해"

      7 김호언, "산업연관경제학" 서울기획 2005

      8 이춘근, "국제산업연관표에 의한 한·중·일 간 섬유산업의 연관구조 분석" 산업경영연구소 38 (38): 175-197, 2015

      9 김호언 ; 이춘근, "“연속적 연결” 개념을 고려한 기간산업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IO, OO, FF모형을 통한 산업연관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33 (33): 201-226, 2021

      10 이춘근, "‘Multiplier Decomposition in Major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International Input-output Table" 산업경영연구소 39 (39): 157-181, 2016

      11 김호언 ; 이춘근, "Why Does “the Economic Absurdity” Occur in the Requirements Matrix? : Based on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quirements Matrix" Institute of Industrial and Business Management of Kyungnam University 44 (44): 151-178, 2021

      12 Stone, R., "The Disaggregation of the Households Sector in the National Accounts" World Bank 145-185, 1985

      13 이춘근 ; 김호언, "The Decomposition of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among Korea, the USA, and Japan Using the World Input-Output Table" The Korean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36 (36): 165-193, 2018

      14 全冬梅 ; Xu Yonghui ; Cui Xiaoyan, "Study on Interdependence Relationship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Based on Trade in Value-added - From the Perspective of Final Consumption and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 지역개발연구소 51 (51): 129-149, 2019

      15 최봉석, "Measures of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in the Korea's Energy-intensive Manufacturing Sectors" 재단법인 에너지경제연구원 19 (19): 1-28, 2020

      16 Stone, R., "Input-Output and National Accounts" OECD 1961

      17 Round, J. I., "Input-Output Analysis: Frontiers and Extensions" Palgrave Publishers Ltd 54-70, 2001

      18 Miller, R. E.,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Prentice-Hall, Inc 2009

      19 Round, J. I., "Decomposing Multipliers for Economic Systems Involving Regional and World Trade" 95 (95): 383-399, 1985

      20 이홍배, "Analysis of the Induced Production Mechanism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Input-Output Model" 한국비교경제학회 17 (17): 1-32, 2010

      21 Timmer, M. P., "An Illustrated User Guide to the World Input-Output Database : the Case of Global Automotive Production" 23 (23): 575-605, 2015

      22 Timmer, M. P., "An Anatomy of the Global Trade Slowdown based on the WIOD 2016 Release" Groningen Growth and Development Centre, University of Groningen 1-65, 2016

      23 Pyatt, G., "Accounting and Fixed Prices Multipliers in a Social Accounting Matrix Framework" 89 (89): 850-873, 1979

      24 김호언 ; 이춘근, "A Study on the Estimation Error Occur in the Input Requirements: Based on the Case Analysis through the Input Model" Institute of Industrial and Business Management of Kyungnam University 41 (41): 83-112, 2019

      25 김홍률 ; 최화위, "A Study on the Backward and Forward Linkage Effect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y International Input-Output Analysis"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17 (17): 241-264, 2015

      26 이춘근 ; 김호언,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nomic Inducement Effects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Korea Regional Economics Association 42 : 73-90, 2019

      27 WIOD(World Input-Output Database), "2014 World Input-Output Tabl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5-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gional Dvelopment Research Institute -> The Center for Regional Development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