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유용성 검증 = Verification of Utility of Early Screening Scale for Children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6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utility of the scale.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three parts. To verify utility of the scale, discriminative validity, evaluate predictive validity, and discriminatory power were computed. For this, kindergarten teacher rated children using the scale and, tested the 86 children’ 1st-grade academic achievement a year late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o evaluate discriminative validity, scores on academic achievement (1st grader) were compared among four groups classified by the scale (kindergartener). In this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on the total score and all sub-tests. To evaluate predictive valid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score in kindergarte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 in 1st grade was investigated. In this analysi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wo tests.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tory power of the scal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computed. In this analysis, the sensitivity was .75, specificity was .97, and negative value was .98, which were very high. The positive value was .60, which were higher than previous scal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can be screened in kindergarten.
      Therefor, early screening instruments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utility of the scale.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three parts. To verify utility of the scale, discriminative validity, evaluate predictive validity, and discriminatory power were computed. For this, kinderg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utility of the scale.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three parts. To verify utility of the scale, discriminative validity, evaluate predictive validity, and discriminatory power were computed. For this, kindergarten teacher rated children using the scale and, tested the 86 children’ 1st-grade academic achievement a year late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o evaluate discriminative validity, scores on academic achievement (1st grader) were compared among four groups classified by the scale (kindergartener). In this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on the total score and all sub-tests. To evaluate predictive valid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score in kindergarte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 in 1st grade was investigated. In this analysi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wo tests.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tory power of the scal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computed. In this analysis, the sensitivity was .75, specificity was .97, and negative value was .98, which were very high. The positive value was .60, which were higher than previous scal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can be screened in kindergarten.
      Therefor, early screening instruments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차 연구를 통해 문항 개발 및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유용성을 2차로 검증함으로써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학습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변별 타당도, 예측 타당도, 판별력을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7세 아동을대상으로 학습장애 조기선별척도를 평정한 후, 1년 뒤 초등학교 1학년 시기에 추적이 가능한 86명 아동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여 학습장애 조기선별척도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첫째,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 점수에 의해 분류된75%ile 이상 집단과 25%ile 이하 집단 간 학업성취 점수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총점과 모든 영역에서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유치원기의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 점수와 학령기의 학업성취도 점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두 검사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판별력을 알아보기 위해 민감도, 특이도, 부적 예측값, 정적 예측값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민감도는 .75, 특이도는 .97, 부적 예측값은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정적 예측값은 .60으로 중등도 수준이지만 기존의선별척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습장애 선별척도를 통한 학습장애 위험아동조기선별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준다. 앞으로 학습장애를 조기에 선별하기 위한 연구가 더 활성화되어 현장에서 학습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차 연구를 통해 문항 개발 및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유용성을 2차로 검증함으로써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

      본 연구는 1차 연구를 통해 문항 개발 및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유용성을 2차로 검증함으로써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학습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변별 타당도, 예측 타당도, 판별력을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7세 아동을대상으로 학습장애 조기선별척도를 평정한 후, 1년 뒤 초등학교 1학년 시기에 추적이 가능한 86명 아동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여 학습장애 조기선별척도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첫째,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 점수에 의해 분류된75%ile 이상 집단과 25%ile 이하 집단 간 학업성취 점수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총점과 모든 영역에서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유치원기의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 점수와 학령기의 학업성취도 점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두 검사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척도의 판별력을 알아보기 위해 민감도, 특이도, 부적 예측값, 정적 예측값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민감도는 .75, 특이도는 .97, 부적 예측값은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정적 예측값은 .60으로 중등도 수준이지만 기존의선별척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습장애 선별척도를 통한 학습장애 위험아동조기선별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준다. 앞으로 학습장애를 조기에 선별하기 위한 연구가 더 활성화되어 현장에서 학습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식, "한글읽기 발달의 이론과 그 응용" 20 (20): 211-227, 2001

      2 신민섭,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 척도" 학지사 2007

      3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4 박경숙, "기초학습기능검사"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5 김병성, "교육연구방법" 학지사 2003

      6 Case, L. P., "Validation of a supplemental reading internation for first-grade children" 43 (43): 402-417, 2010

      7 Taylor, H. G., "Utility of kindergarten teacher judgments in identifying early learning problems" 33 (33): 200-210, 2000

      8 Hammill, D. D., "Using semantics, grammar, phonology, and rapid naming tasks to predict word identification" 35 (35): 121-136, 2002

      9 Locuniak, M. N., "Using kindergarten number sense to predict calculation fluency in second grade" 41 (41): 451-459, 2008

      10 Teisl, J. T., "The utility of kindergarten teacher ratings for predicting low academic achievement in first grade" 34 (34): 286-293, 2001

      1 권오식, "한글읽기 발달의 이론과 그 응용" 20 (20): 211-227, 2001

      2 신민섭,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 척도" 학지사 2007

      3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4 박경숙, "기초학습기능검사"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5 김병성, "교육연구방법" 학지사 2003

      6 Case, L. P., "Validation of a supplemental reading internation for first-grade children" 43 (43): 402-417, 2010

      7 Taylor, H. G., "Utility of kindergarten teacher judgments in identifying early learning problems" 33 (33): 200-210, 2000

      8 Hammill, D. D., "Using semantics, grammar, phonology, and rapid naming tasks to predict word identification" 35 (35): 121-136, 2002

      9 Locuniak, M. N., "Using kindergarten number sense to predict calculation fluency in second grade" 41 (41): 451-459, 2008

      10 Teisl, J. T., "The utility of kindergarten teacher ratings for predicting low academic achievement in first grade" 34 (34): 286-293, 2001

      11 Roberts, J. A., "The simple view of reading : Assessment and intervention" 26 (26): 127-143, 2006

      12 Coleman, J. M., "The risk screening test : using kindergarten teachers’ ratings to predict future placement in resource classroom" 59 : 498-477, 1993

      13 Torgesen, J. K., "The prevention of reading difficulties" 40 (40): 7-26, 2002

      14 Glascoe, F. P., "The accuracy of the Denver Ⅱ in developmental screening" 89 : 1221-1225, 1992

      15 Meisels, S. J., "The Early Screening Inventory Revised" Rebus Inc 1997

      16 Scarborough, H. S., "Specific reading disability: A view of the spectrum" York Press 75-119, 1998

      17 Hoge, R. 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eacher-judgment measures of pupil aptitudes, classroom behaviors, and achievement levels" 17 : 401-429, 1983

      18 Stage, S. A., "Predicting response to early reading intervention from verbal IQ, reading-related language abilities, attention ratings, and verbal IQ-word reading discrepancy : Failure to validate discrepancy method" 36 (36): 24-33, 2003

      19 Jordan, N. C., "Predicting first-grade math achievement from developmental number sense trajectories" 22 (22): 36-46, 2007

      20 Meisels, S. J., "New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screening inventory" 8 : 327-347, 1993

      21 O’Connor, R. E., "Layers of reading intervention in kindergarten through third grade : Changes in teaching and student outcomes" 38 (38): 440-455, 2005

      22 Gijsel, M. A., "Kindergarten risk factors, cognitive factors, and teacher judgments as predictors of early reading in dutch" 39 (39): 558-571, 2006

      23 Schneider, W., "Kindergarten prevention of dyslexia:Does training in phonological awareness work for everybody?" 32 (32): 429-436, 1999

      24 정대영, "KISE 학습장애 선별척도" 국립특수교육원 1996

      25 김정미, "K-CDI 아동발달검사"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6

      26 Gredler, G. R., "Issues in early childhood screening and assessment" 34 (34): 99-106, 1997

      27 Flynn, J. M., "Improving teacher prediction of children at risk for reading failure" 35 : 163-172, 1998

      28 Berkeley, S., "Implementation of response to intervention" 42 (42): 85-95, 2009

      29 Landry, S. H., "Enhancing early literacy skills for preschool children : Bringing a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to scale" 39 (39): 306-324, 2006

      30 Mantzicopoulos, P. Y., "Early prediction of reading achievement : Exploring the relationship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measures to inaccurate classifications of at-risk status" 15 : 244-251, 1994

      31 Felton, R. H., "Early identification of children at 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12 : 212-229, 1992

      32 Dowker, A.,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difficulties" 38 (38): 324-332, 2005

      33 Frankenburg, W. K., "Denver-Ⅱ technical manual" Denver Developmental Materials 1990

      34 Coyne, M. D., "Beginning reading intervention as inoculation or insulin : First-grade reading performance of strong responders to kindergarten intervention" 37 (37): 90-101, 2004

      35 Glascoe, F. P., "A validation study an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rigance Screen" Curriculum Associates 1995

      36 Fuchs, L. S., "A framework for building capacity for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35 (35): 621-626,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