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에 대한 주석 전통은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과 일본으로 확산되며 장기간에 걸쳐 계승․변용되어 왔으며, 이는 단순한 경전 해석을 넘어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유와 지적 교류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4967
김서윤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2025
Korean
Analects commentaries ; conceptual terms ; citation relations ; semantic database ; XML ; 논어주석 ; 개념어 ; 인용관계 ; 시맨틱 데이터 ; XML
KCI등재
학술저널
211-24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논어』에 대한 주석 전통은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과 일본으로 확산되며 장기간에 걸쳐 계승․변용되어 왔으며, 이는 단순한 경전 해석을 넘어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유와 지적 교류를 ...
『논어』에 대한 주석 전통은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과 일본으로 확산되며 장기간에 걸쳐 계승․변용되어 왔으며, 이는 단순한 경전 해석을 넘어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유와 지적 교류를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경학 데이터베이스는 주로 원문 제공이나 단순 검색에 그쳐, 주석 간의 연관성이나 시대․지역․사상별 해석 경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논어』 주석서를 시맨틱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석 텍스트를 XML 기반의 구조화된 데이터로 설계하는 작업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경문과 주석을 ID로 연결하고, 주요 개념어의 해석을 태깅하며, 인용 관계를 체계적으로 명시함으로써, 의미 기반 탐색이 가능한 데이터 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특히 주희의 『논어집주』, 정약용의 『논어고금주』, 오규 소라이의 『논어징』을 중심으로, 동일 경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비교하고, 핵심 개념의 의미 변천 및 주석 간 인용 관계를 구조화하였다. 이로써 개별 주석서 중심의 분석을 넘어, 동아시아 유학의 해석 전통을 총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dition of annotating the Analects originated in China and subsequently spread to Korea and Japan, undergoing continuous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ver centuries. This tradition represents more than mere interpretation of a Confucian class...
The tradition of annotating the Analects originated in China and subsequently spread to Korea and Japan, undergoing continuous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ver centuries. This tradition represents more than mere interpretation of a Confucian classic—it constitutes a critical dimension of intellectual exchange and philosophical discourse in East Asia. However, existing databases for Confucian texts are mostly limited to providing source texts or basic keyword searches, lacking the structural framework necessary for analyzing intertextual references, chronological developments, and regional or ideological variations in interpretation.
This study proposes a semantic database model for Analects commentaries by transforming annotation texts into structured XML data. By linking scripture passages with annotations via unique identifiers, tagging key conceptual terms, and systematically encoding citation relationships, the model aims to create a data environment that supports meaning-based querying and comparative analysis.
Focusing on three representative commentaries—Zhu Xi’s Analects Collected Commentaries, Jeong Yakyong’s Ancient and Modern Commentary on the Analects, and Ogyū Sorai’s Analects Evidence—the study structures the semantic interpretations of identical passages, traces the evolution of key concepts, and visualizes intertextual relationships. In doing so, it seeks to provide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transcending commentary-specific research and enabling a broader, networked understanding of East Asian Confucian scholarship.
「읍혈록-경신일기」를 통해 본 한말 유림의 절의정신과 항일 의식 –김석진의 自靖殉國과 不事二君의 실천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