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東溪 李英輔의 시 세계 고찰 = World Studies in the Poetry of Lee Young-bo(東溪 李英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4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후기에 활동했던 월사 이정귀 가문의 문인 동계 이영보 (1686~1747)의 시 세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의 가계문학 전승 양상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영보는 비록 한문학계에 널리 알려진 문인은 아니지만, 월사 가문의 일원으로 뛰어난 문학적 소양을 지니고 있었다. 그의 시는 226題 455수에 이르며 이는 가문의 문학적 전통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는 억지로 꾸미거나 기교를 부리지 않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진솔한 감정과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였는데, 이는 백악시단이 추구한 眞詩의 핵심과도 맥을 같이한다. 다양한 주제와 시 형식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연작시와 장편 고시를 창작하고 평이하면서 풍부한 어휘와 감각적인 이미지, 섬세한 표현력을 구사하였다. 이영보는 선대 가계문학의 전통과 지향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개성과 깊은 사유를 담아 그의 시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는 혼란스러운 시대에 삶의 무상함과 은둔에 대한 갈망을 느끼는 한편, 철학적 사색과 수신 성찰을 실천하며 삶의 의미를 추구하였다. 나아가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심미적 체험을 확장하였으며 관료로서의 책임감으로 현실 정치의 모순을 비판하는 등 백성을 위한 정치를 염원하였다. 특히, 그의 시에 나타난 가혹한 현실에 대한 관심과 비판적인 시각은 선대보다 한층 강화된 모습으로 드러나, 문학을 현실과 소통하는 수단으로 삼았던 당대 지성인의 경향을 반영한다. 이영보는 자연 친화적인 성향, 유교적 가치관, 현실 비판 의식 등을 드러내며 다양한 주제 의식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영보의 시 세계를 가계문학의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의 이홍상 가계문학 연구가 청음 김상헌 가계와의 혼인 관계 및 여류 문인 탄생에만 집중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이홍상 직계 가문의 문학 전승 양상을 밝히고 이영보의 시 세계 형성에 미친 가계의 특성과 증조부 이홍상의 영향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꾸준한 시창작을 통해 얻어낸 이영보의 문예적인 성취가 독립적인 연구가 아니라, 가계문학의 전승과 그 지속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이는 이영보의 시가 전통의 계승과 개성의 조화를 이룬다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조선 후기에 활동했던 월사 이정귀 가문의 문인 동계 이영보 (1686~1747)의 시 세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의 가계문학 전승 양상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영보는 비록 한문...

      본 논문은 조선 후기에 활동했던 월사 이정귀 가문의 문인 동계 이영보 (1686~1747)의 시 세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의 가계문학 전승 양상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영보는 비록 한문학계에 널리 알려진 문인은 아니지만, 월사 가문의 일원으로 뛰어난 문학적 소양을 지니고 있었다. 그의 시는 226題 455수에 이르며 이는 가문의 문학적 전통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는 억지로 꾸미거나 기교를 부리지 않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진솔한 감정과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였는데, 이는 백악시단이 추구한 眞詩의 핵심과도 맥을 같이한다. 다양한 주제와 시 형식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연작시와 장편 고시를 창작하고 평이하면서 풍부한 어휘와 감각적인 이미지, 섬세한 표현력을 구사하였다. 이영보는 선대 가계문학의 전통과 지향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개성과 깊은 사유를 담아 그의 시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는 혼란스러운 시대에 삶의 무상함과 은둔에 대한 갈망을 느끼는 한편, 철학적 사색과 수신 성찰을 실천하며 삶의 의미를 추구하였다. 나아가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심미적 체험을 확장하였으며 관료로서의 책임감으로 현실 정치의 모순을 비판하는 등 백성을 위한 정치를 염원하였다. 특히, 그의 시에 나타난 가혹한 현실에 대한 관심과 비판적인 시각은 선대보다 한층 강화된 모습으로 드러나, 문학을 현실과 소통하는 수단으로 삼았던 당대 지성인의 경향을 반영한다. 이영보는 자연 친화적인 성향, 유교적 가치관, 현실 비판 의식 등을 드러내며 다양한 주제 의식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영보의 시 세계를 가계문학의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의 이홍상 가계문학 연구가 청음 김상헌 가계와의 혼인 관계 및 여류 문인 탄생에만 집중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이홍상 직계 가문의 문학 전승 양상을 밝히고 이영보의 시 세계 형성에 미친 가계의 특성과 증조부 이홍상의 영향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꾸준한 시창작을 통해 얻어낸 이영보의 문예적인 성취가 독립적인 연구가 아니라, 가계문학의 전승과 그 지속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이는 이영보의 시가 전통의 계승과 개성의 조화를 이룬다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in depth the poetry of Lee Youngbo(東溪 李英輔, 1686-1747), a member of the Walsa Lee Jung-gu family, which was activ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Sukjong to the Youngjo Dynasty, to reveal his literary features and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Although Lee Young-bo is not widely known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as a member of the Walsa family, he possessed outstanding literary skills. His poems range from 229 to 442 lines, which are deeply connected to the family's literary tradition. He emphasized the natural expression of sincere feelings and thoughts from the heart, without any forced embellishment or artifice. He freely utilized a variety of themes and poetic forms to create both serialized and long poems, and used a rich vocabulary, sensuous imagery, and delicate expression.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 of his family's literature, Lee built a poetic world that revealed his own individuality. He sought the meaning of life by practicing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reflection on the impermanence of life, longing for seclusion, and philosophical reflection in a chaotic age. He also longed for politics for the people, expanding his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communion with nature and criticizing the contradictions of real politics based on his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bureaucrat. His poems reveal a variety of thematic consciousnesses, including an inclination toward nature, Confucian values, and a consciousness of criticizing reality.
      By analyzing Lee's poetry in depth in the context of family literature, this study redefines his literary status.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studies of Lee Hong-sang's family literature, which focused only on his marriage to the Cheongyum Kim Sang-heon family and the birth of a female literary figure,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reveals the aspects of literary transmission in Lee Hong-sang's immediate family and analyzes Lee Hong-sang'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Lee Young-bo's poetic world. This study has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as an example of how family literary transmiss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literary research.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in depth the poetry of Lee Youngbo(東溪 李英輔, 1686-1747), a member of the Walsa Lee Jung-gu family, which was activ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Sukjong to the Youngjo Dynasty, to reveal his literary features and lit...

      This paper analyzes in depth the poetry of Lee Youngbo(東溪 李英輔, 1686-1747), a member of the Walsa Lee Jung-gu family, which was activ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Sukjong to the Youngjo Dynasty, to reveal his literary features and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Although Lee Young-bo is not widely known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as a member of the Walsa family, he possessed outstanding literary skills. His poems range from 229 to 442 lines, which are deeply connected to the family's literary tradition. He emphasized the natural expression of sincere feelings and thoughts from the heart, without any forced embellishment or artifice. He freely utilized a variety of themes and poetic forms to create both serialized and long poems, and used a rich vocabulary, sensuous imagery, and delicate expression.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 of his family's literature, Lee built a poetic world that revealed his own individuality. He sought the meaning of life by practicing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reflection on the impermanence of life, longing for seclusion, and philosophical reflection in a chaotic age. He also longed for politics for the people, expanding his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communion with nature and criticizing the contradictions of real politics based on his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bureaucrat. His poems reveal a variety of thematic consciousnesses, including an inclination toward nature, Confucian values, and a consciousness of criticizing reality.
      By analyzing Lee's poetry in depth in the context of family literature, this study redefines his literary status.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studies of Lee Hong-sang's family literature, which focused only on his marriage to the Cheongyum Kim Sang-heon family and the birth of a female literary figure,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reveals the aspects of literary transmission in Lee Hong-sang's immediate family and analyzes Lee Hong-sang'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Lee Young-bo's poetic world. This study has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as an example of how family literary transmiss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literary researc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