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통 儒家 사회에서 맛에 대한 탐욕은 일관되게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 중 宋代 文人 士大夫는 理學的 세계관 아래 천하의 안위와 경영이라는 시대적 사명감을 무겁게 짊어지던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12629
김원희 (제주대학교)
2022
Korean
Honest poverty ; Song-Dynasty ; Poetry ; Chinese chives ; Symbol ; 청빈 ; 송대 ; 시가 ; 부추 ; 상징
KCI등재
학술저널
1-26(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전통 儒家 사회에서 맛에 대한 탐욕은 일관되게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 중 宋代 文人 士大夫는 理學的 세계관 아래 천하의 안위와 경영이라는 시대적 사명감을 무겁게 짊어지던 지...
중국 전통 儒家 사회에서 맛에 대한 탐욕은 일관되게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 중 宋代 文人 士大夫는 理學的 세계관 아래 천하의 안위와 경영이라는 시대적 사명감을 무겁게 짊어지던 지식인으로서, 일상의 즐거움 가운데 특히 미각의 즐거움에 몰입해서는 안 되며, 욕망의 하나인 식욕을 경계해야 한다는 도덕적 틀을 가지고 있었다. 9,000여 명의 작가와 27만여 수의 작품을 모아놓은 『全宋詩』에서 생활사물‘부추’가 언급된 시는 300여 편이며, 그 가운데 ‘청빈’의 상징을 가진 채 中心詩語로 등장하는 작품만 100여 편에 이른다. 이는 특정 음식을 詩材로 한 면에서는 독보적이라 할 수 있다. 생활사물 부추를 시재나 시어로써 사용한 일부 송대 문인 사대부들은‘부추’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을 통해 그들의 작품 속에 그 ‘뜻[志]’, 즉 시대적 사명감과 책임 의식을 은유적으로 투영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가 속 ‘부추’를 읽음은 인격의 모범으로, 사회의 양심으로 송대 사회를 건전하게 이끌어 가고자 한 문인 사대부 지식인들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과 다름 아니다. 본 연구는 송대 시가에서 매우 상징적으로 소통되고 있는 생활사물 ‘부추[韭]’와 관련 음식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의미에 주목하여, ‘부추’가 출현하는 『全宋詩』 속 작품들을 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추’의 문화적 의미, 특히 도덕적 심리적 측면에서 부추가 상징하고 있는‘청빈’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송대 시가에서 부추는 크게 네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첫째, 春興을 노래한 ‘봄을 알리는 전령’으로서의 의미이다. 둘째, 가난한 살림에도 벗을 극진히 대접한 우정을 노래한 ‘부추를 잘라서[剪韭]’이다. 셋째, 北齊 周顒의 典故를 이용하여 제철 蔬食을 통한 養生의 즐거움을 노래한 ‘이른 봄 부추와 늦가을 배추[早韭晩菘]’이다. 넷째, 南齊 庾杲之의 밥상에 ‘부추로 만든 반찬 세 가지[三韭]’가 올라 온 전고를 통하여 청빈함을 노래한 ‘유랑삼구(庾郞三韭)’이다.
본 논문은 송대 문인 사대부의 시가 작품 속 음식이 가지는 상징성을 통해, 그 시대 인물들이 지향하고자 하는 삶의 고뇌를 읽고, 오늘날 청렴의 의미까지 사대부의 정체성과 사상을 연구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 편으론 음식에 관한 연구이자 그 음식을 선택하는 행위와 그 행위에 내포된 관념에 관한 연구이지만, 또 한 편으론 생활 속‘부추’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상징성으로부터 송대 사대부 문인의 청빈관을 고찰하는 과정이다.
1 스도 요시유키, "중국의 역사 송대" 혜안 2018
2 고지마 쓰요시, "사대부의 시대" 동아시아 2004
3 장 앙텔므 브리야사바랭, "브리야 사바랭의 미식 예찬" 르네상스 2004
4 岳珂, "金佗稡編, 四庫全書本"
5 李新, "跨鼇集, 四庫全書本"
6 周孚, "蠧齋鉛刀編, 四庫全書本"
7 蘇軾, "蘇軾詩集合注" 上海古籍出版社 2001
8 徐積, "節孝集, 四庫全書本"
9 王庭珪, "盧溪文集, 四庫全書本"
10 王安石, "王安石全集" 復旦大學出版社 2008
1 스도 요시유키, "중국의 역사 송대" 혜안 2018
2 고지마 쓰요시, "사대부의 시대" 동아시아 2004
3 장 앙텔므 브리야사바랭, "브리야 사바랭의 미식 예찬" 르네상스 2004
4 岳珂, "金佗稡編, 四庫全書本"
5 李新, "跨鼇集, 四庫全書本"
6 周孚, "蠧齋鉛刀編, 四庫全書本"
7 蘇軾, "蘇軾詩集合注" 上海古籍出版社 2001
8 徐積, "節孝集, 四庫全書本"
9 王庭珪, "盧溪文集, 四庫全書本"
10 王安石, "王安石全集" 復旦大學出版社 2008
11 趙蕃, "淳熙稿, 四庫全書本"
12 呂本中, "東萊詩集, 四庫全書本"
13 劉克莊, "後村先生大全集, 四部叢刊初編本"
14 劉子翬, "屏山集, 四庫全書本"
15 顧友澤, "宋代南渡詩歌研究" 北京大學出版社 2014
16 김원희, "太官羊을 통해 본 宋代 士大夫 심리 연구— 宋詩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학회 (51) : 115-134, 2021
17 牛廷順, "古代文學中的韭菜― 書寫歷史⋅情感意蘊與話語經典" 34 (34): 2020
18 杜若鴻, "北宋政治詩的發展歷程⋅内容類型和藝術特點" 復旦大學出版社 4 : 2015
19 陸游, "劍南詩稿校注" 上海古籍出版社 2005
20 艾性夫, "剩语, 四庫全書本"
21 湯華泉, "全宋詩輯補" 黃山書社 2016
22 傅璿琮, "全宋詩" 北京大學出版社 1998
23 曾棗莊, "全宋文" 巴蜀書社 1991
24 "全唐詩 五刷" 中華書局 1992
25 "二十四史" 中華書局 1997
26 趙翼, "二十二史劄記, 光緒廣雅叢書本"
27 葛勝仲, "丹陽集, 四庫全書本"
食人故事 및 談論을 통해 본 明代 지식인의 야만과 문명에 대한 인식
서주시기 위계와 권력에 관한 소고 — 도시의 종교적 성격을 중심으로
安重根 義士를 題材로 한 중국 詩歌 연구 Ⅰ — 시가 개관과 안중근 애도·찬양 내용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