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의 수행에서 새롭게 고려되고 있는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생활환경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01835
2022
-
300
KCI등재
학술저널
67-93(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의 수행에서 새롭게 고려되고 있는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생활환경에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의 수행에서 새롭게 고려되고 있는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생활환경에 대한 주민만족도를 독립변수로하고, 공동체의식을 종속변수로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애착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물리적 생활환경만족 요인은 주택환경만족(β=0.394)과 서비스접근성만족(β=0.236)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역정체성에 대한 생활환경만족은 주택환경만족(β=0.423), 지역사회환경만족(β=0.212), 그리고 서비스접근성만족(β=0.192)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회적상호작용에 대한 생활환경만족 요인은 주택환경만족(β=0.269)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충족감에 대한 주민의 생활환경 만족 요인은 주택환경만족(β=0.394), 지역사회환경만족(β=0.394), 그리고 서비스접근성만족(β=0.394)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도시재생사업의 사업목표 설정에서 우선순위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주민의 주택환경에 대한 만족을 제고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community newly considered in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a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community newly considered in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and empirically analyzed with resident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nviron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sense of community’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factors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ocal attachment were analyzed as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β=0.394) and service accessibility satisfaction (β=0.236). Second, the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factors for local identity were analyzed as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β=0.423),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satisfaction (β=0.212), and service accessibility satisfaction (β=0.192). Third, the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factor for social interaction was analyzed as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β=0.269). Fourth, the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factors of residents in terms of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β =0.394), local community environmental satisfaction (β=0.394), and service accessibility satisfaction (β=0.394).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ha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op priority in setting the project goal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with the housing environment. The second priority in goal setting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to enhance access to public services as a public environment.
공공 서비스 혁신 역량과 혁신 성과 간 관계 분석: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
지방재정확충 수단으로서 선택소비세의 도입에 대한 연구: 실질적 지방소비세로서의 선택소비세의 역할 가능성을 중심으로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변동과정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