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에 참여한 유아 어머니의 경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79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ow the mother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support project for kindergarten in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acknowledge the support project, what the requests are for the support p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ow the mother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support project for kindergarten in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acknowledge the support project, what the requests are for the support project, a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upport project on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e 6 mothers of the children who are attending the kindergarten located in the C, Chungchungbuk-do subject to the support project for kindergarten in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By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first, the mothers were positive about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project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Second, the requests of mot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project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included a proactive promotion about the support project and the kindergarten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mmunity, dispatching professional welfare resources to the support project kindergartens. Third, the effects of operation of the support project for kindergarten in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eferred areas on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were posi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을 경험한 유아 어머니가 지원사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지원사업에 대한 요구는 무엇이고, 지원사업이 유아와 어머니에게 ...

      본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을 경험한 유아 어머니가 지원사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지원사업에 대한 요구는 무엇이고, 지원사업이 유아와 어머니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북도 C시에 소재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대상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6명 이었으며, 반구조화된 면담방식을 사용하여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운영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활동비를 지원 해주는 것에 대하여 가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비용의 부담으로 경험하지 못했던 활동을 유아가 무료로 경험하게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복지투자우선 지역 지원사업 운영에서의 어머니의 요구는 지원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를 유치원에서 제공해 주는 것, 지원사업 유치원에 복지담당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 것, 보편적인 복지혜택으로서의 무상교육, 무상급식이 있었으며, 지원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표현활동과 야외활동을 통하여 유아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 다양한 견학이나 체험활동을 통하여 가정에서 경험시켜 주기 힘든 넓은 세상을 보여주는 것, 건강검진 결과에 따른 건강관리와 깨끗한 먹거리를 제공해주는 것을 요구하였으며, 어머니 지원에서는 자녀를 양육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부모교육 내용과 한 가지 주제로 이루어지는 체계적인 교육방법을 요구하였다. 셋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은 경제적, 사회적, 발달적 측면에서 유아와 어머니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기영,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교문사 2006

      2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3 삼성복지재단, "탁아사업에서 내집마련까지 새로운 탁아 이야기" 삼상복지재단 1994

      4 Merriam, S. B., "질적사례 연구법" 양서원 1994

      5 이혜영, "지원사업 효과 분석과 발전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5

      6 한국교육개발원, "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백서 2003~2007" 한국교육개발원 2007

      7 백경미, "유치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운영 실태와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5) : 171-193, 2008

      8 나정,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 선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9 최중희, "서울시 유치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운영실태 및 구성원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류방란, "교육소외 집단을 위한 교육복지 정책의 방향" 한국교원대학교 2010

      1 최기영,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교문사 2006

      2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3 삼성복지재단, "탁아사업에서 내집마련까지 새로운 탁아 이야기" 삼상복지재단 1994

      4 Merriam, S. B., "질적사례 연구법" 양서원 1994

      5 이혜영, "지원사업 효과 분석과 발전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5

      6 한국교육개발원, "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백서 2003~2007" 한국교육개발원 2007

      7 백경미, "유치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운영 실태와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5) : 171-193, 2008

      8 나정,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 선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9 최중희, "서울시 유치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운영실태 및 구성원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류방란, "교육소외 집단을 위한 교육복지 정책의 방향" 한국교원대학교 2010

      11 이경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평가와 발전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12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13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 연구 : 1차년도" 한국교육개발원 2009

      14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이렇게 합니다" 한국교육개발원 2010

      15 장명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영․유아 교육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16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만족도와 성과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7

      17 공숙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유치원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 서울지역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8 정미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치원 지원사업의 운영실태 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9 김미숙,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유아의 교육과 보육 실태 및 요구:비투자지역과의 비교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1 (31): 269-297, 2004

      20 강신욱, "경제․사회적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21 이완정, "거주지 계층에 따른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아동의 활동분석: 아동중심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18 (18): 5-21, 1997

      22 이성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에 대한 교직원 및 학부모 평가 분석 -대전광역시 영유아기관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25) : 277-302, 2010

      23 Schweinhart, L. J., "What do we know so far? A review of the Head Start Synthesis project" 41 (41): 49-54, 1986

      24 Bogdan, R.,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Allyn & Bacon 1994

      25 보건복지가족부,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족조사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2009

      26 김정원, "2009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중앙컨설팅 종합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9

      27 한국교육개발원, "2008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평가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9

      28 한국교육개발원, "2007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평가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8

      29 한국교육개발원, "2006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평가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7

      30 한국교육개발원, "2005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평가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4-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