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 소재 고등학교의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현황분석 연구(설립시기 및 특수학급 유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High Schools in Seoul(Focusing on the Timing of Establishment and the Presence of Special Cla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6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understand the level of disability-free environment in existing high schools, this study evaluated the level of applic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177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physical en...

      To understand the level of disability-free environment in existing high schools, this study evaluated the level of applic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177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high schools.
      Detailed standards related to school facilities such as the Act on the guarantee of convenience promo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nior citizens,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and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ubject were reviewed.
      The overall application level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field survey of high schools, and the application level was analyzed by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Acts an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al cla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 고등학교 공간 내의 무장애환경이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조성되어 있는지에 관해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77개소를 대상으로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수준을 ...

      기존 고등학교 공간 내의 무장애환경이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조성되어 있는지에 관해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77개소를 대상으로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 학교의 세부적인 시설관련 기준인 장애인등 편의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기준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3장에서는 장애인 등 편의법 규정을 토대로 고등학교 환경의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편의시설의 전반적인 적용수준과 장애인등 편의법 시행 전후 시기별 및 특수학급의 유무별로 적용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21

      2 변성헌, "통합교육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6

      3 박재국 ; 김경희 ; 김소희, "통합교육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91-213, 2006

      4 이선영 ; 이민우, "초등학교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설계지침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시설학회 23 (23): 19-29, 2016

      5 강병근, "장애학생을 고려한 통합학교 계획 방향" 14 (14): 83-91, 2007

      6 보건복지부, "장애인편의시설 전수조사" 2018

      7 김수연 ; 최하영, "일반교육 주도의 학교재구조화 운동과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관계 탐색" 교육연구소 25 (25): 27-48, 2019

      8 이연숙, "유니버설 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9 서유진 ; 나경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장애학생 접근성 확보를 위한 편의시설 기준 적합도 조사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9) : 75-107, 2011

      10 오중영, "대학내 장애인의 교육권확보와 편의시설 개선방안 : 대전광역시 대학(교)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1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21

      2 변성헌, "통합교육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6

      3 박재국 ; 김경희 ; 김소희, "통합교육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91-213, 2006

      4 이선영 ; 이민우, "초등학교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설계지침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시설학회 23 (23): 19-29, 2016

      5 강병근, "장애학생을 고려한 통합학교 계획 방향" 14 (14): 83-91, 2007

      6 보건복지부, "장애인편의시설 전수조사" 2018

      7 김수연 ; 최하영, "일반교육 주도의 학교재구조화 운동과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관계 탐색" 교육연구소 25 (25): 27-48, 2019

      8 이연숙, "유니버설 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9 서유진 ; 나경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장애학생 접근성 확보를 위한 편의시설 기준 적합도 조사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9) : 75-107, 2011

      10 오중영, "대학내 장애인의 교육권확보와 편의시설 개선방안 : 대전광역시 대학(교)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11 김민정, "대학내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방향에 관한연구" 건국대학교 1998

      12 오찬옥 ; 박진경, "교육공간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평가 사례연구(1)- G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2-22, 2012

      13 오찬옥, "공간디자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도구 및 지침개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23-33,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 Korean Education and Green Environment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2-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敎育·錄色環境硏究 -> 교육녹색환경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3-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교육환경연구원 ->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Environment -> Korea Institute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KCI등재후보
      2015-02-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敎育環境硏究 -> 敎育·錄色環境硏究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24 0.90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