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Study on the Status of Operation Subject Teacher System at Elementary School and Students` perception of Achievement Park, In-Hyung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659075
부산 : 부산교육대학교, 2012
학위논문(석사) --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행정전공 , 2012
2012
한국어
375.21 판사항(5)
372.24 판사항(21)
부산
iv, ii, 54장 ; 26 cm
참고문헌: 장 46-4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Status of Operation Subject Teacher System at Elementary School and Students` perception of Achievement Park, In-Hyung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
ABSTRACT
A Study on the Status of Operation Subject Teacher System at Elementary School and Students` perception of Achievement
Park, In-Hyung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Sung, Byung-Chang
A subject teacher system i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and extending the teachers' expertise by retaining the teachers' training and research time gained bu reducing the excessive class burde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basis that the specific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the certain subjects while a framework of the existing subject teacher system is maintained. The adopted subject teacher system has a positive assessment in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educational quality somewhat. So, this study aims to suggest directions where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should be headed, for sound operation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research results of general operation including the necessity, effect, problems, solutions, and the recognition of students on improvement to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The following are the questions for the this study : First, what is the recognition of students on operation of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Second, what is the improvements of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The samples were selected as students from forth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ho has various experiences in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The study tools were surveys on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for student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 reactions per each variabl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recognize the general aspects of samples, and have conducted x² (Chi-square) examination to se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variables on student's recognition on general operation and improvements of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lso realized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and were positive reactions for the effects of the subject specialist system. But, the satisfaction rate of improvement of practical subject was low.
Second, students showed high response to physical curriculum and English for departmentalized instructing subjects.
Third, the familiarity and interaction between subject specialist teachers and the students was low compare to the homeroom teachers.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subject specialist system needs more improvement so that more students can take interest in those curriculums, and create an exciting class atmosphere.
Second, in terms of operating plans of subject-specialist system and applicable subject, preference on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along with arts, in particular physical education for students is very strong, so more support for tect books and facilities are needed to run these classes efficiently.
Third, the subject-specialist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is a favorable and helpful system when considering the professionalism of curriculum, to normalize the operation of curriculum, so consistant improvement and expansion is needed.
국문 초록 (Abstract)
교과전담제도는 기존의 학급담임제의 틀을 유지하면서, 특정 교과를 교과전담교사가 전담하여 지도하는 교수조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다한 수업 부담을 경감시켜 교사들의 연구 시간...
교과전담제도는 기존의 학급담임제의 틀을 유지하면서, 특정 교과를 교과전담교사가 전담하여 지도하는 교수조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다한 수업 부담을 경감시켜 교사들의 연구 시간을 확보하고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교육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교과전담제도는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과전담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교과전담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담제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과전담제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관내의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들은 그 중에 비교적 교과전담제 경험이 많은 4,5,6학년 아동 300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00개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회수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변인별 반응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과전담제 전반적인 운영과 개선방안에 대한 학생의 인식에 대해 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담제도에 대하여 학생들 역시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전담과목의 학습 효과에 대해서도 비교적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흥미나 실기능력의 향상 면에서는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았다.
둘째, 학생들은 체육과 같은 예체능 과목 및 영어 교과에 대한 전담교과 희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전담교사와 학생들의 친밀도와 상호작용 관계는 담임교사와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담교사는 실기 지도 능력을 갖추고 아동의 흥미를 높이며 재미있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다 더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전담제 개선방안과 적용 교과에서는 체육과 같은 예체능 교과와 영어 교과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만큼 이러한 교과목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교재와 시설 마련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의 전담제도는 교과목의 전문성과 교사의 수업 부담 경감, 교육과정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서 도움이 되는 바람직한 제도이므로 지속적으로 개선 및 확대되어 실시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