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 및재구조화를 위한 개선 과제 = Problems and improvement tasks for restructuring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pportive business i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which was first introduc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2003, has changed to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in 2011. This steered the policy implementation away from being driven by the central government, allowing school-centered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led by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However, a number of problems have surfaced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For seeing through the problems in real target schools, I had an interview with the charge teachers, the school social workers, the students in 6 elementary schools, 4 middle schools of C Province by visiting and had an interview the project coordinator of the C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writing. As a result, there are appeared the next problems. Firstly, there have been overlaps with similar central government-led projects, leading to the budget waste, and issues with quantification-oriented assessments of the project. Secondly, there are lack of full-time trained staff specialized in educational welfare, network, and job security and support for the staff on the level of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Thirdly, on the individual school level, problems include inconsistency between the mid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s for the school and the project, lack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difficulty in the selective approach to target students, lack of bridge programs for individual students and support for priority students, and poor awarenes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The current study aims to address these issues and suggest possible improvements necessary for restructuring of the project.
      번역하기

      The supportive business i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which was first introduc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2003, has changed to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in 2011. This steered the policy implementation away from be...

      The supportive business in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which was first introduc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2003, has changed to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in 2011. This steered the policy implementation away from being driven by the central government, allowing school-centered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led by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However, a number of problems have surfaced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For seeing through the problems in real target schools, I had an interview with the charge teachers, the school social workers, the students in 6 elementary schools, 4 middle schools of C Province by visiting and had an interview the project coordinator of the C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writing. As a result, there are appeared the next problems. Firstly, there have been overlaps with similar central government-led projects, leading to the budget waste, and issues with quantification-oriented assessments of the project. Secondly, there are lack of full-time trained staff specialized in educational welfare, network, and job security and support for the staff on the level of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Thirdly, on the individual school level, problems include inconsistency between the mid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s for the school and the project, lack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difficulty in the selective approach to target students, lack of bridge programs for individual students and support for priority students, and poor awarenes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The current study aims to address these issues and suggest possible improvements necessary for restructuring of the proj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3년 중앙정부 차원에서 처음 실시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은 2011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으로 바뀌었다. 이로써 국가주도의 하향식 정책집행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교육청 차원에서 학교단위의 교육복지사업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수행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 및 재구조화를 위한 개선 과제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제 단위학교들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C도의 6개 초등학교, 4개 중학교의 담당 교사, 교육복지사,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문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도교육청 프로젝트 조정자에게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첫째, 국가정책 차원에서 유관사업과의 중복, 이로 인한 예산 낭비, 계량적 위주의 사업 평가 방식, 둘째, 지역교육청 차원에서는 교육복지 전담인력의 처우 문제, 네트워크의 미비, 전문 인력의 미비, 셋째, 단위학교 차원에서는 학교교육 중장기 발전계획과의 사업 연계성 미비,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미비, 대상 학생들에 대한 선별적 접근 방식의 어려움, 개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연계 미흡, 우선지원학생들에 대한 지원 미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대한 낮은 인식 등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재구조화를 위해 필요한 개선책들을 국가 정책적 차원, 지역교육청 차원, 단위학교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재구조화를 위한 개선 과제들의 실행 여부를 통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본래 추구했던 교육 불평등 해소와 학생들의 교육복지실현이 어느 정도의 효과성을 거둘지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2003년 중앙정부 차원에서 처음 실시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은 2011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으로 바뀌었다. 이로써 국가주도의 하향식 정책집행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교육청...

      2003년 중앙정부 차원에서 처음 실시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은 2011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으로 바뀌었다. 이로써 국가주도의 하향식 정책집행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교육청 차원에서 학교단위의 교육복지사업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수행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 및 재구조화를 위한 개선 과제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제 단위학교들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C도의 6개 초등학교, 4개 중학교의 담당 교사, 교육복지사,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문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도교육청 프로젝트 조정자에게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첫째, 국가정책 차원에서 유관사업과의 중복, 이로 인한 예산 낭비, 계량적 위주의 사업 평가 방식, 둘째, 지역교육청 차원에서는 교육복지 전담인력의 처우 문제, 네트워크의 미비, 전문 인력의 미비, 셋째, 단위학교 차원에서는 학교교육 중장기 발전계획과의 사업 연계성 미비,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미비, 대상 학생들에 대한 선별적 접근 방식의 어려움, 개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연계 미흡, 우선지원학생들에 대한 지원 미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대한 낮은 인식 등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재구조화를 위해 필요한 개선책들을 국가 정책적 차원, 지역교육청 차원, 단위학교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재구조화를 위한 개선 과제들의 실행 여부를 통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본래 추구했던 교육 불평등 해소와 학생들의 교육복지실현이 어느 정도의 효과성을 거둘지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애, "현장 중심의 자율적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추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2 류방란, "한국사회의 교육복지 교육복지의 미래. 2011 학교장 연수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조발그니, "프랑스 ‘ZEP’이 한국의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정책 보완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239-262, 2005

      4 양병찬, "충남 교육복지 유관사업 통합 운영 모델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박성희, "아동청소년의 행복권 보장을 위한 독일의 교육복지적 가족지원과 부모교육방법의 의의" 한국교육개발원 37 (37): 207-224, 2010

      6 조영재, "소득계층별 자녀의 대학진학 격차 분석" 2013

      7 엄경남,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본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정책 분석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6 (36): 35-64, 2011

      8 김민희, "단위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과정 사례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69-194, 2012

      9 고수현, "다문화가족의 교육소외계층을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산출분석"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63-84, 2011

      10 교육인적자원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의 의미와 추진방향" 지역교육협의회 자료집 2003

      1 김경애, "현장 중심의 자율적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추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2 류방란, "한국사회의 교육복지 교육복지의 미래. 2011 학교장 연수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조발그니, "프랑스 ‘ZEP’이 한국의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정책 보완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239-262, 2005

      4 양병찬, "충남 교육복지 유관사업 통합 운영 모델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박성희, "아동청소년의 행복권 보장을 위한 독일의 교육복지적 가족지원과 부모교육방법의 의의" 한국교육개발원 37 (37): 207-224, 2010

      6 조영재, "소득계층별 자녀의 대학진학 격차 분석" 2013

      7 엄경남,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본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정책 분석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6 (36): 35-64, 2011

      8 김민희, "단위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과정 사례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69-194, 2012

      9 고수현, "다문화가족의 교육소외계층을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산출분석"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63-84, 2011

      10 교육인적자원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의 의미와 추진방향" 지역교육협의회 자료집 2003

      1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종단적 효과분석 연구(2차년도)" 한국교육개발원 2011

      12 류방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 연구(2차년도)" 한국교육개발원 2011

      13 이광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사업 재정 배분방안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24, 2011

      14 위성율,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프로그램 만족도 연구 : A초등학교 사례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5 김순양, "교육복지정책에 대한 일선교사의 만족도 분석 :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영역별 및 세부사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26 (26): 5-33, 2012

      16 주정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성 분석: 빈곤청소년의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6 (26): 1-25, 2012

      17 성기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현황과 과제 :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163 : 39-45, 2012

      18 정해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교사효능감 변화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205-234, 2012

      19 주석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학생의 서비스 재참여 의사를 결정짓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267-283, 2013

      20 김정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인력의 핵심 직무와 역량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8 (38): 241-268, 2011

      21 서울시교육지원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시도담당관협의회 자료집" 서울시교육지원청 2011

      22 김경희, "교육복지 프로그램 효과 간 관계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91-215, 2011

      23 류방란, "교육공동체를 지향하는 교육복지의 발전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3

      24 Orfield, G., "Why segregation matters: poverty and educational inequality" The Civil Rights Project. Harvard University 1-47, 2005

      25 Eamon, Mary K.,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 ecological systems analysis" 46 (46): 256-266, 2001

      26 Betram, T., "The OECD Thematic Review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Background Report for the United Kingdom DFEE). The EAZ Handbook" 2000

      27 Hauser, R. M., "Schooling and Achievement in American Society" Academic Press 1972

      28 Royal, S., "Orientation de la relance de la politique des ZEP" Assises National des ZEP 13-137, 1998

      29 Hess, F. M., "No Child Left Behind" Peter Lang Publishing, Inc 2007

      30 Graces, E., "Longer-Term Effects of Head Start" 92 (92): 999-1012, 2002

      31 Jencks, C., "Inequality" Harper Torchbooks 1972

      32 Coleman. J. S.,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33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중앙연구지원센터, "2012년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현황" 한국교육개발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