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출소자를 위한 상호통섭적 인문치료의 이론적 접근 = 출소자 재사회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49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범죄율은 청소년에서 노년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층을 망라하여 광범위하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범죄율의 증가와 더불어 출소자들의 복역만기 후 사회적응의 어려움 또한 사회의 주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출소자들의 재사회화의 실패가 범죄율의 증가와 악순환의 고리를 이루고 있는 데 기인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한편으로는 우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출소자 개인의 재사회화에 있어서 심각한 고충에 대한 관심의 환기를 촉구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의 안전망 구축을 위하여 사후처방 이외에 보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죄율의 감소와 더불어 출소자들의 재사회화에 인문학적 접근이 교육적으로나 치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사회구성원들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안전망 정비와 더불어 출소자들이 다시 사회 구성원으로서 편입할 수 있는 대책의 모색은 더불어 살아가는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에 있어서 매우 필수적인 과제이다. 그러므로 이에 상응하는 다차원적인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출소자의 재사회화에 인문학적 접근이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이고 치료적인역할을 살펴보고자하는 필자들의 연구계획의 전반부에 해당된다. 차기에 진행될 연구는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임상과정과 결과를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인 부분은 본격적으로 다루지 않을 것임을 사전에 밝힌다.
      이와 같은 계획 아래 본 연구는 출소자들의 성공적인 새 삶의 토대 형성을 위해 가장 필요한 재사회화를 인문학적 접근을 통하여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출소자 재사회화 사업의 현황과 재사회화의 요인들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출소자 재사회화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문학 기반의 재소자와 출소자에 대한 인문학 프로그램 현황과 재사회화 인문치료 프로그램의 과제와 대안을 살펴본 후에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정립을 위한 시도를 위하여 교육의 대상에서 주체로의 확장: 교육의 주체로서 ‘셀프’와 프락시스 관계로서 상호통섭: 상호주체로의 확장의 가능성을 차례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하여 출소자의 재사회화에 인문학이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상호통섭적 인문치료로 명시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최근 들어 범죄율은 청소년에서 노년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층을 망라하여 광범위하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범죄율의 증가와 더불어 출소자들의 복역만기 후 사회적응의 어려움 또한 사...

      최근 들어 범죄율은 청소년에서 노년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층을 망라하여 광범위하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범죄율의 증가와 더불어 출소자들의 복역만기 후 사회적응의 어려움 또한 사회의 주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출소자들의 재사회화의 실패가 범죄율의 증가와 악순환의 고리를 이루고 있는 데 기인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한편으로는 우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출소자 개인의 재사회화에 있어서 심각한 고충에 대한 관심의 환기를 촉구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의 안전망 구축을 위하여 사후처방 이외에 보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죄율의 감소와 더불어 출소자들의 재사회화에 인문학적 접근이 교육적으로나 치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사회구성원들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안전망 정비와 더불어 출소자들이 다시 사회 구성원으로서 편입할 수 있는 대책의 모색은 더불어 살아가는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에 있어서 매우 필수적인 과제이다. 그러므로 이에 상응하는 다차원적인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출소자의 재사회화에 인문학적 접근이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이고 치료적인역할을 살펴보고자하는 필자들의 연구계획의 전반부에 해당된다. 차기에 진행될 연구는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임상과정과 결과를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인 부분은 본격적으로 다루지 않을 것임을 사전에 밝힌다.
      이와 같은 계획 아래 본 연구는 출소자들의 성공적인 새 삶의 토대 형성을 위해 가장 필요한 재사회화를 인문학적 접근을 통하여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출소자 재사회화 사업의 현황과 재사회화의 요인들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출소자 재사회화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문학 기반의 재소자와 출소자에 대한 인문학 프로그램 현황과 재사회화 인문치료 프로그램의 과제와 대안을 살펴본 후에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정립을 위한 시도를 위하여 교육의 대상에서 주체로의 확장: 교육의 주체로서 ‘셀프’와 프락시스 관계로서 상호통섭: 상호주체로의 확장의 가능성을 차례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하여 출소자의 재사회화에 인문학이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상호통섭적 인문치료로 명시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crime rate tends to increase extensively covering all the age groups from youth to old age. The difficulties of released convicts’ social adaptation after the expiry of service term as well as the increase of crime rate emerge as the main issue of the society. This springs from the fact that the released convicts’ failure in resocialization forms the ring of a vicious circle with the increase of crime rate. Such an issue urges the attention to a serious difficulty in the resocialization of a released convict as a member of our society on the one hand, and raises the necessity of a more fundamental problem solution other than the post-recipe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 safety net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hereby intends to group for the point where a human approach can contribute to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together with the reduction of crime rate educationally and therapeutically.
      The organization of social safety net for social members to live safely and the plan of the measure for released convicts to be incorporated into social members again must be an extremely essential task in making a happy society living together. Therefore, multi-dimensional attempts corresponding to this shall be made continuously.
      This research intends to study the educational and therapeutic role of a human approach to contribute to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which comes under the first half of the writers’s research plan. The research to proceed next will cover the concrete clinical process and result intensively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to be handled in this thesis. Therefore, it is clarified in advance that this research will not handle the clinical part radically.
      Under such a plan,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the most essential resocialization of released convicts through a human approach for their formation of the foundation of a successful new life. For this purpose, first we will study the status of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project and the factors of resocialization. Next, in order to figure out the status of a human approach to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we will study the status of a human program for humanities-based convicts and released convicts and the assignment and alternative plan of the resocialization Humanities Therapy program, and in order to attempt to establish a theoretical evidence thereto, we will study the extension of the object of education into the subject: the mutual con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Self’ and ’Praxis’ as the subject of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the extension as mutual subjects one by one. Therefore we will call such a humanities connected with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the Humanities Therapy of the Mutual Consilience’.
      번역하기

      Recently the crime rate tends to increase extensively covering all the age groups from youth to old age. The difficulties of released convicts’ social adaptation after the expiry of service term as well as the increase of crime rate emerge as the ma...

      Recently the crime rate tends to increase extensively covering all the age groups from youth to old age. The difficulties of released convicts’ social adaptation after the expiry of service term as well as the increase of crime rate emerge as the main issue of the society. This springs from the fact that the released convicts’ failure in resocialization forms the ring of a vicious circle with the increase of crime rate. Such an issue urges the attention to a serious difficulty in the resocialization of a released convict as a member of our society on the one hand, and raises the necessity of a more fundamental problem solution other than the post-recipe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 safety net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hereby intends to group for the point where a human approach can contribute to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together with the reduction of crime rate educationally and therapeutically.
      The organization of social safety net for social members to live safely and the plan of the measure for released convicts to be incorporated into social members again must be an extremely essential task in making a happy society living together. Therefore, multi-dimensional attempts corresponding to this shall be made continuously.
      This research intends to study the educational and therapeutic role of a human approach to contribute to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which comes under the first half of the writers’s research plan. The research to proceed next will cover the concrete clinical process and result intensively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to be handled in this thesis. Therefore, it is clarified in advance that this research will not handle the clinical part radically.
      Under such a plan,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the most essential resocialization of released convicts through a human approach for their formation of the foundation of a successful new life. For this purpose, first we will study the status of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project and the factors of resocialization. Next, in order to figure out the status of a human approach to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we will study the status of a human program for humanities-based convicts and released convicts and the assignment and alternative plan of the resocialization Humanities Therapy program, and in order to attempt to establish a theoretical evidence thereto, we will study the extension of the object of education into the subject: the mutual con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Self’ and ’Praxis’ as the subject of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the extension as mutual subjects one by one. Therefore we will call such a humanities connected with released convicts’ resocialization ‘the Humanities Therapy of the Mutual Consil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출소자 재사회화 사업의 현황
      • 3. 출소자 재사회화의 요인들
      • 4. 인문학 기반의 재소자와 출소자 프로그램 현황
      • 〈국문초록〉
      • 1. 서론
      • 2. 출소자 재사회화 사업의 현황
      • 3. 출소자 재사회화의 요인들
      • 4. 인문학 기반의 재소자와 출소자 프로그램 현황
      • 5. 재사회화 인문치료 프로그램의 과제와 대안
      • 6. 인문학 기반의 재사회화 프로그램의 이론적 토대 구축을 위한 시도
      • 7. 결론: ‘상호통섭적 관계의 인문학’으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얼 쇼리스, "희망의 인문학" 이매진 2006

      2 박병식, "한국갱생보호사업의 현안과 해결방안" 아시아교정포럼 5 (5): 195-216, 2011

      3 이명원, "평화인문학의 이론과 실제 : 교정인문학의 지향과 전망" 1 : 33-50, 2007

      4 장완영,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5 이윤호, "전과자들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경험연구" 13 (13): 27-60, 2007

      6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치료의 이론과 원리" 도서출판 산책 2011

      7 김선희, "인문치료와 철학" 강원대학교 출판부 2010

      8 조흥식, "우리나라 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정에 관한 연구 - 범죄의 심각성 점수를 고려한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163-199, 2010

      9 최철규, "시민교육과 인문학 : 재소자 삶의 변화를 이끄는 평화인문학" 1 : 27-31, 2009

      10 조경미, "소년원 퇴원생의 재사회화 과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1 얼 쇼리스, "희망의 인문학" 이매진 2006

      2 박병식, "한국갱생보호사업의 현안과 해결방안" 아시아교정포럼 5 (5): 195-216, 2011

      3 이명원, "평화인문학의 이론과 실제 : 교정인문학의 지향과 전망" 1 : 33-50, 2007

      4 장완영,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5 이윤호, "전과자들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경험연구" 13 (13): 27-60, 2007

      6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치료의 이론과 원리" 도서출판 산책 2011

      7 김선희, "인문치료와 철학" 강원대학교 출판부 2010

      8 조흥식, "우리나라 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정에 관한 연구 - 범죄의 심각성 점수를 고려한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163-199, 2010

      9 최철규, "시민교육과 인문학 : 재소자 삶의 변화를 이끄는 평화인문학" 1 : 27-31, 2009

      10 조경미, "소년원 퇴원생의 재사회화 과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11 설동훈, "사회학의 이해" 다산출판사 2006

      12 최병욱, "사회적 실천과 치유 - 뱅상 레브(Vincent Lebbe) 신부의 例 -" 인문과학연구소 30 (30): 407-432, 2011

      13 김선희,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의 철학 치료적 접근-일방적 소통에서 상호 통섭적 소통으로의 소통 패러다임의 전환-"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 : 7-36, 2010

      14 해럴드 페핀스키, "범죄에 관한 10가지 신화" 한울아카데미 2003

      15 이자희, "갱생보호대상자의 재사회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16 金善嬉., "コンフリクトを軽減するソGクラテス的対話と実践: 人文治療学 (Socratic Dialogue and Praxis reducing Conflicts: Challenge 挑戦 の of Humanities Therapy)" 大阪大学大学院 文学研究科 臨床 哲学研究室 11 : 28-43, 2010

      17 C.D.C. Reeve, "Aristotle,Politics" Indianapoli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