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능동적 신앙을 견고하게 할 '가정교리(Catequesis Familiare)'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 '가정교리'를 오늘날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 특히 청소년들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715282
서울 :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 전공 , 2003. 2
2003
한국어
238.21 판사항(4)
서울
101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98-10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능동적 신앙을 견고하게 할 '가정교리(Catequesis Familiare)'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 '가정교리'를 오늘날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 특히 청소년들의 ...
본 논문은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능동적 신앙을 견고하게 할 '가정교리(Catequesis Familiare)'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 '가정교리'를 오늘날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 특히 청소년들의 감소현상, 쉬는 신자들의 증가, 이혼급증, 가정파탄 등의 현실적 도전들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정교리'는 칠레 산티아고 교구에서 성공을 거둔 혁신적 방법으로 교회의 협력을 기본으로 하나, 사제·수도자·교리교사 중심이 아니라, 부모와 자녀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정 중심의 종교교육을 의미한다. 하지만 가정교리는 정교한 이론을 기반으로한 체계적 틀이라기보다 실천의 장에서 출발한 방법적 모색이었다. 본 논문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의, 특정 문화에서 시작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이론화 작업의 시도이다.
먼저 '가정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Gabriel Moran과 Thomas H. Groome의 종교교육이론을 제시한다. 모런의 이론은 종교교육이 인간의 일상 안에서 종교적이며 교육적 형태들이 상호작용 하는 것으로, 그룸의 이론은 종교교육이 과거로부터 전승된 지식과 앎을 현재적 경험에 의해서 미래를 새롭게 건설해 나가도록 의식을 일깨우는 것을 실천적 토대로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두 이론은 P. Carlos Decker. G의 가정교리이론의 설명틀 안에서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모런의 이론에서 주요한 요소인 종교 교육적 형태와 부모자녀간 상호작용, 그리고 그룸의 핵심적 개념인 실천적 나눔과 가정교리를 상보적(相補的) 실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모런의 교육적 형태들인 가정, 학교, 직업, 여가 등을 통하여 종교적 형태들인 공동체, 지식, 일, 지혜 등의 가치들을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룸의 시간적 개념이 가정 종교교육에 있어 과거로부터 오는 성찰적 인식, 현재적 과정의 의미, 미래로의 충만한 가능성을 이끌어내고자 시도하였다.
본 논문의 실천적 함의는 교회의 위기라는 시대적 도전에 가정을 해결의 일주체로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때 가정교리는 단순히 효과적인 교리교육이라는 방법상의 효과성을 넘어서 가정이 교회 안에서 자신의 힘을 깨달아나가는 참된 인식과 성화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about the 'Family Catechism' which is aimed at intensifying active Christian faith. The author presents her study as a proposal to solve the problems of today's Church which include decreasing number of adolescents, increasing number o...
This is a study about the 'Family Catechism' which is aimed at intensifying active Christian faith. The author presents her study as a proposal to solve the problems of today's Church which include decreasing number of adolescents, increasing number of indifferents, divorced couples and broken families.
The Family Catechism is based on the method successfully used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hurches of the San Diego Diocese in Chile. However, it is not centered on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by priests, religious or catechists. But religious education started through interplay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so it is centered on the family. The Family Catechism is a practical method of research rather than a systematic study of relevant theories. This study tries to apply the method which started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author presents the theory of Religious Education by Gabriel Moran and Thomas H. Groome as a system of understanding the Family Catechism. The theory of Moran is a mutual interaction of symbols which occurs between religion and education of daily life. Groome's theory means that religious education makes people awake to build a new future from past knowledge and present experience.
These two theories can be understood better through the theory of Family Catechism by P. Carlos Decker G. Because it shows the religious educational system which is the primary element of Moran's theory, whereas practical sharing and mutual action are the main points by Groom.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finds a possibility of exploring from the educational system such as family, school, career, leisure and the religious system such as community, knowledge, work and wisdom. Moreover, this study is an attempt to harmonize rational concepts with present experience in order to find a possible solution for the future according to Groom's idea of time.
In conclusion, the study implies that the main point of church's crisis is to confront the challenge of the modern family. For this reason, the Family Catechism can be understood not only as a practical too for education but can also families to realizes their own strength within the church as true knowledge and spiritual growth.
목차 (Table of Contents)
청교도의 신학과 신앙
고신대학교 우병훈신학적 인간학
서강대학교 최우혁실천신학입문
서울신학대학교 김형락신학입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박경수, 고원석, 신형섭, 이상억, 오방식, 최진봉, 배정훈, 이은우, 김철홍, 서원모, 이창호, 고재길, 김은혜, 신옥수, 백충현, 김도훈, 안교성, 장신근, 이병옥, 변창욱, 박보경, 조성환, 이상일, 김문경, 하경택신학입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배정훈, 오방식, 이상억, 최진봉, 신형섭, 고원석, 장신근, 이병옥, 남성현, 박보경, 이한나, 김신웅, 이상일, 이창호, 고재길, 김은혜, 신옥수, 송용원, 김도훈, 박경수, 최영근, 서원모, 김태섭, 김철홍, 김문경, 이은우, 하경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