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용전공자가 인식하는 `유아무용지도자의 자질`에 대한 유형분석 = Analysis of The Types of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Perceived by Dance Maj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1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perceptions of the qualities required for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as children`s dance teachers for more than one year. Q methodology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study method, 53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were set as P sampling and a total of 35 Q sampling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PC-QUANL program. The results are first, the most favorite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perceived by dance majors were `like and love children` and `pleasant and positive attitude`, whereas it showed negative perceptions for `It is hard to do as they get older` and `must be young and beautiful(handsome)`. The types of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perceived by dance maj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 (n=20) was a `diverging type oriented toward creative·integrated education`. The second type (n=16) was `inclusive type oriented toward fun dance education`. The third type (n=7) was `training type oriented toward functional dance education`, and the fourth type (n=10) was `leadership type oriented toward leader initiativ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data for the role and quality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perceptions of the qualities required for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as children`s dance teachers for more than one year. Q methodology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study method, 53...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perceptions of the qualities required for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as children`s dance teachers for more than one year. Q methodology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study method, 53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were set as P sampling and a total of 35 Q sampling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PC-QUANL program. The results are first, the most favorite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perceived by dance majors were `like and love children` and `pleasant and positive attitude`, whereas it showed negative perceptions for `It is hard to do as they get older` and `must be young and beautiful(handsome)`. The types of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perceived by dance maj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 (n=20) was a `diverging type oriented toward creative·integrated education`. The second type (n=16) was `inclusive type oriented toward fun dance education`. The third type (n=7) was `training type oriented toward functional dance education`, and the fourth type (n=10) was `leadership type oriented toward leader initiativ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data for the role and quality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경, "한국 유아무용 분야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1975년 ~ 2006년까지-" 한국무용교육학회 18 (18): 27-50, 2007

      2 유경옥, "학생과 학부모의 배경 특성이 여교사의 외모관리에 따른 역할수행능력평가에 미치는 효과" 9 (9): 55-66, 2006

      3 김현주, "통합적 방법을 적용한 무용교육의 발전적 제안 -교수-학습 전략을 위한 방향 제시 및 교육모형 구축-" 대한무용학회 59 (59): 73-98, 2009

      4 이경민, "통합예술교육을 통한 유아발레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잠재적 공연예술 관객개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4

      5 서영주, "통합 유아발레 교육경험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6 차윤신, "체케티 유아 영어 발레 프로그램 개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이소미, "체육수업에서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 문화기술학적 접근"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8

      8 김연진,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민경희, "중학생의 담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교사의 역할지각 비교 연구"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이금란,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1 진재경, "유아체육지도자의 자질은 무엇인가?"

      12 김영옥,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7-324, 2009

      13 오지은, "유아신체활동 예비지도자의 전문성과 태도 및 발전방향: 4년제 체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799-808, 2017

      14 강은영,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15 정은수, "유아무용 파견교사 교육환경 요인 탐색"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16 서현,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7) : 41-71, 2013

      17 조운주,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315-335, 2007

      18 전재선,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19 이은진, "유아 무용교사의 직무 및 조직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8

      20 조준희, "유리드믹스를 활용한 유아발레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21 함지선,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지도자의 교육적 가치체계 및 교수설계 방안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2 이병래, "영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기준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방향 모색 -­영유아교사의 덕목에 관한 현직교사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53-79, 2005

      23 이은미, "여자중학교 학생들이 인식한 무용수업에서 교수지도유형이 학생들의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4 양선문,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유아발레 프로그램"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5 이선미, "사설 유아영어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97-127, 2010

      26 이성노, "무용학원생들의 무용학원 지도자 자질에 대한 기대와 인식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0 (30): 155-164, 2007

      27 윤혜선,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한 교수의 지도행동유형이 자기조절과 무용능력믿음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2 (32): 1-16, 2015

      28 김미숙, "무용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선호직업유형과 교과과정 만족도" 한국무용연구학회 32 (32): 51-76, 2014

      29 김혜정,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및 섭식장애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23) : 57-76, 2011

      30 김가희,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경험과 역할수행, 강박 및 외모관리행동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1 양유나, "무용예술 전공자들의 외모에 대한 인식과 태도" 한국무용연구학회 34 (34): 223-246, 2016

      32 이진희, "무용수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내재화가 대상화된 신체의식, 사회적 체형불안 및 섭식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81-91, 2009

      33 김영미, "무용수의 외모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가치 내재화와 신체이미지 왜곡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6 (46): 123-134, 2007

      34 김지영, "무용교육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 지도자 신뢰 및 무용몰입의 구조적 관계" 대한무용학회 71 (71): 1-24, 2013

      35 홍애령, "무용교육자 전문성의 핵심 차원으로서 심성적 자질의 재조명과 함양 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23-42, 2012

      36 김화숙, "무용교육론" 한학문화 2015

      37 박혜란, "무용교육 효과에 대한 상호지향성 연구 : 학부모와 유아무용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과학회 (28) : 1-13, 2012

      38 류한울, "무용교사의 지도유형과 학습자의 학습동기와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39 진연심, "무용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의 기대와 지각에 관한 연구 : 예술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0 강미선, "무용교사의 자질과 무용참가의 관계" 37 (37): 671-684, 1998

      41 맹세민, "무용교사의 교수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2 윤병주, "무용교사 자질 척도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43 김애경, "대학 무용 지도자의 리더십 형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4 박정은, "다중지능이론을 통한 유아 발레프로그램 개발방향 모색"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45 김보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점으로 바라본 대학 무용교육전문인 양성교육과정 인식 탐색" 한국예술교육학회 15 (15): 1-18, 2017

      46 김영봉, "교육학개론" 서현사 2007

      47 허우정, "Q-방법론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 어려움에 대한 유형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639-659, 2016

      48 황보람, "7세 아이 성인수영장에 집어 던진 강사…아동학대 논란"

      49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6호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2-82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1 1.11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