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명대 후기의 해상무역 정책에 관한 연구 -남중국해를 중심으로- = General Edition : A Study on the seaborne trade policy of latter period of the Mi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37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명나라 후기에 발생한 포르투갈에 의한 말라카의 점령은 상당히 충격적인 사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명나라 정부는 사안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 명나라 세력권에 있는 조공국이 다른 세력에 의해서 점령당하는 사태가 발생하였으나 명나라에서는 방관만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 요인은 명나라 국내 정세의 변화를 들을 수 있다. 특히 영락제 재위시기에는 남중국해의 여러 국가들이 명나라에 다투어 조공사절단을 파견하였으나 영락제 사후 명나라의 해양 정책이 소강상태로 일관하게 되자 남중국해의 여러 국가들 가운데 일부 국가만이 계속해서 조공사절단을 파견했을 뿐이다. 또한 명나라의 해군력이 전성기에 비하여 축소되고 남중국해에 대한 제해권이 약화되기 시작하자 남중국해의 많은 국가들 가운데 약소국들은 이웃한 강대국들에게 조공을 바치기 시작한다. 명대 중기 이후에 들어서서는 새로운 황제가 즉위할 때만 외국에 알릴뿐 일체의 대외교류를 대폭적으로 축소하는 형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들은 이후로도 계속해서 이어지게 되는데, 그 결과 명나라와 남중국해의 여러 나라들 사이에 외교적 왕래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상황이 연출된다. 특히 무종연간에 참파국에서 책봉요청이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명나라 조정에서는 군신들 사이에 책봉파견사절단에 선발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정치적으로는 ‘왕업을 이룩한 자는 오랑캐의 일에 관여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보수적인 관념이 주류를 형성하게 되어 남중국해의 여러 나라들에 대한 명나라의 정치적 영향력을 쇠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명나라 말기의 국력 피폐와 서세동점의 시대에 명나라의 해상무역 정책 즉 남중국해 정책은 어떠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고, 남중국해의 국제정세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변화 되는가? 본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조공무역의 변화와 관세정책의 실시 및 관세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 해보겠다.
      번역하기

      명나라 후기에 발생한 포르투갈에 의한 말라카의 점령은 상당히 충격적인 사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명나라 정부는 사안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 명나라 세력권에 있는 조공국이...

      명나라 후기에 발생한 포르투갈에 의한 말라카의 점령은 상당히 충격적인 사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명나라 정부는 사안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 명나라 세력권에 있는 조공국이 다른 세력에 의해서 점령당하는 사태가 발생하였으나 명나라에서는 방관만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 요인은 명나라 국내 정세의 변화를 들을 수 있다. 특히 영락제 재위시기에는 남중국해의 여러 국가들이 명나라에 다투어 조공사절단을 파견하였으나 영락제 사후 명나라의 해양 정책이 소강상태로 일관하게 되자 남중국해의 여러 국가들 가운데 일부 국가만이 계속해서 조공사절단을 파견했을 뿐이다. 또한 명나라의 해군력이 전성기에 비하여 축소되고 남중국해에 대한 제해권이 약화되기 시작하자 남중국해의 많은 국가들 가운데 약소국들은 이웃한 강대국들에게 조공을 바치기 시작한다. 명대 중기 이후에 들어서서는 새로운 황제가 즉위할 때만 외국에 알릴뿐 일체의 대외교류를 대폭적으로 축소하는 형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들은 이후로도 계속해서 이어지게 되는데, 그 결과 명나라와 남중국해의 여러 나라들 사이에 외교적 왕래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상황이 연출된다. 특히 무종연간에 참파국에서 책봉요청이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명나라 조정에서는 군신들 사이에 책봉파견사절단에 선발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정치적으로는 ‘왕업을 이룩한 자는 오랑캐의 일에 관여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보수적인 관념이 주류를 형성하게 되어 남중국해의 여러 나라들에 대한 명나라의 정치적 영향력을 쇠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명나라 말기의 국력 피폐와 서세동점의 시대에 명나라의 해상무역 정책 즉 남중국해 정책은 어떠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고, 남중국해의 국제정세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변화 되는가? 본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조공무역의 변화와 관세정책의 실시 및 관세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 해보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明代武宗正德年間葡萄牙人攻占了明帝國冊封百餘年的滿刺加國, 此一事件爆發時, 中國官方竟毫不知情, 坐視藩屬的淪亡, 而未加聞問。 揆其原因, 主要是明帝國國內政局的變化, 用人行政的不同所致。 明代宣宗之前, 明帝國聲威壯盛, 南中國海諸藩國海上往來頻繁, 尤其是成祖時代, 南中國海諸藩國大多數均相安無事, 紛紛入貢。宣德年間停止下西洋之後, 南中國海諸藩國之中僅有少數的大國繼續入朝。 而當明朝官方海船所代表的聲威逐漸在南中國海中減少之際, 小國又恢復向其隣邦大國奉貢了。 明代中葉以後, 只有新皇帝登位詔告四方, 及藩國請奉時, 朝廷才會遣使海外諸國, 這種態度趨於保守, 顯示明帝國與南中國海諸藩國之間, 政治外交的往來日漸冷淡。 而更明顯的改變是武宗正德年間占城數度遣使請奉, 明朝使者竟不願前往。 政治上改採王者不事夷狄的觀念, 遂使明帝國政治實力宣告退出了南中國海諸國之間。因此明代末期國力疲弊, 而西方東漸的時代, 明帝國的南中國海政策導向是如何改變? 南中國海情勢變化如何? 都是値得深思的問題。 在本文基於如上的問題, 進行討論對於明代後期海上貿易政策的問題。 因此, 本文將提出對這種問題之一些看法, 大致是三個方面, 一是朝貢貿易的變化, 二是關稅政策的實施, 三是關稅政策的變化。
      번역하기

      明代武宗正德年間葡萄牙人攻占了明帝國冊封百餘年的滿刺加國, 此一事件爆發時, 中國官方竟毫不知情, 坐視藩屬的淪亡, 而未加聞問。 揆其原因, 主要是明帝國國內政局的變化, 用人行政的...

      明代武宗正德年間葡萄牙人攻占了明帝國冊封百餘年的滿刺加國, 此一事件爆發時, 中國官方竟毫不知情, 坐視藩屬的淪亡, 而未加聞問。 揆其原因, 主要是明帝國國內政局的變化, 用人行政的不同所致。 明代宣宗之前, 明帝國聲威壯盛, 南中國海諸藩國海上往來頻繁, 尤其是成祖時代, 南中國海諸藩國大多數均相安無事, 紛紛入貢。宣德年間停止下西洋之後, 南中國海諸藩國之中僅有少數的大國繼續入朝。 而當明朝官方海船所代表的聲威逐漸在南中國海中減少之際, 小國又恢復向其隣邦大國奉貢了。 明代中葉以後, 只有新皇帝登位詔告四方, 及藩國請奉時, 朝廷才會遣使海外諸國, 這種態度趨於保守, 顯示明帝國與南中國海諸藩國之間, 政治外交的往來日漸冷淡。 而更明顯的改變是武宗正德年間占城數度遣使請奉, 明朝使者竟不願前往。 政治上改採王者不事夷狄的觀念, 遂使明帝國政治實力宣告退出了南中國海諸國之間。因此明代末期國力疲弊, 而西方東漸的時代, 明帝國的南中國海政策導向是如何改變? 南中國海情勢變化如何? 都是値得深思的問題。 在本文基於如上的問題, 進行討論對於明代後期海上貿易政策的問題。 因此, 本文將提出對這種問題之一些看法, 大致是三個方面, 一是朝貢貿易的變化, 二是關稅政策的實施, 三是關稅政策的變化。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卜世昌, "皇明通紀述遺" 廣文書局 1972

      2 嚴如熤, "洋防輯要" 學生書局 1975

      3 陳鶴, "明紀" 世界書局 1973

      4 費宏等, "明武宗實錄" 中央研究院史語所校勘本 1962

      5 張廷玉等, "明史" 中華書局 1991

      6 張居正等, "明世宗實錄" 中央研究院史語所校勘本 1962

      7 胡宗憲, "『籌海圖編』 ,『四庫全書』"

      8 顧炎武, "『天下郡國利病書』 ,『四部叢刊』 本"

      9 H. B. Morse,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Chinese Empire vol.Ⅰ"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10

      1 卜世昌, "皇明通紀述遺" 廣文書局 1972

      2 嚴如熤, "洋防輯要" 學生書局 1975

      3 陳鶴, "明紀" 世界書局 1973

      4 費宏等, "明武宗實錄" 中央研究院史語所校勘本 1962

      5 張廷玉等, "明史" 中華書局 1991

      6 張居正等, "明世宗實錄" 中央研究院史語所校勘本 1962

      7 胡宗憲, "『籌海圖編』 ,『四庫全書』"

      8 顧炎武, "『天下郡國利病書』 ,『四部叢刊』 本"

      9 H. B. Morse,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Chinese Empire vol.Ⅰ"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