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교 컴퓨터교육의 공교육과 사교육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92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학교 컴퓨터교육의 실태와 학원 컴퓨터교육의 실태를 설문조사 토대로 비교 분석 조사하여 학교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학원 컴퓨터교육의 장점을 학교 컴퓨터교육에 전목 시켜 앞으로 학교의 컴퓨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및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컴퓨터 교육의 내실 있는 교육과정과 효율적인 교사활동은 지식 ․정보화 사회의 육성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육여건, 교육내용, 교육과정 등의 범주에서 컴퓨터 교육의 실태를 분석해 보고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의하여 제시하게 된 효과적인 컴퓨터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웹사이트를 이용한 수업과의 연계 활용 방식도입으로 컴퓨터관련 교과를 선택 교과로 편성하여 초・중・고교간 학습의 연계성이 확보되어 웹사이트를 이용한 수업과의 연계 활용 방식 도입하여 학습 활용을 촉진해야한다.
      둘째, 컴퓨터 교육과정 방향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컴퓨터 분야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교과서 내용을 좀 더 다양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교과내용에는 실생활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체계적인 교육 재편성과 자격증 취득으로 실업계 고등학교 진학에 선행 할 수 있다. 위의 내용을 폭넓게 보강하여 효율적인 컴퓨터교육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컴퓨터교육의 시간 개선 방안으로 컴퓨터관련 교과의 필수 ․ 독립 교과 편성, 일정 시수 이상의 수업 확보, 교과서 수정 시기의 재고, 컴퓨터실의 개방 및 컴퓨터 주변기기 활용도의 증대 등이 필요하다.
      넷째, 컴퓨터교육 전공자 교사 담당에 대하여 현재 학교의 컴퓨터 교사 다른 과목을 전공한 교사가 부전공 연수를 하고 학생들에게 지도하는 실정이므로 전문교사의 수급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아가 학교에서 컴퓨터 과목은 컴퓨터를 전공한 전문교사가 담당하여야 한다. 다섯째, 침투방식 교육 도입으로 컴퓨터 교육과정 및 내용 측면에서는 초등 교과의 침투방식 운영, 중등 일반교과의 침투방식 운영 병행, 교과서 내용의 다양화를 통한 흥미유발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정보사회 윤리교육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서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해야 한다.
      번역하기

      중학교 컴퓨터교육의 실태와 학원 컴퓨터교육의 실태를 설문조사 토대로 비교 분석 조사하여 학교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학원 컴퓨터교육의 장점을 학교 컴퓨터교육에 전목 시...

      중학교 컴퓨터교육의 실태와 학원 컴퓨터교육의 실태를 설문조사 토대로 비교 분석 조사하여 학교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학원 컴퓨터교육의 장점을 학교 컴퓨터교육에 전목 시켜 앞으로 학교의 컴퓨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및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컴퓨터 교육의 내실 있는 교육과정과 효율적인 교사활동은 지식 ․정보화 사회의 육성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육여건, 교육내용, 교육과정 등의 범주에서 컴퓨터 교육의 실태를 분석해 보고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의하여 제시하게 된 효과적인 컴퓨터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웹사이트를 이용한 수업과의 연계 활용 방식도입으로 컴퓨터관련 교과를 선택 교과로 편성하여 초・중・고교간 학습의 연계성이 확보되어 웹사이트를 이용한 수업과의 연계 활용 방식 도입하여 학습 활용을 촉진해야한다.
      둘째, 컴퓨터 교육과정 방향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컴퓨터 분야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교과서 내용을 좀 더 다양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교과내용에는 실생활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체계적인 교육 재편성과 자격증 취득으로 실업계 고등학교 진학에 선행 할 수 있다. 위의 내용을 폭넓게 보강하여 효율적인 컴퓨터교육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컴퓨터교육의 시간 개선 방안으로 컴퓨터관련 교과의 필수 ․ 독립 교과 편성, 일정 시수 이상의 수업 확보, 교과서 수정 시기의 재고, 컴퓨터실의 개방 및 컴퓨터 주변기기 활용도의 증대 등이 필요하다.
      넷째, 컴퓨터교육 전공자 교사 담당에 대하여 현재 학교의 컴퓨터 교사 다른 과목을 전공한 교사가 부전공 연수를 하고 학생들에게 지도하는 실정이므로 전문교사의 수급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아가 학교에서 컴퓨터 과목은 컴퓨터를 전공한 전문교사가 담당하여야 한다. 다섯째, 침투방식 교육 도입으로 컴퓨터 교육과정 및 내용 측면에서는 초등 교과의 침투방식 운영, 중등 일반교과의 침투방식 운영 병행, 교과서 내용의 다양화를 통한 흥미유발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정보사회 윤리교육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서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and private academy education on the basis of a survey. In addition, i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methods for school computer education by look into computer education problems and applying advantages of private academy computer education to school computer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useful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and efficient teach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knowledge ․ informatizatio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o analyze the situation of current computer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conditions,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process about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examin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methods.
      The improvement methods for effective computer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like in the five followings.
      First, a computer-related subject should be organized as an optional course by introducing the way related to the class using website in order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middle・high school learning and promote learning effects.
      Second, it needs to flexib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computer area in terms of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direction. Therefore, textbook contents should be more various and interesting. The contents can precede entry of vocational high school due to systematic education reorganization and acquisition of licenses that are often used in actual life. By intensifying the contents above, efficient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possible.
      Third, regarding improvement methods for time of computer education, it needs to organize required and independent subjects of computer-related subjects, secure a certain numbers of classes, consider the textbook modification period, and increase the usage of a computer room and peripherals.
      Fourth, regarding the school teachers whose major is computer, teachers who minor in other subject not computer teach computer in school recently, so professional teacher who major in computer take the responsibility of computer education.
      Fifth, in terms of the computer education process and content aspects due to the introduction of infiltration type education, it needs to operate the infiltration method of the elementary subject as well as the infiltration method of the high school general subject together and provoke interest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extbook contents. In addition, the ethics education of constant informatization society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o help students improve vales.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and private academy education on the basis of a survey. In addition, i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methods for school computer ...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and private academy education on the basis of a survey. In addition, i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methods for school computer education by look into computer education problems and applying advantages of private academy computer education to school computer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useful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and efficient teach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knowledge ․ informatizatio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o analyze the situation of current computer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conditions,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process about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examin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methods.
      The improvement methods for effective computer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like in the five followings.
      First, a computer-related subject should be organized as an optional course by introducing the way related to the class using website in order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middle・high school learning and promote learning effects.
      Second, it needs to flexib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computer area in terms of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direction. Therefore, textbook contents should be more various and interesting. The contents can precede entry of vocational high school due to systematic education reorganization and acquisition of licenses that are often used in actual life. By intensifying the contents above, efficient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possible.
      Third, regarding improvement methods for time of computer education, it needs to organize required and independent subjects of computer-related subjects, secure a certain numbers of classes, consider the textbook modification period, and increase the usage of a computer room and peripherals.
      Fourth, regarding the school teachers whose major is computer, teachers who minor in other subject not computer teach computer in school recently, so professional teacher who major in computer take the responsibility of computer education.
      Fifth, in terms of the computer education process and content aspects due to the introduction of infiltration type education, it needs to operate the infiltration method of the elementary subject as well as the infiltration method of the high school general subject together and provoke interest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extbook contents. In addition, the ethics education of constant informatization society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o help students improve va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내용과 방법 3
      • Ⅱ. 관련연구 5
      • 2.1 컴퓨터교육의 개념 5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내용과 방법 3
      • Ⅱ. 관련연구 5
      • 2.1 컴퓨터교육의 개념 5
      • 2.1.1 컴퓨터 교육의 목적 6
      • 2.1.2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 8
      • 2.1.3 컴퓨터 교과 교육 9
      • 2.2 컴퓨터교육의 편제방식 9
      • 2.2.1 독립방식 10
      • 2.2.2 흡수방식.분산방식 10
      • 2.2.3 침투방식 10
      • 2.3 외국의 컴퓨터 교육과정 11
      • 2.3.1 외국의 컴퓨터 교육과정의 사례 11
      • 2.3.2 외국의 컴퓨터 교육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 19
      • 2.4 선행연구 20
      • Ⅲ. 공교육과 사교육의 설문조사 분석 24
      • 3.1 컴퓨터교육의 실태 및 조사 현황 24
      • 3.1.1 공교육의 컴퓨터교육 24
      • 3.1.2 사교육의 컴퓨터교육 36
      • 3.2 컴퓨터교육의 공교육과 사교육의 비교 분석 41
      • Ⅳ. 컴퓨터교육의 개선 방안 44
      • 4.1 현행 컴퓨터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44
      • 4.1.1 웹사이트를 이용한 수업과의 연계 활용 방식도입 44
      • 4.1.2 컴퓨터 교육과정 방향 45
      • 4.1.3 컴퓨터교육의 시간 개선 방안 46
      • 4.1.4 컴퓨터교육 전공자 교사 담당 49
      • 4.1.5 침투방식 교육 도입 50
      • 4.2 개선방안 평가 50
      • Ⅴ. 결론 및 향후과제 52
      • 참고문헌 55
      • ABSTRACT 58
      • 설문지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