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하악 치조골의 골밀도를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남녀별, 연령별, 치아 부위별 및 협·설 피질골과 해면골별로 비교함으로써 하악 치조골 골밀도에 대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하악 치조골의 골밀도를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남녀별, 연령별, 치아 부위별 및 협·설 피질골과 해면골별로 비교함으로써 하악 치조골 골밀도에 대한 ...
본 연구는 하악 치조골의 골밀도를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남녀별, 연령별, 치아 부위별 및 협·설 피질골과 해면골별로 비교함으로써 하악 치조골 골밀도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측정 부위의 정상교합자를 10대에서 60대까지 나누어 분석하고, 연령별로 남녀 5명씩 선정한 후 CBCT 촬영 후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한 다음 EZ3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치부에서 대구치부까지 12부위를 선정하여 골밀도를 측정하고 Hounsfield unit(HU)으로 표현하였다. 각 부위에서 얻은 평균 골밀도를 남녀, 연령, 부위에 따라 나누어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별 평균 골밀도는 10대 협측 피질골 635.8 HU, 해면골 353.5 HU, 설측 피질골 695.6 HU, 20대 협측 피질골 1090.5 HU, 해면골 493.1 HU, 설측 피질골 1143.4 HU, 30대 협측 피질골 996.6 HU, 해면골 496.8 HU, 설측 피질골 1035.6 HU, 40대 협측 피질골 962.3 HU, 해면골 432.1 HU, 설측 피질골 949.3 HU, 50대 협측 피질골 845.6 HU, 해면골 369.9 HU, 설측 피질골 913.2 HU, 60대 협측 피질골 699.1 HU, 해면골 170.3 HU, 설측 피질골 657.4 HU로 나타났다.
2. 부위별 평균 골밀도는 전치부 협측 피질골 733.1 HU, 해면골 389.8 HU, 설측 피질골 738.5 HU, 견치부 협측 피질골 781.7 HU, 해면골 398.9 HU, 설측 피질골 828.7 HU, 소구치부 협측 피질골 886.9 HU, 해면골 384.2 HU, 설측 피질골 973.8 HU, 대구치부 협측 피질골 1084.9 HU, 해면골 370.9 HU, 설측 피질골 1055.3 HU로 나타났다.
3. 각각의 부위에서 남녀의 평균 골밀도를 비교한 결과 72개의 조사부위 중 50대 소구치부 해면골과 60대 대구치부 협측 피질골은 남자가 높았으며,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하악 치조골의 협측 피질골 골밀도는 전치부에서 20~40대, 견치부·소구치부에서 20대, 대구치부에서 20~30대가 높았고, 20~60대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 하악 치조골의 해면골 골밀도는 전치부, 견치부, 소구치부, 대구치부에서 20~30대가 높았고, 60대에서는 뚜렷한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10대, 50대, 60대에서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낮아졌다. 20~40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하악 치조골의 설측 피질골 골밀도는 전치부에서 20~40대, 견치부·소구치부에서 20대, 대구치부에서 20~30대가 높았고, 10~60대에서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높아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하악 치조골 골밀도의 연령별 수치를 알 수 있고, 나이변화에 따른 골밀도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부위별 골밀도 수치도 알 수 있어 하악 치조골 골밀도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andibular alveolar bone density by sex, age and posit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 Maxillofacial CT scan data was obtained from 60 Korean patients(30 males, 30 females). We selected 5 males a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andibular alveolar bone density by sex, age and posit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
Maxillofacial CT scan data was obtained from 60 Korean patients(30 males, 30 females). We selected 5 males and 5 females's data with normal occlusion at each ages from 10s to 60s. Alveloar bone density was measured at buccal cortical bone, cancellous bone, and lingual cortical bone, and at the position of incisor, canine, premolar, and mola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bone density of the first decades was 635.8 HU(Hounsfield unit) at buccal cortical bone, 353.5 HU at cancellous bone and 695.6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second decades, 1090.5 HU at buccal cortical bone, 493.1 HU at cancellous bone and 1143.4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third decades, 996.6 HU at buccal cortical bone, 496.8 HU at cancellous bone and 1035.6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fourth decades, 962.3 HU at buccal cortical bone, 432.1 HU at cancellous bone and 949.3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fifth decades, 845.6 HU at buccal cortical bone, 369.9 HU at cancellous bone and 913.2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sixth decades, 699.1 HU at buccal cortical bone, 170.3 HU at cancellous bone and 657.4 HU at lingual cortical bone.
2. The mean density of incisor area was 733.1 HU at buccal cortical bone, 389.8 HU at cancellous bone and 738.5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canine area, 781.7 HU at buccal cortical bone, 398.9 HU at cancellous bone and 828.7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premolar area, 886.9 HU at buccal cortical bone, 384.2 HU at cancellous bone and 973.8 HU at lingual cortical bone. In molar area, 1084.9 HU at buccal cortical bone, 370.9 HU at cancellous bone and 1055.3 HU at lingual cortical bone.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sex except in the 50s premolar cancellous bone and 60s molar buccal cortical bone.
4. At buccal cortical bone, the bone density was highest at 20-40s in incisor area, at 20s in canine and premolar area, at 20-30s in molar area. It was increased from incisor to molar area at 20-60s.
5. At cancellous bone, the bone density was highest at 20-30s in incisor, canine, premolar and molar area, and was decreased distinctly at 60s. It was decreased from incisor to molar areas at 10s, 50s and 60s. There was no stastically differences among in anterior-posterior areas at 20s, 30s and 40s.
6. At lingual cortical position, the bone density was highest at 20s, 30s and 40s in incisor area, at 20s in canine and premolar area, at 20s and 30s in molar area. It increased from incisor to molar area at all ag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