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들어 고성과자위주의 인사관리에서 벗어나 저성과자에 대한 적극적 관리를 통해 정부 조직성과를 개선해야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정부조직의 저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49576
2017
-
300
학술저널
3359-3384(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근래 들어 고성과자위주의 인사관리에서 벗어나 저성과자에 대한 적극적 관리를 통해 정부 조직성과를 개선해야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정부조직의 저성...
근래 들어 고성과자위주의 인사관리에서 벗어나 저성과자에 대한 적극적 관리를 통해 정부 조직성과를 개선해야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정부조직의 저성과자 발생원인 과악, 저성과자에 대한 제재 및 처벌, 저성과자 관리 효율화 방안 등 다양한 저성과자 관련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저성과 원인 분석과 저성과자에 대한 조치에 중점을 둔 관계로 저성과자의 내재적 동기와 저성과자로 인하여 피해를 보는 조직구성원들의 인식과 이들 구성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저성과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저성과자의 내재적 동기와 저성과자 소속 조직 차원의 다양한 요인들을 실증조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한다. 조사 결과, 저성과자의 동기유발지수는 저성과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과 역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성과자 관리를 위한 관리자 역량, 소속부서성과, 인사부서의 지원은 저성과자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과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본 연구의 기대와 달리 저성과자에 대한 기관장의 지원과 저성과자에 대한 제재 조치의 빈도는 조직구성원의 저성과자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ender and Active E-Participation in Local Governance: Citizen Participation Values and Social Ties
문재인 정부의 통일정책 : 벨라 경제통합이론과 CEPA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