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려품종 콩의 이화학적 특성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mmended Soybean Variet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029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에서 재배가 장려되고 있는 콩 19품종의 형태학적 특성조사로 콩의 부위별 중량, 길이, 색 등을 측정하였고 이들 형태학적 인자와 함유성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콩단백질이 화학...

      국내에서 재배가 장려되고 있는 콩 19품종의 형태학적 특성조사로 콩의 부위별 중량, 길이, 색 등을 측정하였고 이들 형태학적 인자와 함유성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콩단백질이 화학적 특성과 콩에 함유된 영양저해인자들의 함량도 조사하였다. 19품종 콩의 백립중은 12.28∼25.54g이었으며 날콩 무게에 대한 종피 및 배아의 중량 비율은 각각 6.99∼9.29%, 1.66∼3.35%이었다. 이들 콩의 길이, 단폭 및 장폭은 5.95∼7.95㎜, 5.03∼6.95㎜, 6.44∼8.387㎜이었으며 Hunter Lab. Color system에 의한 종피 및 자엽의 황색도는 각각 15.9∼21.7, 17.7∼23.1이었다. 한편 상관성 분석 결과 날콩의 무게는 자엽 무게 및 장폭과, 자엽의 무게는 장폭과 각각 0.97 이상의 높은 점의 상관성을 보였고 조단백질의 함량은 날콩의 무게, 자엽의 무게, 길이, 장폭 및 배꼽의 길이와 상관관계가 있지만 상관계수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려 품종 콩 19종의 단백질 특성을 비교키 위해 용해도에 따른 단백질 분획의 분포, 전기영동 특성 및 아미노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콩에 함유된 글리시닌은 콩단백질의 48.19∼58.86%를 차지하였으며 다른 분획에 비해 프를아민의 비율이 콩품종에 따른 차이가 컸다. 콩단백질의 전기영동 양상은 팔달, 장백, 장엽, 단엽, 남천 및 S-138이 21.5∼37.0kd 범위에서 보인 단백질 띠의 이동도 차이를 제외하고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콩에 소량 함유된 아미노산류는 시스테인, 메티오닌, 타이로신 및 트레오닌이었으며 타이로신의 비율은 품종간에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재배장려품종 콩 19종에 함유된 몇가지 영양저해인자의 함량과 리폭시게나아제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복부팽만인자인 라피노오스와 스타치오스의 함량은 각각 0.88∼1.58%와 3.34∼5.30% 범위였는데 힐, 백운, 장백 등의 품종이 이 두 종류 당의 함량이 높았다. 콩에 함유된 트립신 저해제는 29.2∼37.0 ㎎ TI/g, 피트산태로 존재하는 인은 건물 100g 당 336∼605㎎ 정도로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리폭시게나아제의 활성은 163.6∼403.5 unit로 팔달, 장백, S-133 등의 품종이 높은 값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work the investig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mmended 19 Korean soybean varieties, size, proximate compositions, protein characteristic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the soybean were analyzed. The weights of whole, seed...

      As a work the investig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mmended 19 Korean soybean varieties, size, proximate compositions, protein characteristic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the soybean were analyzed.
      The weights of whole, seed coat and germ of each soybean were ranged from 0.1228 to 0.255g, from 0.0093 to 0.0162g and from 0.0034 to 0.0056g, respectively. Length and wide and narrow widths of the whole soybeans were 6.44∼8.38, 5.95∼7.95㎜ and 5.03-6.95㎜, respectively. Yellow value(b in Hunter Lab. Color System) of seed coat and lipid contents, of the dried soybeans were 37.42∼44.37 and 17.22∼21.17%, respectively.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whole weight was highly correlated with cotyledon weight, and wide and narrow widths of soybeans. The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lso mark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in and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s.
      The average contents of water soluble sugars in dried soybeans such as sucrose, raffinose and stachyose were 5.21±1.02%, 1.13土0.20% and 4.30±0.51%, respectively.
      From the fractionation of soybean protein the glycinin content was ranged from 48.19 to 58.86% and the content variation of this fraction was the least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the other fractions.
      The electrophoresis profiles of 19 varie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d except 6 varieties involving Paldal in molecular weight range of 21.5∼37.0Kd. The composite ratios of amino acids of 19 soybean varieties were almostly same except tyrosine, cystein, proline and methionine. The range of trypsin inhibitor content was 21.2∼37.0㎎ TI/g and Bangsa, Baekun, Nam cheon, Eunha, Danyeob and Hill were the varieties with high level of the inhibitor.
      The lipoxigenase activity was 163.6∼403.5 unit/g in the recommended 19 soybean varieties in Korea. Phytate phosphorus was highly contained in Baekcheon, Danyeob and Palda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