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에 대한 법적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Legal Improvement of Long term Unexcuted Urban Park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실효제도에 의하여 2020.6.30.까지 도시공원 예정 부지를 지방자치단체가 재정난으로 매입하지 못하거나 도시공원조성사업을 시행하지 못하면 그 동안 공원구역으로 결정된 도시공원이 조성되지 못할 위기에 놓여 있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도시계획결정으로 무려 20여년 도시공원 구역으로 묶여 있는 토지소유자 입장에서는 조속히 공원조성사업을 시행하여 보상을 해주든지 아니면 속히 해제하여 재산권 행사를 할 수 있도록 구역해제를 해주든지 그 결정을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소를 위한 법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자면. 첫째, 민간 개발 도시공원 사업을 활성화해야 되며 특혜시비 해소차원에서 개발이 용이하고 수익성이 보장되는 공원구역에 더하여 다소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지역적으로 공원이 반드시 필요한 곳에 동시 사업을 하게하는 즉, 도시공원법에 둘 이상의 공원을 결합하여 조성할 수 있는 근거를 도시공원법 제21조에 부가하여 교차보전을 통한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둘째, 도시공원 대장의 철저한 작성 및 관리를 통해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공원녹지 조성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공원녹지정보체계의 구축·운영” 규정을 신설하여 도시공원 관리를 정보화해야 한다고 본다.
      셋째,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제기준이 법률이나 시행령에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의 훈령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정. 시행하고 있으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소기준은 기본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명확성의 원칙에 따라 법규화 해야 한다. 넷째, 미집행 장기도시공원의 25%에 해당하는 국공유지는 사적 이용권이나 재산권의 침해가능성이 낮으므로 부지내의 국공유지는 실효대상에서 제외하고 구역 내 토지 소유자와 협의매수 또는 수용재결방식이 아닌 부지사용계약을 체결하는 방법으로 공원이 조성되도록 도시공원법을 개정하며, 다섯째, 시·도지사는 국토계획법과 공원녹지법상 실효제도가 적용되지 않고 원칙적으로 손실보상 대상이 아닌 도시자연공원구역지정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도시공원을 자연공원구역으로 지정을 전환하고 여섯 째, 공원녹지법 제15조를 개정하여 광역도시공원을 신설하고 이를 광역시장·도지사가 관계 시장 또는 군수와 협의를 거쳐 시장 군수가 설치·관리하는 도시공원을 광역도시공원으로 지정하도록 하여 광역도시공원에 드는 비용의 일부를 시·군에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일곱 째,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 부지 해소를 하기 위해서는 국가보조금을 도시공원조성사업비의 50%로 부담토록 하고, 특별회계와 기금운영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으로 헌법상에 보장된 재산권행사가 침해된 경우에는 즉 도시계획 결정이후 아무런 보상없이 인공조림 또는 시설을 설치하여 공원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부당이득 반환청구를 할 수 있고 또한, 도시공원시설 해제입안 또는 그 입안에 대한 거부처분이 있는 경우에는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있음은 물론, 토지소유자가 국토계획법 제48조의2에 의하여 도시공원 도시·군관리계획 결정고시일로부터 10년이 경과하면 도시공원 장기미집행의 해제를 명할 의무가 행정청에게 주어지는 것이므로 이를 거부하는 경우 공권력의 불 행사에 해당되며 장기미집행 도시공원부지의 토지소유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을 상대로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청구하여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번역하기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실효제도에 의하여 2020.6.30.까지 도시공원 예정 부지를 지방자치단체가 재정난으로 매입하지 못하거나 도시공원조성사업을 시행하지 못하면 그 동안 공원구역으로 결...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실효제도에 의하여 2020.6.30.까지 도시공원 예정 부지를 지방자치단체가 재정난으로 매입하지 못하거나 도시공원조성사업을 시행하지 못하면 그 동안 공원구역으로 결정된 도시공원이 조성되지 못할 위기에 놓여 있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도시계획결정으로 무려 20여년 도시공원 구역으로 묶여 있는 토지소유자 입장에서는 조속히 공원조성사업을 시행하여 보상을 해주든지 아니면 속히 해제하여 재산권 행사를 할 수 있도록 구역해제를 해주든지 그 결정을 바라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해소를 위한 법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자면. 첫째, 민간 개발 도시공원 사업을 활성화해야 되며 특혜시비 해소차원에서 개발이 용이하고 수익성이 보장되는 공원구역에 더하여 다소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지역적으로 공원이 반드시 필요한 곳에 동시 사업을 하게하는 즉, 도시공원법에 둘 이상의 공원을 결합하여 조성할 수 있는 근거를 도시공원법 제21조에 부가하여 교차보전을 통한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둘째, 도시공원 대장의 철저한 작성 및 관리를 통해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공원녹지 조성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공원녹지정보체계의 구축·운영” 규정을 신설하여 도시공원 관리를 정보화해야 한다고 본다.
      셋째,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제기준이 법률이나 시행령에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의 훈령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정. 시행하고 있으나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소기준은 기본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명확성의 원칙에 따라 법규화 해야 한다. 넷째, 미집행 장기도시공원의 25%에 해당하는 국공유지는 사적 이용권이나 재산권의 침해가능성이 낮으므로 부지내의 국공유지는 실효대상에서 제외하고 구역 내 토지 소유자와 협의매수 또는 수용재결방식이 아닌 부지사용계약을 체결하는 방법으로 공원이 조성되도록 도시공원법을 개정하며, 다섯째, 시·도지사는 국토계획법과 공원녹지법상 실효제도가 적용되지 않고 원칙적으로 손실보상 대상이 아닌 도시자연공원구역지정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도시공원을 자연공원구역으로 지정을 전환하고 여섯 째, 공원녹지법 제15조를 개정하여 광역도시공원을 신설하고 이를 광역시장·도지사가 관계 시장 또는 군수와 협의를 거쳐 시장 군수가 설치·관리하는 도시공원을 광역도시공원으로 지정하도록 하여 광역도시공원에 드는 비용의 일부를 시·군에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 일곱 째,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 부지 해소를 하기 위해서는 국가보조금을 도시공원조성사업비의 50%로 부담토록 하고, 특별회계와 기금운영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공원의 장기미집행으로 헌법상에 보장된 재산권행사가 침해된 경우에는 즉 도시계획 결정이후 아무런 보상없이 인공조림 또는 시설을 설치하여 공원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부당이득 반환청구를 할 수 있고 또한, 도시공원시설 해제입안 또는 그 입안에 대한 거부처분이 있는 경우에는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 있음은 물론, 토지소유자가 국토계획법 제48조의2에 의하여 도시공원 도시·군관리계획 결정고시일로부터 10년이 경과하면 도시공원 장기미집행의 해제를 명할 의무가 행정청에게 주어지는 것이므로 이를 거부하는 경우 공권력의 불 행사에 해당되며 장기미집행 도시공원부지의 토지소유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을 상대로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청구하여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e long-term non-funded urban park system, the planned site for the urban park could not be purchased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by the local administrative body or if the project for creating an urban park was not carried out during such a crisis.
      However, for land owners who are tied to the urban park zone for more than 20 years due to the urban planning decision, the land owners can either make a payment by making a park formation project as soon as possible, or cancel the land ownership event by quickly.
      Under such circumstances, I would suggest a legal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ncollected urban parks.
      First, the private development city park project must be activated and the two parks that can be developed conveniently and are profitable to solve preference conflicts can not be combined simultaneously with the local parks ideally equipped with the two areas that are equipped with a cross-profitability urban park zone.
      Second, the Act provided that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park green space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and managed reasonably and objectively based on actual data through thorough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rk register. "
      Third, although the criteria for the cancellation of the long-term uncollected urban management plan in urban parks should not be set out in accordance with the Act or the Enforcement Decree, the principle of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sulted in the guidelines for the resolution of long-term facilities.
      Fourth, the national and public lands, which account for 25 % of the long-term uncollected urban parks, have a low possibility of infringing on private rights or property rights, The Act was amended to establish a public land in the urban park site by signing contracts for sub-disciplinary projects other than a negotiated or acceptable purchase decision with land owners within the zone, excluding the actual land use cases.
      Fifth, mayors, governors, or metropolitan mayors did not apply the Land Planning Act and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Park Green Act, and the Act on the designation of an urban park as an urban natural park zone, using the designation of an urban park zone, not necessarily covered by the Act on Land Use of Article 15.
      The Act should enable metropolitan mayors or governors to designate urban parks that are to be installed and managed by the mayor logistics department as metropolitan urban parks. The cost of installing or managing metropolitan parks should be set up in the metropolitan area. Seventh, it was necessary to make the national subsidy pay 50 % of the expense of urban park formation projects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pecial accounts and fund management system to solve the long-term uncollected land of urban parks.
      Finally, in the event that the guaranteed property rights event is violated due to the non-construction of urban parks, that is, an artificial reforestation or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without any reward after the urban planning decision is made, the park is being operated unfairly.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protest against or against the proposed cancellation of an urban park, an appeal can be filed, Landowners could be forced to carry out urban park projects or to de-designation urban parks 10 years after the decision on the urban and military management plan to be announced by Article 48 of the National Territory Planning Act, Since the executive office will be required to release the city park from the long run, If the government refuses to do so, it will be regarded as an act of fire under the government power in which the duty of office is recognized. Thus, land owners on the land of the uncollected urban parks for more than 10 years could file a petition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with the head of the local administrative office to obtain a right to file a petition.
      번역하기

      Under the long-term non-funded urban park system, the planned site for the urban park could not be purchased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by the local administrative body or if the project for creating an urban park was not carried out during such a ...

      Under the long-term non-funded urban park system, the planned site for the urban park could not be purchased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by the local administrative body or if the project for creating an urban park was not carried out during such a crisis.
      However, for land owners who are tied to the urban park zone for more than 20 years due to the urban planning decision, the land owners can either make a payment by making a park formation project as soon as possible, or cancel the land ownership event by quickly.
      Under such circumstances, I would suggest a legal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ncollected urban parks.
      First, the private development city park project must be activated and the two parks that can be developed conveniently and are profitable to solve preference conflicts can not be combined simultaneously with the local parks ideally equipped with the two areas that are equipped with a cross-profitability urban park zone.
      Second, the Act provided that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park green space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and managed reasonably and objectively based on actual data through thorough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rk register. "
      Third, although the criteria for the cancellation of the long-term uncollected urban management plan in urban parks should not be set out in accordance with the Act or the Enforcement Decree, the principle of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sulted in the guidelines for the resolution of long-term facilities.
      Fourth, the national and public lands, which account for 25 % of the long-term uncollected urban parks, have a low possibility of infringing on private rights or property rights, The Act was amended to establish a public land in the urban park site by signing contracts for sub-disciplinary projects other than a negotiated or acceptable purchase decision with land owners within the zone, excluding the actual land use cases.
      Fifth, mayors, governors, or metropolitan mayors did not apply the Land Planning Act and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Park Green Act, and the Act on the designation of an urban park as an urban natural park zone, using the designation of an urban park zone, not necessarily covered by the Act on Land Use of Article 15.
      The Act should enable metropolitan mayors or governors to designate urban parks that are to be installed and managed by the mayor logistics department as metropolitan urban parks. The cost of installing or managing metropolitan parks should be set up in the metropolitan area. Seventh, it was necessary to make the national subsidy pay 50 % of the expense of urban park formation projects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pecial accounts and fund management system to solve the long-term uncollected land of urban parks.
      Finally, in the event that the guaranteed property rights event is violated due to the non-construction of urban parks, that is, an artificial reforestation or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without any reward after the urban planning decision is made, the park is being operated unfairly.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protest against or against the proposed cancellation of an urban park, an appeal can be filed, Landowners could be forced to carry out urban park projects or to de-designation urban parks 10 years after the decision on the urban and military management plan to be announced by Article 48 of the National Territory Planning Act, Since the executive office will be required to release the city park from the long run, If the government refuses to do so, it will be regarded as an act of fire under the government power in which the duty of office is recognized. Thus, land owners on the land of the uncollected urban parks for more than 10 years could file a petition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with the head of the local administrative office to obtain a right to file a peti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