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李弘鍾, "梨寺里․月岐里 遺蹟"
2 김승옥, "龍潭댐 無文土器時代 文化의 社會組織과 變遷過程" 호남고고학회 19 : 63-95, 2004
3 崔盛洛, "靈巖 長川里 住居址Ⅰ"
4 金承玉, "호남지역 마한 주거지의 편년" 湖南考古學會 11 : 2000
5 김장석, "충청지역의 선송국리 물질문화와 송국리 유형" 한국상고사학회 51 (51): 43-77, 2006
6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7 허의행,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지의 폐기와 소멸 연구 – 토층 퇴적양상과 유물 출토량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5 (65): 5-44, 2009
8 禹姃延, "중서부지역 송국리복합체 연구- 주거지를 중심으로 -" 한국고고학회 47 : 29-62, 2002
9 金範哲, "중서부지역 靑銅器時代 水稻 生産의 政治經濟 - 錦江 중하류역 松菊里型 聚落體系의 위계성과 稻作集約化 -" 한국고고학회 (58) : 40-65, 2006
10 이진민, "중부 지역 역삼동 유형과 송국리 유형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 역삼동 유형의 하한에 주목하여" 한국고고학회 54 : 35-62, 2004
1 李弘鍾, "梨寺里․月岐里 遺蹟"
2 김승옥, "龍潭댐 無文土器時代 文化의 社會組織과 變遷過程" 호남고고학회 19 : 63-95, 2004
3 崔盛洛, "靈巖 長川里 住居址Ⅰ"
4 金承玉, "호남지역 마한 주거지의 편년" 湖南考古學會 11 : 2000
5 김장석, "충청지역의 선송국리 물질문화와 송국리 유형" 한국상고사학회 51 (51): 43-77, 2006
6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7 허의행,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지의 폐기와 소멸 연구 – 토층 퇴적양상과 유물 출토량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5 (65): 5-44, 2009
8 禹姃延, "중서부지역 송국리복합체 연구- 주거지를 중심으로 -" 한국고고학회 47 : 29-62, 2002
9 金範哲, "중서부지역 靑銅器時代 水稻 生産의 政治經濟 - 錦江 중하류역 松菊里型 聚落體系의 위계성과 稻作集約化 -" 한국고고학회 (58) : 40-65, 2006
10 이진민, "중부 지역 역삼동 유형과 송국리 유형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 역삼동 유형의 하한에 주목하여" 한국고고학회 54 : 35-62, 2004
11 황재훈, "전남지역 선송국리~송국리단계의 인구분포 변동" 호서고고학회 20 (20): 28-55, 2009
12 이현석, "수혈건물의 폐기양식(pattern). In: 발굴사례 연구논문집"
13 이홍종, "송국리형취락의 공간배치" 호서고고학회 (17집) : 114-133, 2007
14 나건주,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 경기 충청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8 (8): 51-84, 2009
15 김승옥, "송국리문화의 지역권 설정과 확산과정" 호남고고학회 24 : 81-112, 2006
16 李淸圭, "남한지방 무문토기문화의 전개와 공렬토기문화의 위치" 韓國上古史學會 1 : 1988
17 김종문, "高敞 三仁里 遺蹟"
18 安在晧, "韓國 靑銅器時代 硏究의 成果와 結果. In: 동북아 청동기문화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학연문화사 2009
19 安在晧, "靑銅器時代 聚落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2006
20 金承玉, "錦江流域 松菊里型 墓制의 硏究" 韓國考古學會 45 : 2001
21 李弘鍾, "道三里 遺蹟"
22 尹世英, "無文土器의 整面手法에 관하여" 韓國上古史學會 17 : 1994
23 이백규, "漢江流域 前半期 민무늬토기의 編年에 대하여" 嶺南考古學會 2 : 1986
24 김규정, "湖西․湖南地域의 松菊里型 住居址 In: 금강: 송국리형 문화의 형성과 발전" 호남․호서고고학회 2006
25 崔盛洛, "海南 郡谷里 貝塚"
26 安在晧, "松菊里類型의 檢討" 嶺南考古學會 11 : 1992
27 이형원, "松菊里類型과 水石里類型의接觸樣相" 호서고고학회 (12집) : 15-34, 2005
28 손준호, "松菊里遺蹟 再考"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0) : 35-62, 2007
29 이홍종, "松菊里文化의 文化接觸과 文化變動" 한국상고사학회 48 (48): 29-50, 2005
30 深澤芳樹, "松菊里式土器의 打捺技法 檢討」『송국리문화를 통해 본 농경사회의 문화체계" 서경문화사 2005
31 李弘鍾, "松菊里式 土器文化의 登場과 展開" 韓國古代史硏究 11 : 1993
32 趙現鐘, "松菊里型土器에 대한 一考察" 弘益大學校大學院 1999
33 李相吉, "廢棄에 대한 考古學的 檢討. In: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周念 紀念論叢"
34 李弘鍾, "寬倉里聚落의 景觀. In: 송국리문화를 통해 본 농경사회의 문화체계" 서경문화사 2005
35 李賢淑, "天安白石洞遺跡 出土 臺附鉢에 대한 檢討" 韓國古代史硏究 11 : 1998
36 林尙澤, "天安 大興里遺蹟"
37 許義行, "唐津 自開里 遺蹟Ⅱ"
38 羅建柱, "唐津 自開里 遺蹟Ⅰ"
39 李亨源, "口脣刻目土器의 變遷과 性格에 대하여"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28 : 1998
40 宋滿榮, "南韓地方 農耕文化 形成期 聚落의 構造와 變化. In: 한국농경문화의 형성" 한국고고학회 2001
41 李宗哲, "南韓地域 松菊里型 住居址에 대한 一考察" 全北大學校大學院 2000
42 李亨源, "南韓 靑銅器時代의 生業活動과 社會" 忠南大學校大學院 2009
43 庄田愼矢, "南韓 靑銅器時代의 生業活動과 社會" 忠南大學校大學院 2007
44 安在晧, "南韓 前期無文土器의 編年" 慶北大學校大學院 1991
45 강원종, "全州中仁洞遺蹟"
46 兪炳隣, "中西部海岸地域 無文土器時代에 대한 硏究"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47 宋滿榮, "中期 無文土器文化의 編年과 性格" 崇實大學校大學院 1995
48 安在晧, "Ⅴ. 考察. In: 勒島 住居址"
49 Shennan, S, "Quantifying Achaeology, 2nd ed" The University of lowa press 1997
50 Rice, P, M, "Pottery Analy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51 Lange, F. W, "Abandonment and post-abandonment behavior at a rural Central American house-site" 37 :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