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치간칫솔 중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구강보건교육효과를 파악하고 나아가 치간칫솔 사용 확대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한 구체적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997597
서울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16.2
2016
한국어
치간칫솔 ; 구강보건교육 ;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 치위생학
370 판사항(22)
서울
vii, 73 p.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조덕주
건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58-62
I804:11004-0000022150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치간칫솔 중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구강보건교육효과를 파악하고 나아가 치간칫솔 사용 확대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한 구체적인 ...
이 연구는 치간칫솔 중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구강보건교육효과를 파악하고 나아가 치간칫솔 사용 확대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환자들에게 적용한 뒤 구강보건교육 효과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ADDIE모형과 구강보건교육학(장기완 외, 2013)의 내용을 참고하여 성인의 교수-학습 계획안을 개발하였다.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적용과정을 거쳐 수정안을 도출한 후 최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성인40명을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나눈 뒤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개발된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에서 치간칫솔만을 제외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효과 평가를 위해 설문지를 통해 성취도 평가를, 전문가 평가를 통해 교육 유효도 평가를, O'Leary index(치면세균막지수)와 구강미생물검사(싸이토페리오)를 통해 구강보건증진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선형모델(GLM)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이 때 통계치의 유의도 수준은 p<.05에서 이루어졌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ver.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및 실험군모두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성취도 평가는 일부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전문가 평가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구강보건교육효과를 향상시키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촉진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구강보건증진도 평가에서는 본 연구 결과에서도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판단되었다.
요약
본 연구는 성인 환자들의 구강보건교육효과를 파악하는 동시에 치간칫솔 사용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에 대한 반응 및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환자들에게 적용한 뒤 구강보건교육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가장 먼저 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실험이 이루어져도 좋다는 사전 동의를 얻은 성인 40명을 대상자로 확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을 진행하여 단편적인 요구분석만이 아닌 다양한 분석을 통해 ADDIE모형의 일부를 채택하여 수업설계를 진행하여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성인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적용을 거쳐 수정안을 도출한 후 최종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습자에게 적용하기 위해 관련 연구 설명서 및 동의서와 설문도구는 건국대학교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를 거쳐 의생명과학연구의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용은 송파구 소재 P동의 치과에 내원하는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2015년 8월부터 10월 초까지 3차에 걸쳐 적용하였다. 적용 차시를 단순히 프로그램 적용 전 후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3차에 의한 교육 즉, 반복 적용으로 구강 관리 능력의 유지 및 증진을 기대 할 수 있었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적용기간은 단기간 보다 장기간 적용할수록 효과적이나 실현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3차시에 걸친 교육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성인 4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20명씩으로 나눈 뒤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치간칫솔 교육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는 개발된 프로그램에서 치간칫솔을 제외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시범실습은 학습자들의 실천 확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며 매차 시 O'Lealy index와 큐레이뷰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눈으로 확인하고 점수화하여 관리 능력의 유지 및 증진을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 첫 번째 성취도 평가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교육 전후 치주질환 증세 지식의 차이, 치주질환 예방 지식의 차이, 칫솔질 횟수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을 조사하였다. 일반선형모델(GLM)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영역 하위요소 중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이 때 통계치의 유의도 수준은 P<.05에서 이루어졌으며 모든 통계처리는 SPSSWIN(ver.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치주질환 증세 지식, 치주질환 예방 지식 , 태도 및 행동 모두 증가했으며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 유효도 평가는 전문가 평가로 진행됐으며 교육학 전문가와 구강보건교육학 교과목을 담당하는 치위생과 교수 및 치과 임상 실무자의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개발된 치간칫솔 교육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매우 적절하다고 평가를 받았다.
구강보건증진도 평가는 구강환경관리 점수로 O,Leary index 를 사용하였으며 구강 내 유해 세균 감소 여부를 위해 사전사후 구강미생물검사(싸이토페리오)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 모두 구강미생물과 치면 세균막은 감소했다. 그러나 치면세균막 점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3차검사 시에만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