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표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 정도에 따른 메시지 프레이밍의 설득효과 = The Influence of The Proportion of Performers and Message Framing on Persuas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portion of performers and message framing on persuasion. In the concrete, when an individual perceived that majority a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which of framing is more effective and wh...

      The purposes of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portion of performers and message framing on persuasion. In the concrete, when an individual perceived that majority a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which of framing is more effective and when an individual perceived that minority a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which of framing is more effective? In order to validate it, We conducted an experiment. In the experiment, we used vaccination behavior as the target behavior in the experiment. In result, we found that when an individual primed with the situation that many undergraduates we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he/she perceived the value of the target behavior more in loss framing than gain framing because losses loomed larger than gains. On the other hand, when an in dividual primed with the situation that a few of undergraduates were performing the target behavior, he/she perceived the value of the target behavior more in gain framing than loss framing because an individual estimated gains more importantly than losses. And the result of behavioral intention is same as above. Discussion of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가’ 라는 ‘목표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정도’가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

      본 연구는, ‘현재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가’ 라는 ‘목표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정도’가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다수가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지, 혹은 소수가 목표행동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프레이밍의 설득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7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간염예방접종을 하도록 설득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3(사회적 지지정도 3가지 수준)* 2(이득과 손실 프레이밍)의 요인설계를 통하여 제시하고, 각각의 효과를 검토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결과, 다수행동 상황(사회적 지지정도가 높은 행동)에서는 이득보다 손실 메시지에 의한 가치지각 및 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소수행동 상황(사회적 지지정도가 낮은 행동)에서는 손실보다 이득 메시지에 의한 가치지각 및 행동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프레이밍을 통한 설득에 있어서 타인(다른 사람들)과 같은 사회적 준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공공정책이나 소비행동의 설득에서도 유용할 수 있는데, 현재 얼마나 찬성(수용)하는 사람이 많은가와 같은 여론이나 확산의 정도에 따라서 설득의 프레이밍을 달리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휘, "희소성 메시지와 프레이밍 방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183-204, 2007

      2 김동철, "프로스펙트이론의 손실회피현상과 개인투자자들의 매도행태" 한국경영학회 34 (34): 603-630, 2005

      3 김재휘, "사회적 추론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다수가 시청할 것이라는 추론의 영향" 한국광고학회 19 (19): 43-56, 2008

      4 조형오, "비만예방 광고의 메시지 유형별 설득효과 차이분석" 11 (11): 165-185, 2000

      5 최현경, "메시지 프레이밍과 지향성이 공익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통안전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0 (10): 34-65, 2008

      6 김재휘, "공해방지 광고의 프레이밍 효과:환경에 대한 주의각성과 행위정보 제공의 매개적 영향" 49 : 55-75, 2004

      7 Gerend, M. A, "Using message framing to promote acceptance of the human papillomavirus" 26 (26): 745-752, 2007

      8 Noelle-Neumann,E, "Turbulences in the climate of opinion: Methodological applications of the spiral of silence theory" 41 : 113-158, 1977

      9 Plous,S, "The psychology of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McGraw-Hill 1993

      10 Ross, I, "The person and the situation: perspectives of social psychology" McGraHill 1991

      1 김재휘, "희소성 메시지와 프레이밍 방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183-204, 2007

      2 김동철, "프로스펙트이론의 손실회피현상과 개인투자자들의 매도행태" 한국경영학회 34 (34): 603-630, 2005

      3 김재휘, "사회적 추론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다수가 시청할 것이라는 추론의 영향" 한국광고학회 19 (19): 43-56, 2008

      4 조형오, "비만예방 광고의 메시지 유형별 설득효과 차이분석" 11 (11): 165-185, 2000

      5 최현경, "메시지 프레이밍과 지향성이 공익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통안전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0 (10): 34-65, 2008

      6 김재휘, "공해방지 광고의 프레이밍 효과:환경에 대한 주의각성과 행위정보 제공의 매개적 영향" 49 : 55-75, 2004

      7 Gerend, M. A, "Using message framing to promote acceptance of the human papillomavirus" 26 (26): 745-752, 2007

      8 Noelle-Neumann,E, "Turbulences in the climate of opinion: Methodological applications of the spiral of silence theory" 41 : 113-158, 1977

      9 Plous,S, "The psychology of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McGraw-Hill 1993

      10 Ross, I, "The person and the situation: perspectives of social psychology" McGraHill 1991

      11 Tversky, A,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 211 : 453-458, 1981

      12 Baron, R. S, "The forgotten variable in conformity research: Impact of task importance on social influence" 71 : 915-927, 1996

      13 Banks, S. M,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on mammography utilization" 14 : 178-184, 1995

      14 Loewnnstein, G. F, "Social utility and decision making in interpersonal contexts" 57 : 426-441, 1989

      15 Eiser,R, "Social judgment" Open University Press 1990

      16 Zajonc,R.B, "Social facilitation" 149 : 269-274, 1965

      17 Brewer, M. B, "Social cognition" Blackwell Publishing 2004

      18 Kravitz, D. A, "Ringalmann rediscovered. The original article" 50 (50): 936-941, 1986

      19 Bandura, A, "Relative efficacy of self-monitored and externally imposed reinforcement systems" 7 : 111-116, 1967

      20 Kahneman, D,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47 : 263-291, 1979

      21 Smith, S. M, "Message framing and persuasion: A message processing analysis" 22 : 258-269, 1996

      22 Latane, B, "Many hands make light the work: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loafing" 37 : 822-832, 1979

      23 Tversky, A, "Loss aversion in riskless choice: A reference- dependent model" 106 (106): 297-323, 1991

      24 Martin, R, "Levels of consensus and majority and minority influence" 32 : 645-665, 2002

      25 Campbell, J. D, "Informational and normative routes to conformity: The effect of faction size as a function of norm extremity and attention to the stimulus" 57 : 457-468, 1989

      26 Putler,D.S, "Incorporating reference price effects into a theory of consumer choice" 11 : 287-309, 1992

      27 DeDreu,C.K, "Gain-loss frame in outcome interdependence: does it influence equality or equity considerations?" 26 : 315-324, 1996

      28 Smith,G.E, "Framing in advertising and moderating impact of consumer education" 36 (36): 49-64, 1996

      29 Messick, D. M, "Estimating social and non-social utility functions from ordinal data" 15 : 389-399, 1985

      30 Kalyanaram, G, "Empirical generalizations from reference price research" 14 (14): 161-169, 1995

      31 DeDreu, C. K, "Effects of gain-loss frames on satisfaction with self-other outcome differences" 24 : 497-510, 1994

      32 O'Brien, L, "Do rewards really create loyalty?" 73 : 75-82, 1995

      33 Ngobo,P.V, "Decreasing returns in customer loyalty: does it really matter to delight the customers?" 26 : 469-476, 1999

      34 Anderoni,J, "Cooperation in public-goods experiments: Kindness or confusion?" 85 : 891-904, 1995

      35 Weldon, E, "Cognitive loafing: The effects of accountability and shared responsibility on cognitive effort" 14 : 159-171, 1988

      36 Simonson, I, "Choice in context: tradeoff contrast and extremeness aversion" 24 : 281-295, 1992

      37 Kelman,H.C, "Attitude change as a function of response restriction" 6 : 185-214, 1953

      38 Festinger,L,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5 2.11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