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문화 어휘장 중에서 경조사 어휘를 중심으로 구축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일생의례사전에서 제시한 표제어 중에서도 현대에도 사용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문화 어휘장 중에서 경조사 어휘를 중심으로 구축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일생의례사전에서 제시한 표제어 중에서도 현대에도 사용되...
이 논문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문화 어휘장 중에서 경조사 어휘를 중심으로 구축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일생의례사전에서 제시한 표제어 중에서도 현대에도 사용되고 있는 어휘들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출생의례, 혼인의례, 상례의례’를 기준으로 세부적인 어휘장을 구축하였다. 여기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들로 보충하여 경조사 어휘장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경조사 어휘장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뿐만 아니라여성결혼이민자들이 목표 언어의 문화를 잘 이해하고 경조사 상황에 알맞은 어휘를 구사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것이라고 보았다. 다음 후속 연구에서는 본고에서 구축한 경조사 어휘장을 학습 단계별로 구성하고 그에 따른 학습 활동을 제안하기로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현동, "현대 한국 장례의 변화와 그 사회적 의미" 32 : 289-314, 2003
2 박참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식 어휘장 학습 자료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3 심혜령,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기반어휘’ 연구(1) -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75-195, 2009
4 전미순, "한국어 문화어휘에 관한 일고찰 -문화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191-210, 2011
5 최상옥, "한국어 교육을 위한 ‘설날 문화 어휘장’ 구축에 관한 연구" 동남어문학회 1 (1): 175-204, 2019
6 "한국민속대백과사전"
7 김만태, "한국 일생의례의 성격 규명과 주술성"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177-207, 2011
8 만 티 뚜엔, "한국 내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문화 적응을 위한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한국어 교재의문화 항목 분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20
9 包楨穎, "한·중 전통 통과의례 문화 비교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10 전미순, "초급 단계 문화 어휘 선정과 문화 교육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6 (6): 119-144, 2009
1 송현동, "현대 한국 장례의 변화와 그 사회적 의미" 32 : 289-314, 2003
2 박참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식 어휘장 학습 자료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3 심혜령,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기반어휘’ 연구(1) -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75-195, 2009
4 전미순, "한국어 문화어휘에 관한 일고찰 -문화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191-210, 2011
5 최상옥, "한국어 교육을 위한 ‘설날 문화 어휘장’ 구축에 관한 연구" 동남어문학회 1 (1): 175-204, 2019
6 "한국민속대백과사전"
7 김만태, "한국 일생의례의 성격 규명과 주술성"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177-207, 2011
8 만 티 뚜엔, "한국 내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문화 적응을 위한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한국어 교재의문화 항목 분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20
9 包楨穎, "한·중 전통 통과의례 문화 비교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10 전미순, "초급 단계 문화 어휘 선정과 문화 교육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6 (6): 119-144, 2009
11 이정희,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한국이민재단 2015
12 문금현, "음식어휘장의 분류 기준을 활용한 한국어 음식 어휘 교육" 한국국어교육학회 (91) : 41-78, 2012
13 김준모,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문화 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4 정예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용 한국문화상징 어휘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5 "연세 20세기 한국어 말뭉치"
16 문금현, "어휘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우리말교육현장학회 5 (5): 7-47, 2011
17 김하나, "어휘장을 활용한 한국 명절 어휘 교육 방안 ―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81 : 303-333, 2020
18 설규주,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위한 한국 사회 이해" 한국이민재단 2015
19 명현숙, "민족문화상징을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0 김신호, "문화적 간섭효과가 학습자의 어휘의 오 선택에 미치는 영향 : 한불간 어휘와 문화의 대조를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641-657, 1998
21 황춘혜, "문화어휘로서의 한국어 신조어 교육 방안 연구 -유학생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22 주월랑, "문화어휘 ‘우리’의 사용 양상과 ‘우리+명사’ 구조의 의미 인식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275-294, 2013
23 안미애, "도시 거주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통과의례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24 정설, "대조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 명절 문화 어휘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6
25 이선웅, "다문화가정과 함께 하는 즐거운 한국어" 국립국어원 2011
26 이선웅, "다문화가정과 함께 하는 정확한 한국어" 국립국어원 2011
27 이정숙,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식생활문화와 한국어 통합 교육 방안"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8 김선정, "결혼이민자와 함께 하는 한국어" 국립국어원 2011
대학생의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 자기효능감이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평판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법률 글쓰기 방법론에 관한 연구 - IRAC 기법의 적용을 통한 분석 및 삭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 ![]() |
2022-03-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4-03-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