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와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전시 5개 대학교의 기독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와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전시 5개 대학교의 기독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와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전시 5개 대학교의 기독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변인 중 대학생의 성별은 긍정정서, 전공계열은 부정정서, 연령은 회복탄력성의 하위영역인 통제성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긍정정서와 회복탄력성 전체 및 하위영역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정서와 회복탄력성 전체 및 하위 영역 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고, 각각 독립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대한 회복탄력성 전체의 설명력(36.3%)이 하위영역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에 대한 설명력(19.2~28.1%)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독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긍정정서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게하며, 상담 및 교육적 개입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ositive emotion(PE), negative emotion(NE) and resilience(R) of the Christian students. For this the author collected the 335 data of questionnaires from the Christian students in Daejeon and carr...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ositive emotion(PE), negative emotion(NE) and resilience(R) of the Christian students. For this the author collected the 335 data of questionnaires from the Christian students in Daejeon and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It is resulted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differences of average scores in the PE, NE and the self-regulation skill of the sub-category of the R reveal statistically of significance in accordance to the sex, academic majors, and age of students, respectively. Second, it was shown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 PE, NE, R and three sub-categories of the R such as self-regulation skill, positive tendencies and interpersonal skill indicat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the strong negative correlation revealed between the NE and R, or NE and three sub-categories of the R. But it does not hav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PE and NE, implying each as independent parameters. Third, it resulted from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E and NE on the R of the students that the influence of both PE and NE on the R(36.3%) indicated larger than the influence on the three sub-categories of R(19.2~28.1%), showing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leads to the new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PE in order to improve the R of the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it will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for the interventions of the Christian counseling and edu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구재선, "행복은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는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165-179, 2009
3 정종진, "행복수업: 플로리시한 삶을 위한 긍정심리 키우기" 도서출판 그루 2014
4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5 최해연, "한국인의 정서 구조와 측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30 (30): 89-114, 2016
6 최해연, "한국의 대학생과 직장인이 경험하는 긍정정서의 구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73-88, 2012
7 홍은숙, "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45-67, 2006
8 김수안,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223-243, 2011
9 최민아,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우리를 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 : 회복탄력성과 자기결정성을 통해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역할" 한국언론학회 53 (53): 199-220, 2009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구재선, "행복은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는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165-179, 2009
3 정종진, "행복수업: 플로리시한 삶을 위한 긍정심리 키우기" 도서출판 그루 2014
4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5 최해연, "한국인의 정서 구조와 측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30 (30): 89-114, 2016
6 최해연, "한국의 대학생과 직장인이 경험하는 긍정정서의 구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73-88, 2012
7 홍은숙, "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45-67, 2006
8 김수안,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223-243, 2011
9 최민아,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우리를 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 : 회복탄력성과 자기결정성을 통해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역할" 한국언론학회 53 (53): 199-220, 2009
10 김상희,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및 우울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정봉교, "정동유형과 정적 정서의 복원효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5 (15): 499-519, 2003
12 박지아, "적응 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 애착 간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765-778, 2003
13 김은진, "우리나라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상황의 정서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501-521, 2011
14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23, 2008
15 김지경, "외상 후 성장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239-265, 2014
16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7 Seligman, M. E. P.,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물푸레 2011
18 최승혜, "대학생의 불안, 취업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4 (14): 619-627, 2014
19 정은실,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 및 대학생활 적응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1
20 강보미, "기독 대학생의 우울 및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21 김경희, "긍정정서와 자기결정성 요인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2 (12): 1353-1370, 2011
22 Baumgardner, S. R., "긍정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9
23 Fredrickson, B. L.,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2 (2): 300-319, 1998
24 Werner, E. E., "Vulnerable but Invincible: A Longitudinal Study of Resilient Children and Youth" McGraw Hil 1982
25 Newcomb, M. D., "Vulnerability to Drug Us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2
26 Burns, A. B., "Upward Spirals of Positive Emotion and Coping: Replication, Extension, and Initial Exploration of Neuro Chemical Substrates" 44 (44): 360-370, 2008
27 Ekman, P., "Unmasking the Face" Prentice Hall 1975
28 Herman, J. L., "Trauma and Recovery" Basic Books 1992
29 Fredrickson, B. L., "The Undo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s" 24 (24): 237-258, 2000
30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56 : 218-226, 2001
31 Tedeschi, R. G.,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2, 1996
32 Egloff, B.,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Depends on the Affect Measure" 25 (25): 1101-1109, 1998
33 Fredrickson, B. L., "The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4 LeDoux, J., "The Emotional Brain: The Mysterious Underpinnings of Emotional Life" Simon & Schuster 1998
35 Tugade, M. M.,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86 (86): 320-333, 2004
36 Masten, A. S.,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Childhood Adversities" Cambridge University 2003
37 Tugade, M., "Regulation of Positive Emotion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at Promote Resilience" 8 : 311-333, 2007
38 Ong, A., "Psychological Resilience, Positive Emotions, and Successful Adaptation to Stress in Later Life" 91 (91): 730-749, 2006
39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55 (55): 5-14, 2000
40 Moskowitz, J. T., "Positive Affect in the Midst of Distress: Implications for Role Functioning" 22 (22): 502-518, 2012
41 Masten, A. S., "Ordinary Magic-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56 (56): 227-238, 2001
42 Cohn, M. A., "Happiness Unpacked: Positive Emotions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Building Resilience" 9 (9): 361-368, 2009
43 Seligman, M. E. P.,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2" 3-12, 2002
44 Isen, A. M.,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5 Fredrickson, B. L., "Extracting Meaning from Past Affective Experiences: The Importance of Peaks, Ends, and Specific Emotions" 14 : 577-606, 2000
46 Greenberg, L. S.,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Feeling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47 Shaver, P., "Emotion Knowledge: Further Exploration of a Prototype Approach" 52 : 1061-1086, 1987
48 Watson,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54 (54): 1063-1070, 1988
49 Avey, J. B., "Can Positive Employees Help Positive Organizational Chang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Emotions on Relevant Attitudes and Behaviors" 44 (44): 48-70, 2008
대규모점포 영업시간규제에 의한 고용변화 분석-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성격특성과 심리적 긴장수준이 직무적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분석
간호학생을 위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호스피스간호교육의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46 | 0.558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