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입체 영상을 이용한 미디어 아트 기법 연구 = The Stereoscopic techniques for Media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69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술작품에서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시도는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원근법등의 단안시적 요소들이 적용된 미술작품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단안시적 요소는 후천적인 경험에 의하여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인간의 두 눈의 위상차로부터 발생하는 양안시적 요소는 뇌로부터 공간감을 느끼게 한다. 양안시차를 적용하여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 및 장비들이 개발됨에 따라 영화 및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입체영상 기술은 미디어아트에도 적용되어 작가에게는 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표현의 확장을 가져왔으며, 관객들도 작품으로부터 입체감과 같은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아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입체 영상 기술과 미디어아트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입체영상기술이 다양한 분야로 융합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미술작품에서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시도는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원근법등의 단안시적 요소들이 적용된 미술작품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단안시적 요소는 후천적인 경험에 의하여 공...

      미술작품에서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시도는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원근법등의 단안시적 요소들이 적용된 미술작품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단안시적 요소는 후천적인 경험에 의하여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인간의 두 눈의 위상차로부터 발생하는 양안시적 요소는 뇌로부터 공간감을 느끼게 한다. 양안시차를 적용하여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 및 장비들이 개발됨에 따라 영화 및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입체영상 기술은 미디어아트에도 적용되어 작가에게는 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표현의 확장을 가져왔으며, 관객들도 작품으로부터 입체감과 같은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아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입체 영상 기술과 미디어아트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입체영상기술이 다양한 분야로 융합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presentation of space had been tried in the art for a long time. There are monocular and binocular visions to express a sense of space. The monocular vision is obtained by acquired experience and traditional artworks used monocular factors such as linear perspective to display in the image plane. The binocular vision uses the binocular disparity that make a sense of space from brain. A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quipments to transfer the binocular disparity, the technology has been used in film and broadcasting. The stereoscopic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media art and brings the expansion of the expression to represent a space for artists. The audience is able to experience new feelings such as spatial artwork. In this paper, stereoscopic technology is studied in the arts by investigating stereoscopic techniques and media artworks.
      번역하기

      The representation of space had been tried in the art for a long time. There are monocular and binocular visions to express a sense of space. The monocular vision is obtained by acquired experience and traditional artworks used monocular factors such ...

      The representation of space had been tried in the art for a long time. There are monocular and binocular visions to express a sense of space. The monocular vision is obtained by acquired experience and traditional artworks used monocular factors such as linear perspective to display in the image plane. The binocular vision uses the binocular disparity that make a sense of space from brain. A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quipments to transfer the binocular disparity, the technology has been used in film and broadcasting. The stereoscopic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media art and brings the expansion of the expression to represent a space for artists. The audience is able to experience new feelings such as spatial artwork. In this paper, stereoscopic technology is studied in the arts by investigating stereoscopic techniques and media artwor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은영, "입체영상제작 파이프라인 구축방향 -영화 아바타의 제작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59-167, 2010

      2 임양미, "입체영상의 점진적 공간감 유도 연출을 위한 3차원 공간 연출 표현 분석 - 양안시 요인과 단안시 요인 활용을 기반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643-652, 2013

      3 Y. Kim, "User interface of interactive media art in a stereoscopic environment" 219-227, 2013

      4 E. Stavrakis, "Computer generated stereoscopic artwork" 2005

      1 최은영, "입체영상제작 파이프라인 구축방향 -영화 아바타의 제작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0 (10): 159-167, 2010

      2 임양미, "입체영상의 점진적 공간감 유도 연출을 위한 3차원 공간 연출 표현 분석 - 양안시 요인과 단안시 요인 활용을 기반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643-652, 2013

      3 Y. Kim, "User interface of interactive media art in a stereoscopic environment" 219-227, 2013

      4 E. Stavrakis, "Computer generated stereoscopic artwork"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2 0 0.32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