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roTaper의 세가지 사용방식에 따른 성형능역 비교 = A COMPARISON OF SHAPING ABILITY OF THE THREE ProTaper INSTRUMENTATION TECHNIQUES IN SIMULATED CAN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66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만곡이 삼한 근관에서 ProTaper(R)를 수동으로 사용하는 방법, 엔진 구동으로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치관부는 엔진 구동으로 치근단부는 수동으로 사용하는 세 가지 방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만곡이 삼한 근관에서 ProTaper(R)를 수동으로 사용하는 방법, 엔진 구동으로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치관부는 엔진 구동으로 치근단부는 수동으로 사용하는 세 가지 방법의 근관 성형 능력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근관 길이가 170mm이고 근관 입구에서 10mm 떨어진 부위에서 만곡이 시작되며 평균 40도의 단일 만곡을 가지는 투명한 레진 블락 30개를 사용하였다. 각 군당 10개의 레진 블락을 사용하였으며, 수동형 ProTaper(R)로 전체근관을 성형한 군형 M군, 엔진 구동형 ProTaper(R)로 전체근관을 성형한 군을 R군, 근단부는 수동형 ProTaper(R)를, 치관부는 엔진 구동형 ProTaper(R)를 사용하여 성형한 군을 H군으로 하였다.
      각각의 블락을 성형하고 각 군별 근관 성형시간을 기록하였다. 근관 성형전과 후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근단공으로부터의 수직 이동 거리 1, 2, 3, 4, 5 그리고 6 mm 위치에서 수평선을 긋고 총 근관폭경, 근관 만곡 내외측 삭제량, 근관의 변위, 중심 이동률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근관 성형시간은 R군, H군, M군 순으로 짧았고, 세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2. R군이 전체적으로 삭제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1, 3 mm를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었다(p > 0.05).
      3. 만곡내측 삭제량에 있어서는 1 mm 지점에서는 R군이, 6 mm 지점에서는 H군이 컸지만 (p < 0.05), 나머지 지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만곡외측 삭제량은 1 mm 지점에서만 R군이 컸다 (p > 0.05).
      4. H군, R군은 1, 2, 3 mm 지점, M군은 1, 2 mm 지점에서 만곡외측으로의 변위를 보였고, 그 외의 지점에서는 내측변위를 보였다. 각 군 간의 변위차이는 6 mm 지점에서 H군이 컸다(p < 0.05).
      5. 근관의 중심 이동률은 6 mm 지점에서 H군이 R군에 비해 유의하게 컸지만 다른 모든 위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 < 0.05).
      본 실험결과를 토대로 할 때, 각 평가 항목에서 측정 위치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었으나, 중심 이동률은 대부분의 위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만곡 근관을 성형시에는 세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이 더 유용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aping ability of the three ProTaper instrumentation techniques in simulated canals. Thirty resin block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10 canals each. Each group was instrumented with manual ProTaper (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aping ability of the three ProTaper instrumentation techniques in simulated canals.
      Thirty resin block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10 canals each. Each group was instrumented with manual ProTaper (Group M), rotary ProTaper (Group R), and hybrid technique (Group H). Canal preparation time was recorded. The images of pre- and post-instrumented root canals were scanned and superimposed. The amounts of canal deviation, total canal width, inner canal width, outer canal width and centering ratio were measured at apical 1, 2, 3, 4, 5 and 6 mm levels.
      1. Canal preparation time was the shortest in R group (p <0.05).
      2. The amounts of total canal width in R group was generally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except at the 1, 3 mm levels (p ) 0.05).
      3. The amounts of inner canal width in R group was larger than M group at the 1 mm level and H group was larger than R group at the 6 mm level (p < 0.05). The amounts of outer canal width in R group was larger than H group only at the 1 mm level (p <0.05).
      4. The direction of canal deviation in H, R group at the 1, 2, 3 mm levels was outward and that in M group at the I, 2 mm levels was inward. The amounts of canal deviation in H group was larger than R group at the 6 mm level (p <0.05).
      5. The amounts of centering ratio in H group was larger than R group at the 6 mm level (p <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