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실태조사를 통한 어린이도서관의 계획요소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5045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건축공학과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49.3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Evaluation of the Planning Items of Children’s Libraries through Field Surveys

      • 형태사항

        ix,82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한찬훈
        참고문헌 : p.80-81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338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children are losing their designations.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approach friendly to library as a space of education and daily living space for reading, play, culture, and resting from childhood. For this,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for offering better children's library environment and space.
      In this study, four children' libraries are chosen, as they are exclusively for children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After selecting them, their architectural spaces were figured out,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by observing users, interviews with them, and survey for their satisfaction.
      Children's library should be space for acquiring knowledge as it plays a role for reading activities and offers various cultures and information to children, that for social activities, and that for offering regularly and continuously the best environment and diverse children's complex culture programs, motivating them to create their own culture. That is, children's library is located in the center of children's culture as a space of children's complex culture.
      The previous literature on children's library shows the following spatial characteristics.
      First, children's library should have various and creative spaces.
      Second, children's library should consist of seating space.
      Third, it should secure indoor convenience.
      Fourth, it should have sufficient space for its own programs.
      Fifth, it should equip spaces for parents or caregivers and for resting.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brary, the case studies of children's library were investigated, analyzed, evaluated, and synthesized, and the following factors for architectural planning could be drawn,
      First, priority in arrangement of reading space
      Second, connecting seating spaces.
      Third, arrangement of planar multi-user rooms.
      Fourth, multiple-use of resting place.
      Fifth, convenient indoor environment
      In addition, children' libraries play a role for a space of children's complex culture and requires free arrangement of reading rooms for various and creative reading space, careful consideration for convenient indoor environment, and diversities of forms, materials, and designs in furniture used there.
      In conclusion, based on the case studies, and users' evaluation, some of architectural planning factors in spati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planning to build a children's library are suggested.
      First, reading rooms of children's library should be prepared for reading space in priority compared to bookshelves, in order to make children read creatively and freely.
      Second, reading space of children's library should equip noise-free toddlers' reading space and conversation room.
      Third, special activity space should be arranged with large planar multi-use rooms for lectures and experience activities, and club rooms for small activities.
      Fourth, there should be noise-free and multi-use resting room within library, with spatial consideration for parents or caregivers.
      Fifth, as floor of children's library is used by children for their seating and laying down,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appropriate floor heating and materials available for children's seating activities, and to connect each space as seating one.
      Sixth, children's library should convenient indoor environment. In particular, it should be available for sufficient natural ventilation and lighting with architectural consideration for noise.
      번역하기

      Nowadays children are losing their designations.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approach friendly to library as a space of education and daily living space for reading, play, culture, and resting from childhood. For this,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fo...

      Nowadays children are losing their designations.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approach friendly to library as a space of education and daily living space for reading, play, culture, and resting from childhood. For this,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for offering better children's library environment and space.
      In this study, four children' libraries are chosen, as they are exclusively for children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After selecting them, their architectural spaces were figured out,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by observing users, interviews with them, and survey for their satisfaction.
      Children's library should be space for acquiring knowledge as it plays a role for reading activities and offers various cultures and information to children, that for social activities, and that for offering regularly and continuously the best environment and diverse children's complex culture programs, motivating them to create their own culture. That is, children's library is located in the center of children's culture as a space of children's complex culture.
      The previous literature on children's library shows the following spatial characteristics.
      First, children's library should have various and creative spaces.
      Second, children's library should consist of seating space.
      Third, it should secure indoor convenience.
      Fourth, it should have sufficient space for its own programs.
      Fifth, it should equip spaces for parents or caregivers and for resting.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brary, the case studies of children's library were investigated, analyzed, evaluated, and synthesized, and the following factors for architectural planning could be drawn,
      First, priority in arrangement of reading space
      Second, connecting seating spaces.
      Third, arrangement of planar multi-user rooms.
      Fourth, multiple-use of resting place.
      Fifth, convenient indoor environment
      In addition, children' libraries play a role for a space of children's complex culture and requires free arrangement of reading rooms for various and creative reading space, careful consideration for convenient indoor environment, and diversities of forms, materials, and designs in furniture used there.
      In conclusion, based on the case studies, and users' evaluation, some of architectural planning factors in spati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planning to build a children's library are suggested.
      First, reading rooms of children's library should be prepared for reading space in priority compared to bookshelves, in order to make children read creatively and freely.
      Second, reading space of children's library should equip noise-free toddlers' reading space and conversation room.
      Third, special activity space should be arranged with large planar multi-use rooms for lectures and experience activities, and club rooms for small activities.
      Fourth, there should be noise-free and multi-use resting room within library, with spatial consideration for parents or caregivers.
      Fifth, as floor of children's library is used by children for their seating and laying down,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appropriate floor heating and materials available for children's seating activities, and to connect each space as seating one.
      Sixth, children's library should convenient indoor environment. In particular, it should be available for sufficient natural ventilation and lighting with architectural consideration for noi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요즈음 어린이들은 갈 곳을 잃어가고 있다. 그들에게 어린 시절부터 도서관을 교육의 장으로, 독서와 놀이와 문화와 휴식을 접하는 생활 밀착 공간으로 친근하게 접근 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하여 더 좋은 어린이도서관 환경과 공간 구성을 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 전용 도서관으로 가장 분포도가 많은 면적의 어린이도서관중 4개를 선정하여 건축공간을 파악하고 이용자 관찰과 인터뷰 및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독서 활동의 공간으로서 역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에게 다양한 문화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식 습들의 공간이고, 사회활동의 장소이며 어린이에게 최고의 환경과 다양한 어린이 복합문화 프로그램을 상시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공간이다. 즉 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 복합문화의 공간으로 어린이문화의 중심에 있다.
      선행연구된 어린이도서관의 공간 특성 요소를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도서관의 공간은 다양하고 창조적 공간이어야 한다.
      둘째, 어린이도서관은 좌식공간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셋째, 실내환경의 쾌적함을 확보하여야 한다.
      넷째, 프로그램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섯째, 보호자를 위한 공간과 휴식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이상의 어린이도서관의 공간 특성 요소를 통하여 사례의 어린이도서관을 조사하고 분석하고 평가해서 종합해 보면 건축 계획상 필요한 요소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열람공간의 우선 배치
      둘째, 좌식공간의 연결
      셋째, 평면형 다용도실 배치
      넷째, 휴게 공간의 다용도화
      다섯째, 쾌적한 실내환경
      또한, 설문을 통한 사용자 평가와 관리자 인터뷰를 통하여 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 복합문화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하고 창조적인 열람공간을 위한 자유로운 열람실의 배치와 쾌적한 실내환경을 위한 세심한 배려, 그리고 도서관의 가구는 형태, 재질, 디자인상 다양성을 특성으로 요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례조사와 사용자 평가를 통하여 어린이도서관의 건축 계획에 필요한 공간 특성상 건축 계획 요소를 몇 가지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어린이도서관 열람실은 어린이들의 창조적이고 자유로운 도서열람을 위하여 열람공간의 배치가 서가의 배치에 우선하여야 한다.
      둘째, 어린이도서관의 열람공간에는 소음이 차단된 유아용 열람공간과 이야기방이 별도로 배치되어야 한다.
      셋째, 특별활동공간에는 강연 및 체험활동이 가능한 대공간의 평면형 다용도실과 소규모의 활동이 가능한 동아리실의 배치가 필요하다.
      넷째, 어린이도서관 내에는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다용도의 휴게공간이 필요하며, 보호자를 위한 공간적 배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어린이도서관의 바닥은 어린이들이 앉기, 눕기 등의 행태가 발생하는 부분으로 어린이들의 좌식 활동이 가능하도록 바닥 난방과 바닥 재료가 적합하여야 하고, 각 공간은 좌식으로 연결이 필요하다.
      여섯째, 어린이도서관의 실내환경은 쾌적하여야 한다. 특히, 충분한 자연 환기와 채광이 가능해야 하고, 소음에 대한 건축적 고려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요즈음 어린이들은 갈 곳을 잃어가고 있다. 그들에게 어린 시절부터 도서관을 교육의 장으로, 독서와 놀이와 문화와 휴식을 접하는 생활 밀착 공간으로 친근하게 접근 할 수 있게 하여야 한...

      요즈음 어린이들은 갈 곳을 잃어가고 있다. 그들에게 어린 시절부터 도서관을 교육의 장으로, 독서와 놀이와 문화와 휴식을 접하는 생활 밀착 공간으로 친근하게 접근 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하여 더 좋은 어린이도서관 환경과 공간 구성을 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 전용 도서관으로 가장 분포도가 많은 면적의 어린이도서관중 4개를 선정하여 건축공간을 파악하고 이용자 관찰과 인터뷰 및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독서 활동의 공간으로서 역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에게 다양한 문화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식 습들의 공간이고, 사회활동의 장소이며 어린이에게 최고의 환경과 다양한 어린이 복합문화 프로그램을 상시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공간이다. 즉 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 복합문화의 공간으로 어린이문화의 중심에 있다.
      선행연구된 어린이도서관의 공간 특성 요소를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도서관의 공간은 다양하고 창조적 공간이어야 한다.
      둘째, 어린이도서관은 좌식공간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셋째, 실내환경의 쾌적함을 확보하여야 한다.
      넷째, 프로그램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섯째, 보호자를 위한 공간과 휴식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이상의 어린이도서관의 공간 특성 요소를 통하여 사례의 어린이도서관을 조사하고 분석하고 평가해서 종합해 보면 건축 계획상 필요한 요소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열람공간의 우선 배치
      둘째, 좌식공간의 연결
      셋째, 평면형 다용도실 배치
      넷째, 휴게 공간의 다용도화
      다섯째, 쾌적한 실내환경
      또한, 설문을 통한 사용자 평가와 관리자 인터뷰를 통하여 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 복합문화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하고 창조적인 열람공간을 위한 자유로운 열람실의 배치와 쾌적한 실내환경을 위한 세심한 배려, 그리고 도서관의 가구는 형태, 재질, 디자인상 다양성을 특성으로 요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례조사와 사용자 평가를 통하여 어린이도서관의 건축 계획에 필요한 공간 특성상 건축 계획 요소를 몇 가지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어린이도서관 열람실은 어린이들의 창조적이고 자유로운 도서열람을 위하여 열람공간의 배치가 서가의 배치에 우선하여야 한다.
      둘째, 어린이도서관의 열람공간에는 소음이 차단된 유아용 열람공간과 이야기방이 별도로 배치되어야 한다.
      셋째, 특별활동공간에는 강연 및 체험활동이 가능한 대공간의 평면형 다용도실과 소규모의 활동이 가능한 동아리실의 배치가 필요하다.
      넷째, 어린이도서관 내에는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다용도의 휴게공간이 필요하며, 보호자를 위한 공간적 배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어린이도서관의 바닥은 어린이들이 앉기, 눕기 등의 행태가 발생하는 부분으로 어린이들의 좌식 활동이 가능하도록 바닥 난방과 바닥 재료가 적합하여야 하고, 각 공간은 좌식으로 연결이 필요하다.
      여섯째, 어린이도서관의 실내환경은 쾌적하여야 한다. 특히, 충분한 자연 환기와 채광이 가능해야 하고, 소음에 대한 건축적 고려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3 연구수행 체계도 3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3 연구수행 체계도 3
      • Ⅱ. 어린이도서관의 특성 4
      • 2.1 어린이도서관의 역사 4
      • 2.2 어린이도서관의 개념 6
      • 2.2.1 어린이도서관의 개념 6
      • 2.2.2 어린이도서관의 기능 7
      • 2.3 어린이의 발달과 행태 특성 9
      • 2.3.1 어린이의 발달특성 9
      • 2.3.2 어린이의 행태 특성 12
      • 2.4 어린이도서관의 공간특성 18
      • 2.4.1 어린이도서관의 공간구성 18
      • 2.4.2 어린이도서관의 공간구성을 위한 요소 24
      • 2.4.3 어린이도서관의 공간특성 요소 25
      • Ⅲ. 어린이도서관의 사례분석 28
      • 3.1 청주 기적의 도서관 29
      • 3.2 청주 신율봉 어린이도서관 36
      • 3.3 제천 기적의 도서관 43
      • 3.4 오산 햇살마루 도서관 51
      • 3.5 어린이도서관 조사결과 종합 분석 58
      • Ⅳ. 어린이도서관의 사용자 평가 61
      • 4.1 사용자 설문조사 61
      • 4.2 설문조사 결과 분석 62
      • 4.3 관리자 인터뷰 조사 결과 69
      • 4.4 종합 분석 결과 75
      • Ⅴ. 결 론 78
      • 참고문헌 80
      • 부록 1. 설문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