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과 프랑스 방송 뉴스 텍스트는 이슬람에 대한 어떤 담론을 형성하는가? 한국과 프랑스 방송 뉴스는 파리 테러를 통해 이슬람에 대한 어떤 표상적 관습을 실천하는가? 라는 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38926
2017
Korean
국제뉴스 ; 방송뉴스 ; 이슬람 ; 타자화 ; 서사구조 ; TV reporting ; Narrative structure ; Paris attack ; Islam ; Othering
KCI등재
학술저널
225-254(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프랑스 방송 뉴스 텍스트는 이슬람에 대한 어떤 담론을 형성하는가? 한국과 프랑스 방송 뉴스는 파리 테러를 통해 이슬람에 대한 어떤 표상적 관습을 실천하는가? 라는 2...
본 연구는, 한국과 프랑스 방송 뉴스 텍스트는 이슬람에 대한 어떤 담론을 형성하는가? 한국과 프랑스 방송 뉴스는 파리 테러를 통해 이슬람에 대한 어떤 표상적 관습을 실천하는가? 라는 2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2015년 11월 13일 발생한 파리 테러를 보도하는 KBS 뉴스9(9시 뉴스)와 프랑스 TF1 Le 20H(8시 뉴스)의 이슬람 재현 방식을 비교했다. 먼저 앵커 멘트, 기자 발화, 자막 처리에 따른 언어표현과 편집, 자료화면 구성과 같은 영상표현에 대한 분석을 수행했다. 자막 처리된 영상을 하나의 숏으로 선정하여 텍스트가 이슬람 관련 이미지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과 그에 따른 맥락화를 살펴본 결과, KBS 뉴스9는 사건 중심의 분절된 뉴스 소재와 제한된 정보원으로 테러에 대한 공포를 극대화하고 IS와 이슬람을 동일시하였다. 반면 TF1 Le 20H는 사건에 대한 다각적 접근을 위해 정보원의 다양성을 추구하였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연대의식을 강조하며 이슬람이란 단어 사용을 절제하였다. 그러나 한국과 프랑스 방송 뉴스 모두 파리 테러의 근본적인 원인을 진단하기보다는 피상적인 사건보도에만 집중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media coverage of Paris attack on 13 November 2015 comparing TV news reporting on KBS <News 9> of Korea and TF1 <Le 20H> of France to better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how the media offers the imagery of the Islamic...
This study focused on media coverage of Paris attack on 13 November 2015 comparing TV news reporting on KBS <News 9> of Korea and TF1 <Le 20H> of France to better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how the media offers the imagery of the Islamic world. In order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Islam, news reporting for one week — from 14th to 20th Nov. 2015 — was analyzed based on linguistic representation and pictural representation. As a result, the findings have differences between KBS and TF1. In case of KBS, it portrays the fractured news items and sources focusing on attack as an accident, which lead to maximize a fear of uncertainty with identifying IS as the representative of whole Islam. On the other hand, TF1 utilizes the multifaceted approach with various sources to stress solidity within French society. Despite its differences, both news coverages do not delve into the fundamental factors that has caused Paris attack. In this sense, this study paves the way to embrace others, particularly Islam to unify multi-cultural society with employing balanced news report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재영, "한미 언론의 노근리사건 보도 비교 연구 - 취재원 사용의 차이와 그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30 : 239-273, 2005
2 이준웅, "한국형 방송 뉴스 도식의 발견: 뉴스의 내용적이며 구성적 특성과 뉴스 제작 시스템" 한국방송학회 18 (18): 232-292, 2004
3 김수완, "한국인의 아랍, 이슬람 이미지 및 관련 언론보도 인식연구" 한국중동학회 37 (37): 193-213, 2016
4 오대영, "한국신문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 연구: 뉴스주제, 보도량, 보도태도, 미디어 정보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1 (61): 74-97, 2013
5 신유리, "한국 뉴스에서의 타자화: ‘이주민’ 관련 기사의 비판적 담화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20 (20): 169-194, 2013
6 김승민, "프랑스의 이슬람포비아 확산 원인" 한국세계지역학회 31 (31): 195-223, 2013
7 이상길, "프랑스방송 : 구조·정책·프로그램" 한나래 2004
8 이상훈, "프랑스 공영방송의 민영화와 방송구조 개편: 프랑스 TF1 민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진흥회 10 (10): 109-160, 2009
9 김성모, "파리 테러와 프랑스 언론" 39-44, 2015
10 황인성, "텔레비전의 미,이라크 전쟁 보도와 미국식 오리엔탈리즘: KBS 텔레비전 뉴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144-167, 2004
1 차재영, "한미 언론의 노근리사건 보도 비교 연구 - 취재원 사용의 차이와 그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30 : 239-273, 2005
2 이준웅, "한국형 방송 뉴스 도식의 발견: 뉴스의 내용적이며 구성적 특성과 뉴스 제작 시스템" 한국방송학회 18 (18): 232-292, 2004
3 김수완, "한국인의 아랍, 이슬람 이미지 및 관련 언론보도 인식연구" 한국중동학회 37 (37): 193-213, 2016
4 오대영, "한국신문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 연구: 뉴스주제, 보도량, 보도태도, 미디어 정보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1 (61): 74-97, 2013
5 신유리, "한국 뉴스에서의 타자화: ‘이주민’ 관련 기사의 비판적 담화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20 (20): 169-194, 2013
6 김승민, "프랑스의 이슬람포비아 확산 원인" 한국세계지역학회 31 (31): 195-223, 2013
7 이상길, "프랑스방송 : 구조·정책·프로그램" 한나래 2004
8 이상훈, "프랑스 공영방송의 민영화와 방송구조 개편: 프랑스 TF1 민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진흥회 10 (10): 109-160, 2009
9 김성모, "파리 테러와 프랑스 언론" 39-44, 2015
10 황인성, "텔레비전의 미,이라크 전쟁 보도와 미국식 오리엔탈리즘: KBS 텔레비전 뉴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144-167, 2004
11 이종수, "텔레비전 뉴스영상 구성 : 한국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이미지와언어적 텍스트의 연관성 분석" 2 : 219-252, 1999
12 박종구, "언론보도에 따른 이태원관광특구 이슬람음식의 사회적 거리감" 한국관광학회 36 (36): 11-30, 2012
13 박단, "시리아 난민, 파리 테러 그리고 프랑스 - 파리 테러의 내적 배경을 중심으로 -" 국제지역문화원 7 (7): 1-29, 2016
14 Amossy, R., "상투어 : 언어 담론 사회" 동문선 2001
15 박관규, "불편한 시선, 불안한 공존… 한국에 무슬림 20만 - 한국의무슬림은 요즘… 이슬람 문화 속속 상륙"
16 안혜정, "‘샤를리에브도’ 사태에 대한 프랑스, 미국, 한국 언론보도의 의미망 비교 분석" 한국하이데거학회 (42) : 239-276, 2016
17 Pew research center’s forum on religion & life, "The future of the global muslim population"
18 백선기, "TV보도 영상의 서사구조과 의미구조: '9ㆍ11 참사' 보도의 영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20 : 57-109, 2003
19 백선기, "TV 뉴스 영상 재현의 의미구조 및 이데올로기 구조- KBS 9시 뉴스의 이라크전 보도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2 (2): 101-145, 2004
20 Dudziak, M. L., "September 11 in history : A watershed moment?" Duke University Press 2003
21 Pew research center’s forum on religion & life, "Pew Global Attitudes & Trends Question Database. “Tell me whether your opinion on Muslim is very favorable, mostly favorable, mostly unfavorable or very unfavorable?”"
22 Schwartz, F., "One more name for Islamic state: Daesh"
23 Saeed, A., "Media, racism and islamophobia : The representation of Islam and Muslims in the media" 1 (1): 443-462, 2007
24 Karim, H. K., "Journalism after september 11" Routledge 131-146, 2011
25 Zelizer, B., "Journalism after september 11" Routledge 55-74, 2011
26 Guénois, J. M., "Islam: une image dégradée en France et en Allemagne"
27 Irshaid, F., "Isis, Isil, IS or Daesh? One group, many names"
28 Bennett, T., "Culture, Society and the Media" Methuen 287-308, 1982
29 Said, E., "Covering Islam : how the media and the experts determine how we see the rest of the world" Vintage Books 1997
큐레이팅 뉴스 이용자가 견지하는 정치효능감이 뉴스 이용방식과 매체속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학 교양수업에서 교수자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 학생감정과 학습효과를 중심으로
PPL의 배치 유형과 수용자의 설득지식 수준이 상호작용하여 상품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선거 과정에서의 방송 미디어 역할 수행 방식 연구 : 방송 미디어의 정치-선거 보도 운영 특징과 심의 결과 및 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8-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한국소통학보 외국어명 : Speech & Communication ->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 한국소통학회 | ![]() |
2009-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21 | 1.511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