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藏書閣 所藏 內賜本의 書誌的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0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던 내사본 가운데 현재 장서각에 수장되어 있는 인본에 대한 판종 및 주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서각에 수장되어 있는 내사본은 120건이며, 금속활자본 47건, 목판본 44건, 목활자본 25건, 석인본 2건, 탁본 1건, 필사본 1건으로 조사되었다. 장서각 수장 내사본은 임진왜란 직후인 17세기 초반부터 조선말기인 20세기 초반까지의 인본이 전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던 내사본 가운데 현재 장서각에 수장되어 있는 인본에 대한 판종 및 주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서각에 수장되어 있는 내사본은 120건이며, 금속활자...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던 내사본 가운데 현재 장서각에 수장되어 있는 인본에 대한 판종 및 주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서각에 수장되어 있는 내사본은 120건이며, 금속활자본 47건, 목판본 44건, 목활자본 25건, 석인본 2건, 탁본 1건, 필사본 1건으로 조사되었다. 장서각 수장 내사본은 임진왜란 직후인 17세기 초반부터 조선말기인 20세기 초반까지의 인본이 전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njong(kinds of Plate) and subjects of Naesabon, preserved now in Jangseogak. We found that all of those books are 120 titles, include 47 titles printed by metal movable type, 44 titles printed by wood printing blocks, 25 titles printed by wood movable type, 2 lithographs, a rubbing and a manuscript. We also found that those books were published from early 17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njong(kinds of Plate) and subjects of Naesabon, preserved now in Jangseogak. We found that all of those books are 120 titles, include 47 titles printed by metal movable type, 44 titles printed by wood prin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njong(kinds of Plate) and subjects of Naesabon, preserved now in Jangseogak. We found that all of those books are 120 titles, include 47 titles printed by metal movable type, 44 titles printed by wood printing blocks, 25 titles printed by wood movable type, 2 lithographs, a rubbing and a manuscript. We also found that those books were published from early 17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緖論
      • 2. 藏書閣의 內賜本 現況
      • 2.1. 藏書閣 沿革
      • <초록>
      • 1. 緖論
      • 2. 藏書閣의 內賜本 現況
      • 2.1. 藏書閣 沿革
      • 2.2. 內賜本 現況
      • 3. 內賜本의 板種 分析
      • 3.1. 金屬活字本
      • 3.2. 木版本
      • 3.3. 木活字本
      • 3.4. 其他 板種
      • 4. 內賜本의 主題 分析
      • 4.1. 經部書籍
      • 4.2. 史部書籍
      • 4.3. 子部書籍
      • 4.4. 集部書籍
      • 5. 結論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역사정보종합시스템"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千惠鳳, "한국금속활자본" 범우사 1993

      4 신양선, "조선후기 서지사 연구" 혜안 1996

      5 "조선왕조실록"

      6 서울대학교 규장각, "정조, 그 시대와 문화"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7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 "장서각요람" 韓國學中央硏究院 2006

      8 "승정원일기"

      9 千惠鳳, "韓國書誌學" 민음사 1997

      10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의 歷史와 資料的 特性"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6

      1 "한국역사정보종합시스템"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千惠鳳, "한국금속활자본" 범우사 1993

      4 신양선, "조선후기 서지사 연구" 혜안 1996

      5 "조선왕조실록"

      6 서울대학교 규장각, "정조, 그 시대와 문화"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7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 "장서각요람" 韓國學中央硏究院 2006

      8 "승정원일기"

      9 千惠鳳, "韓國書誌學" 민음사 1997

      10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의 歷史와 資料的 特性"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6

      11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圖書韓國版總目錄"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12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圖書韓國版總目錄"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13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 "藏書閣圖書韓國本解題-詔令奏議類ㆍ職官類" 韓國學中央硏究院 2007

      14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閣"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1

      15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藏書目錄"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1

      16 김성수, "校書館의 機能과 組織 및 印刷活動 in: 조선시대 인쇄출판 기관의 변천과 발달" 淸州古印刷博物館 2008

      17 윤병태, "朝鮮後期의 活字와" 범우사 1992

      18 이완우, "『列聖御筆』의 摹刊과 廣布 in: 조선시대 인쇄출판 정책과 역사 발전" 淸州古印刷博物館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3-05-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