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당대(唐代) 돈황 막고굴(敦煌莫高窟)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에 대한 고찰 = Study on Tang Dynasty’s Gwangyeongbyeonsangdo (觀經變相圖) of Dunhuang Mogao Ca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04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돈황 막고굴(莫高窟)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는 당대(唐代)에 성행하여 오대(五代), 송대(宋代)에 이르기까지 그려졌다. 특히 당대에는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아미타경(阿彌...

      돈황 막고굴(莫高窟)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는 당대(唐代)에 성행하여 오대(五代), 송대(宋代)에 이르기까지 그려졌다. 특히 당대에는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아미타경(阿彌陀經)』 등의 정토경전(淨土經典) 유형이 많이 그려졌다. 『관경(觀經)』에 관한 경변(經變)은 주로 굴(窟)의 남벽에 그려졌는데 구도의 배치는 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서방정토(西方淨土)의 정경을 묘사한 ‘정토변(淨土變) 형식’, 외연부를 생략하고 정토 장면만 묘사한 ‘간략화된 형식’ 등이 있다.
      이를 『관무량수경』 경문과 함께 분석 검토한 결과, 커다란 구품연지(蓮池)는 언제나 하단 중앙에 자리하고 있으며, ‘아미타극락회’와 ‘관경의 16관’ 등의 장소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각 品(상황)을 독립적으로 나누어 표현하고 있으나 상호 조화와 균형을 이루면서 정체감(正體感, identity)을 주고 있다. 그 표현의 면면을 살펴보면 부처나 보살은 풍만(豐潤)하고, 원만(渾圓)하며 서역의 음영법이 늦게까지 나타나고 있다. 필선(線條)은 활발하면서도 유연하고 색채는 화려(富麗)한 서역 요소와 함께 중국 전통의 운염법이 가미되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초·성당기 제217굴이나 제220굴, 제320굴 등의 벽화에서 그 절정을 이루고 중당대인 토번 점령에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하고 만당기에는 제156굴·제16굴·제17굴·제196굴 등에 서 볼 수 있듯이 거칠고 형식화된 그림으로 흘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The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 > in Mogao Caves in Dunhuang (莫高窟) were prevalent in the Tang Dynasty (唐代) and were drawn until the Song Dynasty (宋代) during five successive reigns (五代). Especially in the Tang Dyna...

      < The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 > in Mogao Caves in Dunhuang (莫高窟) were prevalent in the Tang Dynasty (唐代) and were drawn until the Song Dynasty (宋代) during five successive reigns (五代). Especially in the Tang Dynasty (唐), many types of pure land scriptures (淨土經典) including 『The Amitayurdhyana Sutra (觀無量壽經)』 and 『The Amitabha Buddha Sutra (阿彌陀經)』 were drawn. Illustrations (經變) about 『the Paradise of Amitabha (觀經)』 were usually drawn on the southern wall of the caves and the arrangement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caves. There were ‘the pure land painting (淨土變) style’ to draw situations of Western pure land (西方淨土), and 'the simplified style' to describe only pure land scenes without any external parts.
      The result which analyzed and examined < The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 > with the Buddhist scriptures of 『The Amitayurdhyana Sutra』 could be found that the nine grades of large ponds (蓮池) are always located in the center at the bottom and places of the Pure Land of Utmost Bliss of Amitabha Buddha’ and ‘16 paintings of the paradise’ were reconfirmed. Each situation (品) is independently divided and expressed, but they have identity harmonizing with one another and achieving a balance. These murals have the parts which cannot be decoded because of their serious wear and tear, but they can be found to try to be eloquent of situations of the Pure Land of the Utmost Bliss (極樂世界) of Amitabha Buddha (阿彌陀淨土) described in the scriptures with paintings.
      Examining various sides of the expressions, Buddha or bodhisattva have chubby and shiny (豐潤) faces and curved (渾圓) bodies and Western shading remained on them. The lines (線條) are active and flexible and the colors include Chinese traditional dyeing method with externally splendid (富麗) Western elements. This tendency reached a climax in the murals of the 217th, 220th, 320th caves in the early Tang Dynasty, gradually declined as Tibetan people occupied in the mid Tang Dynasty, and turned into the tough and formalized paintings as shown in the paintings in the 156th, 16th, 17th, and 196th caves in the late Tang Dynas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인환, "한국정토사상연구" 동국대출판부 1985

      2 유마리, "중국 돈황 막고굴(17)굴 발견의 관경변상도 [빠리기메(Guimet동양박물관장(藏〕)와 한국 관경변상도(일본서복사장(藏))의 비교 고찰 : 관경변상도의 연구(1)"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992

      3 한보광, "정토삼부경" 민족사 2002

      4 장휘옥, "정토불교의 세계" 불교시대사 1996

      5 유마리, "아미타불화의 연구" 문화재청 2013

      6 김혜원, "실크로드에서 온 천불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중앙아시아벽화" 주자소 2006

      7 문명대, "실크로드 석굴" 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8 김영미, "신라의 아미타신앙, in 서방극락정토를 향한 염원동아시아 아미타신앙과 도상전개" 2016

      9 Seckel, Dietrich, "불교미술" 도서출판 예경 2002

      10 김원용, "벽화" 동화출판공사 1974

      1 채인환, "한국정토사상연구" 동국대출판부 1985

      2 유마리, "중국 돈황 막고굴(17)굴 발견의 관경변상도 [빠리기메(Guimet동양박물관장(藏〕)와 한국 관경변상도(일본서복사장(藏))의 비교 고찰 : 관경변상도의 연구(1)" 한국불교미술사학회 1992

      3 한보광, "정토삼부경" 민족사 2002

      4 장휘옥, "정토불교의 세계" 불교시대사 1996

      5 유마리, "아미타불화의 연구" 문화재청 2013

      6 김혜원, "실크로드에서 온 천불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중앙아시아벽화" 주자소 2006

      7 문명대, "실크로드 석굴" 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8 김영미, "신라의 아미타신앙, in 서방극락정토를 향한 염원동아시아 아미타신앙과 도상전개" 2016

      9 Seckel, Dietrich, "불교미술" 도서출판 예경 2002

      10 김원용, "벽화" 동화출판공사 1974

      11 김혜원, "둔황 막고굴 제220굴〈서방정토변>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9) : 28-53, 2010

      12 돈황학센터, "돈황학대사전" 소명출판사 2016

      13 박도화, "돈황석굴" 개마고원 1999

      14 敦煌硏究院, "돈황(The) art of Dunhuang" 범우사 2001

      15 박세욱, "돈황 이야기" 연암서가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2008

      16 권영필, "돈황" 예경출판사 1995

      17 주수완, "대승설법도상의 연구 : '관경변상'과 '영산불회' 도상의 기원과 전파"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8 이승희, "고려후기 정토불교회화의 연구 : 천태·화엄신앙의 요소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19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불화대전 :700년 만의 해후" 국립중앙박물관 2010

      20 홍윤식, "高麗佛畵의 主題와 그 歷史的 意味"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180) : 1997

      21 文明大, "韓國의 佛畵" 悅話堂 1979

      22 문명대, "韓國佛像의 佛身姿勢에 대한 試論" 국립문화재연구소 (12) : 1979

      23 朱惠蓮, "迦陵頻伽紋의 一考察" 이화사학연구소 13・14합 : 1983

      24 "觀無量壽經, T 12, No. 365 ; T 12, No. 366"

      25 畺良耶舍, "觀無量壽佛經, T 365"

      26 왕혜민, "西方净土变形式的形成过程与完成时间" 동양미술사학회 2 : 5-31, 2013

      27 敦煌文物硏究所, "莫高窟第二二O窟新發見的覆壁壁畵" 文物出版社 1978

      28 文明大, "石窟庵佛像彫刻의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8

      29 菩提流支, "無量壽如來會, T363"

      30 塚本善隆, "淨土變史槪說" 每日新聞社 26 : 1955

      31 山本興二, "淨土敎繪" 國立京都博物館 1975

      32 坪井俊映, "淨土三部經槪說" 운주사 1995

      33 김혜원, "此岸과 彼岸의 만남: 敦煌 莫高窟의 <西方淨土變>에 보이는 건축표현에 대한 一考" 미술사연구회 (22) : 27-54, 2008

      34 谷口銍雄, "校本歷代名畵記" 中央公論美術出版社. 1983

      35 민병훈, "東西文化의 交流" 민족문화사 1991

      36 "曇鸞傳"

      37 안계현, "新羅淨土思想史硏究" 玄音社 1987

      38 趙聲良, "敦煌藝術十講" 上海古籍出版社 2007

      39 敦煌文物硏究所, "敦煌莫高窟內容總錄" 文物出版社 1982

      40 賀世哲, "敦煌莫高窟供養人題記校勘" 中國社會科學院歷史硏究所 1980

      41 敦煌文物硏究所, "敦煌莫高窟供養人題記" 文物出版社 1986

      42 大西磨希子, "敦煌莫高窟の西方淨土變に描かれた『觀無量壽經』モテイ-フ" 83 : 2002

      43 大西磨希子, "敦煌莫高窟の西方淨土變に描かれた 『觀無量壽經』モテイ-フ" 南都仏教研究会 83 : 2002

      44 鄭炳林, "敦煌碑銘贊輯釋" 甘肅敎育出版社 1992

      45 賀世哲, "敦煌石窟論稿" 甘肅教育出版社 2000

      46 松本榮一, "敦煌畵の硏究" 同朋社 1975

      47 敦煌文物硏究所, "敦煌彩塑" 文物出版社 1978

      48 敦煌文物硏究所, "敦煌彩塑" 文物出版社 1960

      49 榮新江, "敦煌學十八講" 北京大學出版社 2001

      50 秋山光和, "敦煌壁畵硏究の新재料" 佛敎藝術學會 (100) : 1975

      51 敦煌文物硏究所, "敦煌壁畫" 文物出版社 1959

      52 菊池英夫, "敦煌の歷史" 大東出版社 1983

      53 김선희, "敦煌 莫高窟과 韓國 華嚴經變相圖의 比較 硏究" 동국대학교 2015

      54 장희정, "敦煌 莫高窟 제217굴 남벽 벽화의 繪畵性" 동악미술사학회 (17) : 199-230, 2015

      55 松原三朗, "國華, 第55編 第4冊" 武田晉 1946

      56 權德輿, "唐朝. 姊妹计划: 百科·数据项. 目录, No.3682-3683, 3993"

      57 藤堂恭後, "北魏佛敎の硏究" 平樂寺書店 1978

      58 大西磨希子, "初唐期の西方淨土變と『觀無量壽經』-敦煌莫高窟の作例 てがかりに" 273 : 2004

      59 大西磨希子, "初唐期の西方浄土変と『感無量寿経』:敦煌莫高窟の作例をてがかりに" 南都仏教研究会 273 : 2004

      60 池田溫, "八世期における敦煌の氏族" 東京大學東洋史硏究會 24 (24): 1965

      61 權德輿, "全唐文新編 6" 吉林文史出版社 2000

      62 塚本善隆, "佛教文化研究 5" 佛教文化研究所 1955

      63 塚本善隆, "佛敎思想 8, 不安と欣求:中國淨土" 角川書店 1968

      64 望月信亭, "佛敎史の諸硏究" 望月佛敎硏究所 1937

      65 石田瑞麿, "中國의 淨土思想" 平樂寺書店 1967

      66 "中國石窟, Vol 4"

      67 "中國敦煌莫高窟, 3・4권" 平凡社 1987

      68 정순일, "中國佛敎의 思想" 민족사 1989

      69 "『阿彌陀經』 T 卷12, No. 366, 346c"

      70 道宣, "『續高僧傳』T 2070"

      71 康僧鎧, "『無量壽經, T 360, 366"

      72 "『歷代名畵記』 卷3"

      73 "『望月佛敎大辭典』 卷1"

      74 "『全唐文新編』 卷7, No, 4343 ; 卷9, No. 5852"

      75 周紹良總, "『全唐文新編』 卷6-9" 吉林文史出版社 2000

      76 段文傑, "『中國石窟: 敦煌莫高窟』 第3卷" 平凡社 1983

      77 "『中國石窟-敦煌莫高窟』 全5" 文物出版社, 平丹社 1987

      78 段文傑, "『中國石窟 敦煌莫高窟』 第3卷" 平凡社 1983

      79 世平·羅·如常, "『世界佛敎美术 图说大典』 石窟 4" 湖南美術出版社 2017

      80 Robert Jera-Bezard Maillard, "Un Paradis d´Amitabha de Collection Aurel Stein conserve au muse National de New Delhi" XXXII : 1976

      81 Aurel Stein, "The Thousand Buddhas" BErnard Quaritch 1921

      82 "T 新脩大藏經"

      83 Mission Pelliot, "Les Grottes de Touen-Houang, 6 vols" Librairie Paul Geuthner 1920

      84 Nicolas-Vandier, "Bannires et peintures de Touen-Houang conserves au Muse Guimet, XIV" Catalogue descriptif 1974

      85 Ning Qiang, "Art, Religion, and Politics in Medieval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4

      86 Ning Qiang, "Art, Religion and Politics: Dunhuang Cave 220" Harvard University 1997

      87 Roderick Whitfeld, "Art of Central Asia in the British Museum, 3vols" Kodansha 1985

      88 Alexander Soper, "A Vacation Glimpse of the T’ang Temples of Ch’ang-an" 1960

      89 敦煌文物硏究所, "(中國石窟) 敦煌莫高窟 3" 文物出版社; 平凡社, 敦煌硏究院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Society for Indian Philosoph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 1.2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