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및 우울 간의 관계 =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19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 54명을 대상으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이들의 상위정서철학 및 우울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의 수준과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정재은(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부부폭력 목격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척도는 Straus(1979)가 개발한 갈등관리·행동척도인 CTS(Conflict Tactics Scale)와 CTS2(Straus, Hamby, Boney-McCoy, & Sugarman, 1996)를 장덕희(2001)가 수정·보완한 후, 이를 다시 정재은(2015)이 수정·타당화 한 척도이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서 Radloff(1977)가 개발한 우울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2001)이 타당화 한 통합적 한국판 CES-D 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하여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이 개발한 ‘아동·청소년 상위정서인터뷰(CMEI: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를 남은영,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이후, 인터뷰를 평정하기 위해 Katz와 Windecker-Nelson(2004)의 아동 및 청소년 상위정서 코딩시스템(CAME: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을 남은영과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코딩시스템을 사용하여 녹음한 인터뷰 내용을 코딩·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우울,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청소년의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두 번째로 청소년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상위정서철학의 하위변인 중 정서조절능력이 낮았다. 다음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는 청소년이 정서를 덜 민감하게 인식하고, 정서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하위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이 부정적인 정서를 잘 표현할수록 정서회복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소년이 부정적인 정서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이해할수록 정서조절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둘째, 세 변인 간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졌다. 다음으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은 청소년이 가진 정서조절 능력에 대한 신념 및 가치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정적인 정서를 덜 민감하게 인식하고 정서를 잘 조절하는 청소년일수록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중 정서조절 능력에 영향을 줌으로써 정서조절 능력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이 나타났다. 이는 부모 간 폭력에 노출된 청소년이 가진 정서조절 능력에 대한 상위 인지적인 신념 및 가치관이 우울에 직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에게 심리·사회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정 내 폭력 중 우리나라에서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는 부모 간 폭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부모 간 폭력 관련 실천현장의 서비스에서 쉽게 소외될 수 있는 청소년에 중점을 두고,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의 기초자료 및 전반적인 인식 경향성을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인터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정서적 능력을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그들이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며, 조절하고 회복하는 능력에 대한 신념, 태도 및 가치관을 직접적으로 알아보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다. 즉, 청소년이 스스로 통제하거나 바꿀 수 없는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있더라도 현재 이들이 지닌 정서적 능력은 어느 정도 개입이 가능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이들의 정서조절능력을 고려한 심리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 54명을 대상으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이들의 상위정서철학 및 우울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부모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 54명을 대상으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이들의 상위정서철학 및 우울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의 수준과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정재은(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부부폭력 목격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척도는 Straus(1979)가 개발한 갈등관리·행동척도인 CTS(Conflict Tactics Scale)와 CTS2(Straus, Hamby, Boney-McCoy, & Sugarman, 1996)를 장덕희(2001)가 수정·보완한 후, 이를 다시 정재은(2015)이 수정·타당화 한 척도이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서 Radloff(1977)가 개발한 우울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2001)이 타당화 한 통합적 한국판 CES-D 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하여 Katz와 Windecker-Nelson(2002)이 개발한 ‘아동·청소년 상위정서인터뷰(CMEI: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를 남은영,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이후, 인터뷰를 평정하기 위해 Katz와 Windecker-Nelson(2004)의 아동 및 청소년 상위정서 코딩시스템(CAME: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을 남은영과 송수정(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코딩시스템을 사용하여 녹음한 인터뷰 내용을 코딩·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우울,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청소년의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두 번째로 청소년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상위정서철학의 하위변인 중 정서조절능력이 낮았다. 다음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는 청소년이 정서를 덜 민감하게 인식하고, 정서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하위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이 부정적인 정서를 잘 표현할수록 정서회복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소년이 부정적인 정서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이해할수록 정서조절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둘째, 세 변인 간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은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졌다. 다음으로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은 청소년이 가진 정서조절 능력에 대한 신념 및 가치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정적인 정서를 덜 민감하게 인식하고 정서를 잘 조절하는 청소년일수록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중 정서조절 능력에 영향을 줌으로써 정서조절 능력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이 나타났다. 이는 부모 간 폭력에 노출된 청소년이 가진 정서조절 능력에 대한 상위 인지적인 신념 및 가치관이 우울에 직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에게 심리·사회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정 내 폭력 중 우리나라에서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는 부모 간 폭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부모 간 폭력 관련 실천현장의 서비스에서 쉽게 소외될 수 있는 청소년에 중점을 두고,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의 기초자료 및 전반적인 인식 경향성을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인터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정서적 능력을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그들이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며, 조절하고 회복하는 능력에 대한 신념, 태도 및 가치관을 직접적으로 알아보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다. 즉, 청소년이 스스로 통제하거나 바꿀 수 없는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있더라도 현재 이들이 지닌 정서적 능력은 어느 정도 개입이 가능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이들의 정서조절능력을 고려한 심리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sample of 54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with first and second grad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In specific,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and trends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and the effect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on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Moreover,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on depression. Lastly,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their depression was examined.
      The following measure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 Witness of Interparental Violence Scale used in Jaeeun Jeong’s study was modified and used to measur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CTS(Conflict Tactics Scale)’and ‘CTS2(Conflict Tactics Scale 2) modified by Jaeeun Jeong after developed by Straus(1979)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Dukhee Jang(2001). Second, Integrated Korean version of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Radloff(1977) and later validated by Kyumkoo Chon et al(2001) was used to measure the depression. Third,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CMEI)’, which was develop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2002) and was adapted into the Korean language by Eunyoung Nahm and Soojung Song(2013) was used to measur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Moreover, in order to rate the interviews, we used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CAME)’ developed by Katz and Nelson(2004) as the rating standard.
      The following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First of all, as to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As to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there exis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emotion regulation among the meta-emotion philosophy’s sub-areas. As to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awareness and the level of depression. In addition, there exis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level of depression. Lastly, as to the relations among the sub-areas of the meta-emotion philosophy,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expressivity and emotional remediation. Moreover, their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this study exaimed how the three variables influenced each other. first of all, as to the effect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on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ffected the level of the depression. Next, as to the effect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on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it was found that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ffected the level of emotional regulation. Lastly, as to the effect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ir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emotional awareness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the depression. In addition, the emotional regul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level of the depress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depress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existed a complete mediation, wher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indirectly influences the level of the depression through its effect on the mediator. This shows that the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on reducing the level of the depression directl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parental violence that still remains as a problem awaiting solution and can cause a serious effect on child and adolescent both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adolescent who can be neglected in the service for the scene of interparental violence and then found the overall tendency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Second, this study examined adolescents’ emotional ability by using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interview. Specifically, we examined that adolescents’ belief, attitude, and value of their emotional awareness, expressivity, regulation and remediation.
      Las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indirectly influences depression through the emotional regulation. In other words, although adolescent has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we can intervene in their emotional ability. Therefor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of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ho experienced interparental violence, focusing on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order to prevent depression.
      번역하기

      Using the sample of 54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with first and second grad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In specif...

      Using the sample of 54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with first and second grad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In specific,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and trends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and the effect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on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Moreover,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on depression. Lastly,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their depression was examined.
      The following measure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 Witness of Interparental Violence Scale used in Jaeeun Jeong’s study was modified and used to measur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CTS(Conflict Tactics Scale)’and ‘CTS2(Conflict Tactics Scale 2) modified by Jaeeun Jeong after developed by Straus(1979)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Dukhee Jang(2001). Second, Integrated Korean version of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Radloff(1977) and later validated by Kyumkoo Chon et al(2001) was used to measure the depression. Third,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Interview(CMEI)’, which was developed by Katz and Windecker-Nelson(2002) and was adapted into the Korean language by Eunyoung Nahm and Soojung Song(2013) was used to measur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Moreover, in order to rate the interviews, we used ‘Child and 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CAME)’ developed by Katz and Nelson(2004) as the rating standard.
      The following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First of all, as to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As to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there exis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emotion regulation among the meta-emotion philosophy’s sub-areas. As to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and depression,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awareness and the level of depression. In addition, there exis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level of depression. Lastly, as to the relations among the sub-areas of the meta-emotion philosophy,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expressivity and emotional remediation. Moreover, their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this study exaimed how the three variables influenced each other. first of all, as to the effect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on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ffected the level of the depression. Next, as to the effect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on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it was found that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ffected the level of emotional regulation. Lastly, as to the effect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ir dep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emotional awareness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the depression. In addition, the emotional regul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level of the depress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 between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and depress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existed a complete mediation, wher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indirectly influences the level of the depression through its effect on the mediator. This shows that the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on reducing the level of the depression directl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parental violence that still remains as a problem awaiting solution and can cause a serious effect on child and adolescent both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adolescent who can be neglected in the service for the scene of interparental violence and then found the overall tendency of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Second, this study examined adolescents’ emotional ability by using the adolescents’ meta-emotion philosophy interview. Specifically, we examined that adolescents’ belief, attitude, and value of their emotional awareness, expressivity, regulation and remediation.
      Las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indirectly influences depression through the emotional regulation. In other words, although adolescent has exposure experience to interparental violence, we can intervene in their emotional ability. Therefor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of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ho experienced interparental violence, focusing on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order to prevent depre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9
      • 1)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9
      • 2) 청소년의 우울 12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9
      • 1)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9
      • 2) 청소년의 우울 12
      • 3)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14
      • 4)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및 우울 20
      • (1)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청소년의 우울 20
      • (2)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21
      • (3)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과 우울 23
      • 3. 연구문제 26
      • Ⅱ. 연구 방법 27
      • 1. 연구대상 27
      • 2. 연구도구 31
      • 1)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31
      • 2) 청소년의 우울 32
      • 3)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 34
      • 3. 자료분석 37
      • Ⅲ. 연구 결과 38
      • 1.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39
      •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9
      • 2)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39
      • 2.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 우울, 청소년 상위정서철학 간의 상관관계 43
      • 3.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45
      • 4.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에 미치는 영향 46
      • 5. 청소년의 상위정서철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47
      • 6.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 48
      • Ⅳ. 논의 50
      • 참 고 문 헌 63
      • 부 록 82
      • ABSTRACT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