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84950

      • 저자
      • 발행사항

        군산 : 국립군산대학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국립군산대학교 , 유아교육학과 , 2024. 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홍경선

      • UCI식별코드

        I804:45002-000000010005

      • 소장기관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on self-efficacy and how students' self-reflection and empathy mediate these effects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who ar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self-reflection and empathy?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0 to May 17, 2023,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questionnaires among 291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Qibak, Shandong Province. Then, from May 25 to June 25, 2023,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17 colleg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Qibak, Shandong Province and Changzhou, Jiangsu Provinc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model,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tended to be high overall.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pen communication was higher than semi-closed communication, and in self-efficacy, self-regulatory efficacy, self-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were preferred. Self-reflection showed above-average levels of each subfactor, with self-understanding being the highest, followed by self-regulation and activity, self-design, and self-reflection. For empathy, cognitive empathy was higher than emotional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The general trend of these research variable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verall statu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and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the four-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was adequately aligned with the theoretical work of this thesis. The overall fit indices for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empathy, and self-efficacy indicated a good fit of the model.

      Third,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ound that all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i.e., the more open and semi-closed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Four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yzed for goodness-of-fit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final model was accepted.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examined by setting up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hecking the model fit and effectiv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flection, empathy, and self-efficacy,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through self-reflection and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ar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na and act as factors that enhance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na.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open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better the self-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will be able to fulfill their roles, which will affect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lso identified the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empathy, which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quality, curriculum diversity, and autonomy and responsi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on self-efficacy and how students' self-reflection and empathy mediate these effects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who ar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on self-efficacy and how students' self-reflection and empathy mediate these effects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who ar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self-reflection and empathy?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0 to May 17, 2023,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questionnaires among 291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Qibak, Shandong Province. Then, from May 25 to June 25, 2023,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17 colleg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Qibak, Shandong Province and Changzhou, Jiangsu Provinc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model,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tended to be high overall.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pen communication was higher than semi-closed communication, and in self-efficacy, self-regulatory efficacy, self-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were preferred. Self-reflection showed above-average levels of each subfactor, with self-understanding being the highest, followed by self-regulation and activity, self-design, and self-reflection. For empathy, cognitive empathy was higher than emotional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The general trend of these research variable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verall statu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and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the four-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was adequately aligned with the theoretical work of this thesis. The overall fit indices for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empathy, and self-efficacy indicated a good fit of the model.

      Third,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ound that all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i.e., the more open and semi-closed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Four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yzed for goodness-of-fit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final model was accepted.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examined by setting up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hecking the model fit and effectiv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flection, empathy, and self-efficacy,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through self-reflection and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ar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na and act as factors that enhance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na.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open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better the self-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will be able to fulfill their roles, which will affect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lso identified the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empathy, which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quality, curriculum diversity, and autonomy and responsi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인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들과의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들의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그러한 영향에 어떻게 매개 작용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2023년 5월 10일부터 5월 17일까지 산동성 치박지역의 2개 대학에 재학중인 291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및 공감능력 설문지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후 본 조사는 2023년 5월 25일부터 6월 25일까지 산동성 치박지역과 장쑤성 창주지역의 4개 대학으로 1217명의 대학생들을 표집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 간 관련성을 탐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과 AMO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은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하위요인 중 개방적 의사소통이 반폐쇄적 의사소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나타났다. 자기성찰에서는 하위요인별 평균 이상의 정도를 나타났다. 그 중 자기이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기조절 및 활동, 자기설계, 자기반성 순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은 하위요인 중 인지적 공감이 정서적 공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은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와 변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기에 앞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전반적인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본 논문의 이론적 연구와 적절하게 일치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원래 척도의 네 요인구조가 분석하였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전반적으로 적합도 지수들은 모델이 좋은 적합성을 갖고있다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 의사소통 중 개방적 의사소통, 반폐쇄적 의사소통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 간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제안모형의 적합도 분석 최종모형 획인하였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적합도 및 효과검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기성찰, 공감능력,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자기성찰, 공감능력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으로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을 향상하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중 개방적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유아의 발달과 성장과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의 영향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유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질적 향상, 교육과정의 다양성,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책임성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인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들과의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들의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그러한 영향에 어떻게 매개 작용하는...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인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들과의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들의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그러한 영향에 어떻게 매개 작용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2023년 5월 10일부터 5월 17일까지 산동성 치박지역의 2개 대학에 재학중인 291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및 공감능력 설문지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후 본 조사는 2023년 5월 25일부터 6월 25일까지 산동성 치박지역과 장쑤성 창주지역의 4개 대학으로 1217명의 대학생들을 표집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 간 관련성을 탐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과 AMO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은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하위요인 중 개방적 의사소통이 반폐쇄적 의사소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나타났다. 자기성찰에서는 하위요인별 평균 이상의 정도를 나타났다. 그 중 자기이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기조절 및 활동, 자기설계, 자기반성 순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은 하위요인 중 인지적 공감이 정서적 공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은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와 변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기에 앞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전반적인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본 논문의 이론적 연구와 적절하게 일치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원래 척도의 네 요인구조가 분석하였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전반적으로 적합도 지수들은 모델이 좋은 적합성을 갖고있다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 의사소통 중 개방적 의사소통, 반폐쇄적 의사소통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 간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제안모형의 적합도 분석 최종모형 획인하였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적합도 및 효과검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기성찰, 공감능력,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자기성찰, 공감능력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으로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을 향상하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중 개방적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유아의 발달과 성장과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의 영향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유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질적 향상, 교육과정의 다양성,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책임성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