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병리학적 음성으로 판명된 증례에 대한 고찰 =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Cases with Negative Pathologic Results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위선종 혹은 조기위암에 대한 치료로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시술 전 조직소견과시술 후 최종 진단의 불일치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에서는 시...

      목적: 위선종 혹은 조기위암에 대한 치료로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시술 전 조직소견과시술 후 최종 진단의 불일치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에서는 시술 후 음성소견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이연구는 ESD 시행 후 병리학적 음성으로 판명된 환자를 대상으로 이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위선종, 조기위암으로 ESD를 시행받은 환자 중시술 후 조직학적 음성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ESD를 시행받은 환자 792명 중 27명(3.4%)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 대상환자의 시술 전 진단은 조기위암 11예 (40.8%), 저이형성 선종 13예(48.1%), 고이형성 선종 3예 (11.1%)였다. 병리학적 음성 예의 원인 분류에 따른 빈도는 국소적 병변이 13예(48.2%)로 가장 흔하였고, 병리학적 불일치가 11예(40.7%), 시술자 오류는 3예(11.1%)였다. 원인에 따른 시술 전 병리소견은 병리학적 불일치 11예에서는 모두 저이형성 선종이었고, 국소적 병변에 의한 13예에서는 11예 (84.6%)가 선암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시술자 오류에 의한 경우는 주로 전정부 융기성 병변에서 특히 주변에 장상피화생이 동반된 경우였다. 병리학적 불일치가 원인인 11예 중 10예(90.9%)가 타 병원에서 전원된 경우였고, 장상피화생은 시술자 오류가 원인이 된 경우가 100%였다. 결론: ESD 후 병리학적 음성예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저이형성 선종의 경우 시술 전 병리의사와의 긴밀한 협조와 충분한 의사소통이, 장상피화생이 동반된 전정부의 융기성 병변에서는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 후의 신중한 시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보다 흔하게는 병변이 너무 작아 조직검사로 제거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is accepted as a standard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EGC) and gastric adenoma, occasionally, tumorous lesion is not found and pathologic discrepancies can occur after ESD. The aim of this...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is accepted as a standard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EGC) and gastric adenoma, occasionally, tumorous lesion is not found and pathologic discrepancies can occur after ES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negative pathologic results after ES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from all patients with gastric neoplasm (276 EGC and 516 gastric adenomas) who were treated with ESD during past 3 years and enrolled the patients who had negative pathologic results. Results: Out of 792 patients treated with ESD, 27 patients (3.4%) were eligible for inclusion. Among the 27 patients, factors affecting the negative pathologic results were, most commonly, the focal lesion (n=13, 48.2%) which was small enough to be removed completely during pre-ESD biopsy, followed by pathologic discrepancies (n=11, 40.7%) between pathologists and lastly the operator factor (n=3, 11.1%) dissecting incorrect lesions. Of the focal lesions, the initial pathologic diagnoses were adenocarcinoma in 11 cases (84.6%). In cases with pathologic discrepancies, all the pretreatment diagnoses were adenoma with low grade dysplasia. In cases caused by operator factors, intestinal metaplasia was accompanied by elevated adenoma in all cases. Conclusions: To decrease negative pathologic results after ESD, an endoscopist should perform ESD after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pathologists, especially for adenoma with low grade dysplasia, and choose correct lesion, especially located at the antrum and associated with intestinal metaplasia. The possibility of total removal of small lesions even by forcep biopsy should be 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희, "위선종과 조기위암에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 전후 조직 소견의 차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34 (34): 125-131, 2007

      2 김재준, "우리나라에서 조기위암의 내시경 치료의 현황" 대한내과학회 76 (76): 291-295, 2009

      3 이상훈,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후 점막 고유층에 재발한 조기위암 1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42 (42): 90-93, 2011

      4 김은수, "Where has the tumor gone? The characteristics of cases of negative pathologic diagnosis afte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GEORG THIEME VERLAG KG 41 : -739~745, 2009

      5 Mannen K, "Risk factors for complications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gastric tumors: analysis of 478 lesions" 45 : 30-36, 2010

      6 Palli D, "Reproducibility of hist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63 : 765-768, 1991

      7 Ichiyoshi Y, "Recurrence in early gastric cancer" 107 : 489-495, 1990

      8 Ishikawa S, "Indications for EMR/ESD in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relationship between histological type, depth of wall invas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10 : 35-38, 2007

      9 Yoon WJ,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gastric polyps in Korea: Emphasis on discrepancy between endoscopic forceps biopsy and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specimen" W J G Press 12 : 4029-4032, 2006

      10 Lee HJ, "Gastric cancer in Korea" 5 : 177-182, 2002

      1 박은희, "위선종과 조기위암에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 전후 조직 소견의 차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34 (34): 125-131, 2007

      2 김재준, "우리나라에서 조기위암의 내시경 치료의 현황" 대한내과학회 76 (76): 291-295, 2009

      3 이상훈,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후 점막 고유층에 재발한 조기위암 1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42 (42): 90-93, 2011

      4 김은수, "Where has the tumor gone? The characteristics of cases of negative pathologic diagnosis afte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GEORG THIEME VERLAG KG 41 : -739~745, 2009

      5 Mannen K, "Risk factors for complications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gastric tumors: analysis of 478 lesions" 45 : 30-36, 2010

      6 Palli D, "Reproducibility of hist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63 : 765-768, 1991

      7 Ichiyoshi Y, "Recurrence in early gastric cancer" 107 : 489-495, 1990

      8 Ishikawa S, "Indications for EMR/ESD in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relationship between histological type, depth of wall invas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10 : 35-38, 2007

      9 Yoon WJ,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gastric polyps in Korea: Emphasis on discrepancy between endoscopic forceps biopsy and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specimen" W J G Press 12 : 4029-4032, 2006

      10 Lee HJ, "Gastric cancer in Korea" 5 : 177-182, 2002

      11 Gotoda T,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of early gastric cancer" 41 : 929-942, 2006

      12 Ichiro O,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technical feasibility, operation time and complications from a large consecutive series" 17 : 54-58, 2005

      13 Muto M,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in the stomach using the insulated-tip needle-knife" 37 : 178-182, 2005

      14 Ono H,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for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48 : 225-229, 2001

      15 Rembacken BJ,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33 : 709-718, 2001

      16 Soetikno RM,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57 : 567-579, 2003

      17 Sohn YJ, "Early detection of recurrence after endoscopic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44 : 1109-1114, 2009

      18 Kim JJ, "EMR for early gastric cancer in Korea: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66 : 693-700, 2007

      19 Hakim NS, "Does endoscopy really help the surgeon evaluate gastric cancer?" 32 : 175-177, 1989

      20 Muehldorfer SM, ""Gastric Polyps". Diagnostic accuracy of forceps biopsy versus polypectomy for gastric polyps: a prospective multicentre study" 50 : 465-470,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2 0.315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